ㅇ/영아행2018. 9. 15. 18:58

*영아행(嬰兒行) ; 체모(體貌)도 없고, 옳고 그른 것도 없고, 좋고 나쁜 것도 없고, 아무 철이 들지 아니한 젖을 먹을 나이의 어린아이의 행동. 도인(道人)의 81행(行)이 있는데, 81행 가운데 영아행(嬰兒行)을 최고로 친다.

 

도인의 여러 가지 행에 있어서 81행이 있는데, 「도인의 81행」이라 함은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의 좋고 궂은 모든 행위가 다 포함될 수가 있다.

불행(佛行) · 범행(梵行)으로부터 광행(狂行) · 영아행(嬰兒行)도 있고, 승행(僧行) · 속행(俗行) · 남자행 · 여자행, 그리고 심지어 살생 · 도둑질 · 음행 · 음주 등의 행(行)에까지 이르나 도안(道眼, 道의 眼目)이 명백하면 아무 걸릴 것이 없다고 하였다.

 

(4분 37초)

 

[법문] 송담스님(No.524)—94년 동안거결제 중 보살선방에서 하신 법문(94.02.06)(용524)

 

(보살님 질문) “원장 스님께 자꾸 물어보기... 말씀을 여쭤보겠습니다. 제가 그러니까 큰스님 계실 적에, 그 전에도 인제 어딜 가면은 산에 같은 데 가면은 무슨 글씨 같은 게 떠오르고 그러는데, 몰랐습니다. 그랬는데 이 근년에는 이게 마음이나 행동이 모두가 이 삼척동자(三尺童子)도 아주 철모르는 어린네 행동이 되어 있어요 제가.

그리고 이 우주가 말이에요. 우주가 이 공 같은, 축구공 같은 그런 기분에서 이거 이렇게 놀리고 댕긴다는 그런 기분하에서 허황심(虛荒心)에 항상 기쁜 거예요. 그리고 이제 모든 행동이 아이들 같은 이거, 뭐 먹고 입고, 엄마가 걱정이 무슨 걱정이 있건 없건 그거 아무것도 모르는 거예요. 이거 그런 경지 이걸 어떻게 담아야 될까요?”

 

“지금 연세가 어떻게 되셨습니까?”

“연세가 지금 일흔 셋 이지요”

 

보살님은, 아마 보살님 뿐만이 아니라 불법(佛法)을 믿고 참선(參禪)을 열심히 하면 점점 어린애가 되어갑니다. 그 세속에도 연세가 팔십, 구십이 되면 아주 어린애처럼 되어 가지고 그런 분을 더러 볼 수가 있는데.

참선을 열심히 하면 그냥 순수한, 아주 순진한 어린애처럼 마음이 그렇게 깨끗해지니까, 말하는 것이나 생각하는 것이나 행동하는 것이 그렇게 어린애처럼 된 것은 대단히 좋은 증상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늙어가면서 심술이 뒤룩뒤룩하고 탐심(貪心)이 꽉 차 가지고, 행동과 언어에 남을 찍어서 삐틀어서 긁어 잡아당기는 그런 말이 입에서 튀겨져 나오고, 마음에는 탐심이 꽉 절어 가지고 닥치는 대로 긁어 담아 가지고 한번 들어가면 나올 줄을 모르고 이렇게 되어서는 아니되는 것입니다.

 

참선을 정말 올바르게 해 가면 그렇게 마음이 깨끗해져서 욕심도 없어지고, 탐심도 없어지고, 진심도 잘 안내고 어린애처럼 되어 가지고 그렇게 순진하게 된다면 대단히 좋은 것입니다.

 

도인(道人)의 81행(行)이 있는데, 81행 가운데 영아행(嬰兒行)을 최고로 치는 것입니다. 영아행이라 한 것은, 인자 철없는 한두 살 어린애처럼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기독교 성경에도 ‘어린애처럼 되어야 천당에 갈 수가 있다’ 그런 말도 있습니다마는, 불교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천진한 어린애처럼 그렇게 마음이 순수하고 깨끗해진다면 그건 대단히 좋은 증상이고 그건 걱정하실 것이 없습니다.

 

그리고 우주를 가지고, 손에다 가지고 공 가지고 놀듯이 그런다는데.

사실 우주가 이 태양계를 중심으로 한 이러한 세계가 동서남북 시방(十方)으로 무한대(無限大)로 많습니다. 마치 이 공중에 먼지가 날으듯이 우리 현재 천문학에서 발견한 별이 수없이 많지마는 그 몇억만 배의 별들이 이 무한한 허공 속에는 꽉 차 있는 것입니다.

 

그것이 불교의 진리에서 보면 ‘그런 것들이 다 우리 콧구멍으로 들어갔다 나왔다 한다’고 그런 것입니다. 손으로 맘대로 가지고 놀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정진하는 분상(分上)에는 그런 생각도 가질 필요가 없고, 평범한 마음으로 살아가고 평범한 가운데에 화두(話頭)를 들고 이렇게 모든 생활을 해 나가야 하는 것입니다.(29분18초~33분54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삼척동자(三尺童子) ; 키가 석[三] 자[尺] 정도밖에 되지 않는 어린아이[童子]. 철없는 어린아이를 이르는 말. 한 자[尺]는 약 30.3Cm에 해당한다.

*허황심(虛荒心 헛될·공허할 허/허황할·황당무계할 황/뜻·생각 심) ; 헛되고[虛] 황당(荒唐)한 생각[心]. 현실성이 없고 근거가 없어 미덥지 못한 생각.

*불법(佛法) ; 부처님이 깨달은 진리(法). 부처님의 교법(敎法). 부처님이 설한 법. 부처님의 가르침.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한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도인(道人) ; ①불도(佛道)를 수행하여 깨달은 사람. ②불도(佛道)에 따라 수행하는 사람.

*도인(道人)의 81행(行) ; 도인의 여러 가지 행에 있어서 81행이 있는데, 「도인의 81행」이라 함은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의 좋고 궂은 모든 행위가 다 포함될 수가 있다.

불행(佛行) · 범행(梵行)으로부터 광행(狂行) · 영아행(嬰兒行)도 있고, 승행(僧行) · 속행(俗行) · 남자행 · 여자행, 그리고 심지어 살생 · 도둑질 · 음행 · 음주 등의 행(行)에까지 이르나 도안(道眼, 道의 眼目)이 명백하면 아무 걸릴 것이 없다고 하였다.

그런 81행 가운데 체모(體貌)도 없고, 옳고 그른 것도 없고, 좋고 나쁜 것도 없고, 아무 철이 들지 아니한 젖을 먹을 나이의 어린아이의 행동인 영아행(嬰兒行)을 최고로 친다.

 

[참고] 『경허집(鏡虛集)』 '여등암화상(與藤菴和尙 등암화상에게 주다)'에서.

達磨大師入唐土 敷演最上乘法 不論誦經念佛持呪禮拜 不論長坐不臥一食卯齋 不論禪定解脫 不論持戒破戒僧俗男女 見性卽成佛 若以誦經等餘外法 妄爲佛法 殺却無罪過

 

달마대사가 당나라에 들어와 최상승법을 폈는데, 경을 읽고 염불하고 주문을 외고 예배하는 것을 논하지 않았으며, 장좌불와 일종식도 논하지 않았으며, 선정과 해탈도 논하지 않았으며, 계(戒)를 지키고 파하는 것이나 승속 남녀도 논하지 않았으며, 자기 성품을 보면 곧 성불한다고 하였습니다. 만약 경을 읽는 등이나 그밖의 법을 망령되이 불법이라 한다면 그런 사람은 죽여도 죄가 되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又云 栴多羅見性成佛 不論作殺生業 縱作業 不同他人 業拘不能 白衣見性成佛 不論淫欲 縱有餘習 亦不相妨 洪州云 善亦是心 不可將心還修於心 惡亦是心 不可將心還斷於心 牛頭禪師云 心無異心 不斷貪淫

 

또 "전다라가 견성성불함에 살생업을 지은 것을 논하지 않으니, 비록 업을 짓더라도 다른 사람과 달라서 업에 구애되지 않으며, 속인이 견성성불함에 음욕을 논하지 않으니, 비록 남은 습기가 있더라도 또한 서로 방해되지 않는다"라고 하였습니다. 홍주(마조도일) 스님은 "선(善)도 또한 이 마음이니 마음을 가지고 도리어 마음을 닦을 수 없고, 악도 또한 이 마음이니 마음을 가지고 도리어 마음을 끊을 수 없다"라고 하였으며, 우두 선사는 "마음에 다른 마음이 없으니 탐심과 음욕을 끊지 않는다"라고 하였습니다.

 

故善知識牧牛 有八十一行 自佛行梵行 乃至有殺盜淫酒等行 而道眼明白 亦無所碍 故潙山禪師云 只貴正眼 不貴行李處 故此法門逈出三乘 汎學者 實不可思議 古有習小乘戒律者 皆誹謗禪師 而如蟷螂捍轍 斥鷃笑鵬 置之莫論

 

그러므로 선지식의 목우행(牧牛行)에 81가지가 있으니, 불행(佛行) · 범행(梵行)으로부터 심지어 살생 · 도둑질 · 음행 · 음주 등의 행(行)에 이르기까지 도안(道眼)이 명백하면 아무 구애될 게 없습니다. 그러므로 위산선사는 "다만 안목이 바름만 귀하게 여기고 행리(行履)는 귀하게 여기지 않는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이런 법문은 삼승을 멀리 벗어났으니, 범범하게 배우는 사람은 실로 생각으로 헤아려 알 수 없습니다. 옛날에 소승의 계율을 익힌 이들은 모두 선사를 비방했으나 이는 버마재비(사마귀)가 수레바퀴를 막고 뱁새가 대붕(大鵬)를 비웃는 격이니, 제쳐두고 논하지 않겠습니다.

*시방(十方) : 「십방」이라 발음하지 않는다。동 · 서 · 남 · 북의 사방(四方)과 각 중간 방위인 사유(四維)에 상 · 하까지 넣어서 열 가지 방향으로써 무한한 우주(宇宙)의 입체적 공간 전체를 말하게 된다.

*정진하는 분상(分上)에는 ; 정진하는 수행자에 알맞은 입장에 따르자면.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Posted by 닥공닥정
ㅍ/포교2018. 9. 15. 18:34

*포교(布敎 널리 알리다 포/가르침 교) ; 불교의 교법(敎法)을 널리 세상에 알리는 일. 홍교(弘敎), 선교(宣敎), 전교(傳敎)라고도 한다.

 

(2분 13초)

 

[법문] 송담스님(No.524)—94년 동안거결제 중 보살선방에서 하신 법문(94.02.06)(용524)

 

‘자식들이 전부 성당에 나가서 걱정이다’ 하는데.

기왕이면 부모님 종교를 따라서 불법(佛法)를 믿고 정법(正法)을 믿게 되면 천만다행한 일이나, 무슨 인연으로 성당에 나가게 된다면 참 그걸 억지로 못 가게 날마다 큰소리를 치고 그럴 수도 없는 거고. 성당에 나가되 바른 마음으로 잘 믿으면 다행한 일이고.

 

이것을 돌리는 방법은 ‘불교를 믿어라, 믿어라’ 강요한다고 되는 일이 아니고.

스스로 불교로 돌아오게 하는 방법은 여러분 자신이 정말 여법(如法)하게 정법을 믿고 여법하게 참선(參禪)하셔서, 마음가짐이나 말씀하는 것이나 행동하는 것이 그 자녀들의 눈에, ‘야! 우리 어머니는 정말 불교를 믿으시더니 정말 훌륭하시다!’ 또 어머니를 통해서 불교의 말씀을 듣고 ‘정말 불교는 참 좋은 종교로구나!’ 이렇게 스스로 느껴서 불교로 돌아와야 되는 것이지,

 

어머니가 자녀들이 보기에 여법하지 못하고, 어머니를 통해서 불교가 별로 좋은 종교가 아니라고 생각이 든다면 돌아올 가망성은 없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입으로 강요하지 말고, 마음가짐으로 행동으로 불교의 좋은 것을 자녀들이 자연히 보고 느끼도록, 그러면 돌아오지 말라고 해도 저절로 돌아오게 될 가망이 있을 것입니다.(24분31초~26분44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불(佛) ;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buddha의 음사. 온전한 음사어는 불타(佛陀·佛馱), 부도(浮圖·浮屠), 부타(浮陀), 부두(浮頭), 발타(勃陀·馞陀), 몰타(沒駄) 등이 있다. 각자(覺者), 지자(知者), 각(覺)으로 한역. 불타(佛陀)라는 말이 순우리말로 ‘부텨’라고 읽히고 이 말이 점차 변하여 ‘부처’가 되었다. 보통 경칭어미를 붙여 ‘부처님’이라 한다.

 

궁극적인 진리를 깨달은 사람이라는 뜻이며, 가장 크고 높고 참된 이치를 자기가 깨치고[自覺] 남들까지 깨치게 하여[覺他], 그 지혜와 복이 끝없이 원만하고 이치와 일에 두루 걸림없고[覺行圓滿], 등정각(等正覺)을 성취한 이를 말한다. 그 참 이치를 가르쳐서 누구나 부처가 되고, 어디나 밝고 깨끗하고 평등하고 싸움 없는 세상이 되게 하는 것이 부처님의 가르치심 곧 불교(佛敎)다.

*불법(佛法) ; 부처님이 깨달은 진리(法). 부처님의 교법(敎法). 부처님이 설한 법. 부처님의 가르침.

*정법(正法) ; ①올바른 진리. ②올바른 진리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 ③부처님의 가르침이 올바르게 세상에 행해지는 기간.

*여법(如法 같을·같게 할·따를·좇을 여/ 부처님의 가르침·불도佛道 법) ; 부처님의 가르침에 맞음.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한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