ㄷ/도솔천내원궁2019. 2. 24. 08:47

*도솔천내원궁(兜率天內院宮) ; 도솔천(兜率天)은 욕계(欲界) 육천(六天)의 넷째 하늘로 불교의 우주관에 따르면 우주의 중심은 수미산(須彌山)이며, 그 꼭대기에서 12만 유순(由旬) 위에 도솔천이 있는데 이곳은 내원(內院)과 외원(外院)으로 구별되어 있다.

 

내원은 내원궁(內院宮)으로 불리기도 하며 석가모니가 보살일 당시에 머무르면서 지상에 내려갈 때를 기다렸던 곳이며, 오늘날에는 미래불인 미륵보살(彌勒菩薩)이 일생보처보살(一生補處菩薩)로서 여기에 있으면서 하늘나라 사람들을 제도하며 남섬부주에 하생(下生)하기를 기다리고 있는 곳이고, 외원은 수많은 천인(天人)들이 오욕(五欲)을 충족시키며 즐거움을 누리고 있는 곳이다. 도솔(兜率)의 뜻은 지족(知足).

 

이 보살이 불교의 33천 중 도솔천에 머무는 이유는 중생을 구제하려는 마음이 사라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 도솔천은 아래로는 사천왕(四天王) · 도리천(忉利天) · 야마천(夜摩天)이 욕정(欲情)에 잠겨 있고, 위로는 화락천(化樂天) ·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이 들뜬 마음이 많은데 비해 도솔천은 잠기지도 들뜨지도 않으면서 오욕락(五慾樂)에 만족한 마음을 냄으로, 다음에 성불할 보처(補處)보살이 머문다고 한다.

 

도솔천의 수명은 4천 세라 하고, 도솔천의 하루는 인간의 4백 세라 하였으니, 도솔천의 수명을 인간 수명으로 환산하면 인간의 5억 7천 6백만 년에 해당하지만(4천 x 3백 6십, 1년 x 4백 = 5억 7천 6백만), 고대의 기수법(記數法)에 따르면 57억 6천만 년이라고 한다.

 

도솔천에 왕생할 수 있는 인연은 ①끊임없이 정진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자. ②탑을 깨끗이 하고 좋은 향과 아름다운 꽃을 공양한 자. ③여러 가지 삼매(三昧)로써 깊은 선정(禪定)을 닦은 자. ④경전을 독송하는 자. ⑤번뇌를 끊지는 못하였지만 지극한 마음으로 미륵을 염불하는 자. ⑥팔계(八戒)를 받고 청정한 행을 익히며 사홍서원을 잊지 않는 자. ⑦널리 복업(福業)을 닦는 자. ⑧계를 어기고 악을 범하였어도 미륵보살의 자비로운 이름을 듣고 정성껏 참회하는 자. ⑨미륵보살의 이름을 듣고 그 형상을 만들어 향과 꽃, 깃발로 장식하고 예배하는 자 등이다.

 

*일생보처보살(一生補處菩薩) : 오직 한 번만 생사(生死)에 관련되고, 일생을 마치면 다음에는 부처님이 될 수 있는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보살.

 

(11분 55초)

 

[법문] 송담스님(No.385)—1989년 3월 첫째 일요법회(용385)

 

오늘은 불명(佛名)을 신청하신 분이 불명을 타고, 또 화두(話頭)를 신청하신 분이 화두를 타고, 또 이 불명을 신청하신 분에게 오계, 십선법을 설해 드리는 날입니다.

 

계(戒)에는 오계가 있고, 처사 오계, 사미 오계가 있고 또 비구 이백오십계, 비구니 오백계 그리고 보살계에는 십중대계와 48경계가 있고. 이렇게 많은 여러 가지 종류의 계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선문중(禪門中)에서는 십선법, 십선계(十善戒)를 닦아가지고 도솔천 내원궁(兜率天內院宮)에 가서 태어나는 것입니다. 도솔천 내원궁에는 앞으로 석가모니 부처님 다음 부처님으로 이 염부제(閻浮提)에 출생하실 미륵(彌勒) 부처님이 현재 보살의 지위로 도솔천 내원궁에 지금 대기를 하고 계신 것입니다.

 

그래서 어쨌든지 이 십선계를 잘 닦으면서 활구참선, 이 활구참선(活句參禪) 최상승법(最上乘法)을 열심히 닦어.

이게 닦아가지고 도솔천 내원궁에 탄생하기를 항상 기도를 하고 축원(祝願)을 하고 발심(發心)을 하면 우리 숨이 뚝 떨어지자마자 도솔천 내원궁에 가서 탄생을 해 가지고 미륵 보살님을 친견하고.

 

그 미륵 보살님 회상(會上)에서 계속해서 법문을 들으면서 참선(參禪)을 하다가, 거기서 확철대오(廓徹大悟) 해서 미륵 부처님이 사바세계(娑婆世界)에 태어나실 때, 미륵 부처님을 모시고서 이 땅에 같이 하생(下生)을 해 가지고 미륵 부처님의 제자로서 미륵 부처님께서 중생을 교화하시는데 거기에 미륵 부처님을 도와서 일체 중생을 제도하는 그러한 원(願)을 세워 왔습니다.

 

우리 선종(禪宗)에서는 그래서 옛날부터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불러서 극락세계(極樂世界)에 태어나기를 발원하지 않고 십선계를 잘 지키면서 참선을 해 가지고 도솔천 내원궁에 탄생하기를 발원(發願)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십선계가 무엇이냐?

몸으로 세 가지, 또 입으로 짓는 죄 네 가지, 또 뜻으로 짓는 죄가 세 가지, 이렇게 해서 합해서 열 가지인데 이것을 십악(十惡)이라 그러는데.

 

그러면 몸으로 짓는 세 가지 죄악은 무엇이냐?

산목숨을 죽이는 거, 둘째 도둑질하는 거, 셋째 사음을 하는 거. 이것이 몸으로 짓는 세 가지 죄악이다.

 

그다음에 입으로 짓는 네 가지 죄는 무엇인고?

망어(妄語), 거짓말하는 거. 기어(綺語), 이리저리 진실치 못하게 꾸며 대는 거. 셋째, 두 가지 말로 사람을 이간(離間)을 붙여. 이간을 붙여 가지고 간에 가 붙었다 쓸개에 가 붙었다 그러면서 남을 속이고 그래가지고 아첨을 하고 해가지고 그런 것이 '두 가지 말[兩舌]'이다.

넷째에 가서 악구(惡口), 욕하는 거여. ‘호랭이 물어 갈 놈’ ‘벼락 맞을 놈’ 온갖 입에 못 담을 고약한 욕을 아주 남에게 부해가 나서 남에게도 하지만 자기 집안에 애들한테도 꺼떡하면 입에 습관이 되어 가지고 그렇게 막 욕을 퍼붓는다 그말이여. 그 욕이 입으로 짓는 네 가지와.

 

그다음에 뜻으로 짓는 세 가지는 탐, 탐심(貪心), 욕심내는 거. 또 진심(瞋心), 골내는 성내는 거. 셋째에 가서 어리석은 마음[癡心]을 내는 거.

그래서 몸으로 세 가지, 입으로 네 가지, 뜻으로 세 가지, 합해서 이것이 열 가지인데 이것을 십악이라 그러는 것이고.

 

그 십악을—살생을 하지 않고 오히려 죽어 가는 목숨을 살려 주면 요것이 '착할 선(善)'자 선이 되고, 도둑질을 아니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내 물건을 남에게 보시를 하면 이것이 또 선(善)이 되는 것이고.

또 음행을 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몸과 마음을 항상 청정하게 갖는다 말이여. 그러면 몸으로 짓는 삼악이 삼선으로 변하는 거고.

 

또 거짓말하고 꾸며 대고, 또 두 가지 말로 이간질하고 또 욕하는 대신 항상 진실한 말을 하고 또 꾸며 대지 않고 항상 말을 했다 하면은 실다운 말을 하고 또 두 가지 말로 이간질을 하지 아니하고 항상 진실한 말, 믿을 수 있는 말을 해서 모든 사람을 서로 화합을 시키고.

또 욕을 퍼붓는 게 아니라 항상 부드럽고 자비스러운 말을 써 버릇하면, 곱고 아름답고 자비스럽고 그런 말을 쓰면은 입으로 짓는 네 가지 죄가 아니라 네 가지 선이 되는 것이고.

 

탐심을 내거나 진심을 내거나 치심을 내지 않고서, 탐심 대신 항상 분(分)에 지나친 욕심을 내지 아니하고.

이 탐심은 물질적인 것만 탐심이 아니라—무엇이든지 자기 마음대로, 하고 싶은 대로 자기 주관적으로 이기적으로 독선적이고 그러지를 않고, 항상 내 고집을 버리고서 항상 빈 마음으로 남의 의견을 존중히 여기고, 남의 인격을 존중히 여기고, 남의 말을 귀담아 듣고 그래야 하는데, 자기 뜻대로 안되고 제 고집 세우다가 뜻대로 안되면 성을 내거든. 그래서 자기 뜻대로 할라고 한 것이 벌써 그것이 탐심이여.

 

자기 뜻대로 고집을 내세우다가 상대방이 들어주지 않고 자기 뜻대로 안되면은 범부(凡夫)는 전부 다 진심을 내는 것입니다.

그러면 진심을 내가지고 입으로 퍼붓고 속으로 성내고 뾰루퉁하고, 그리고 상대방을 미워하고 원망하고 부부간에도 그렇고, 부모 자식 간에도 그렇고, 형제간에도 그렇고, 고부간도 그렇고, 친구 간도 자기 의견을 따라 주지 아니하면 그냥 성을 내고 상대방을 원수로 여긴다 그말이여.

 

내가 내 고집을 세우고 내만 옳다고 하고 내 하고 싶은 대로만 할라고 그러면 상대방도 마찬가지여. 상대방은 또 상대방대로 자기 의견만을 주장하고 자기 하고 싶은 대로 할라고 고집을 세우면 백사불성(百事不成)이여. 화합이 되지를 않은 거여.

그래가지고 싸워가지고 나중에는 저도 망하고 나도 망하고, 되는 일이 없고, 집안도 파괴가 되고, 당도 파괴가 되고, 사회 국가도 파괴가 되고 마는 것이다 그말이여.

 

나의 의견이 소중하면 상대방의 의견도 소중한 것이고, 나의 생명이 소중하면 상대방의 생명도 소중한 것이고, 나의 재산이 소중하면 상대방의 재산도 소중한 것이지, 제 것만을 위주(爲主)하고 제 것만을 내세우고 남을 갖다가 짓밟고 억누를라고 하면 가만히 있나요.

처음에는 조금 당하지마는 두 번 세 번 당하면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고 상대방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힘을 모아가지고 대들면 결국은 사이가 벙그러져 버리고, 아무리 다정한 친구도 원수가 되고 말아버린다 그말이여.

 

그래서 탐심을 내지 아니하고 오히려 양보하고, 물질도 양보하고, 모든 주장도 한 걸음씩 양보를 해서 서로의 좋은 점을, 서로 내 의견보다 상대방 의견이 좋으면 상대방을 또 따라줄 줄을 아는, 이렇게 되면 은 진심을 내지 않고, 진심을 내지 아니하면 서로 화합이 될 것이다 그말이여.

 

중생은 한 번 해 봐 갖고 안되고, 두 번 해 가지고 안되면 세 번쯤에 가서는 ‘아하! 내 주장만 해서는 안되겠구나’ 그렇게 깨달으면 될 텐데, 그걸 깨닫지를 못해.

평생을 제 주견(主見)만을 내세우고 자기 의견만을 존중하는 그 버릇을 평생을 그 고집을 가지고 산다 그말이여. 그러니 그것이 어리석은 짓이다.

 

이 탐진치(貪瞋癡) 삼독심(三毒心)이 그것 때문에 지옥(地獄) · 아귀(餓鬼) · 축생(畜生)의 삼악도(三惡途)가 벌어진 것이여. 그 탐진치 삼독심을 휘두르기 때문에 그 사람을 위해서 준비된 세계가 축생이요, 아귀요, 지옥 세계여.

그래서 탐진치를 평생을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은 지옥에 갈 차표를 딱 끊어 놓은 거와 같다 이거거든.

 

이렇게 해서 십악을 범하지 아니하고 그놈을 돌리면은 그것이 십선법이 되는 거여. 십선법을 행하면은 그 사람은 도솔천 내원궁에 갈 표를 끊어 논 것이다 이거거든.(6분23초~18분14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불명(佛名) ; 법명(法名). ①출가하여 절에서 행자(行者)로서 일정 기간 동안 수행한 뒤, 계(戒)를 받을 때 스승이 지어 주는 이름. ②스님이 불법(佛法)에 귀의(歸依)한 남녀신자에게 지어 주는 이름.

[참고] 송담스님(No.470)—92년 4월 첫째 일요법회

〇불법(佛法)에의 깊은 인연으로, 발심(發心)해서 진리를 향해서 살아가는 부처님의 아들딸로 새로 태어났기 때문에 그런 의미로 불보살(佛菩薩)의 이름을 따서 불명으로 받는다. 더 철저히 말하면 그때마다 불명을 받을 수는 없지만, 참선 수행을 통해서 하루하루 새로 태어나야 하고 시간마다 새로 태어나야 한다.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선문(禪門) ; 선종(禪宗). 문자를 의존하지 않고, 오로지 선(禪)을 닦아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체득하는 깨달음에 이르려는 종파.

*십선계(十善戒) ; 몸[身]과 입[口]과 뜻[意]으로 짓는 10가지 죄—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邪婬), 망어(妄語), 기어(綺語), 악구(惡口), 양설(兩舌), 탐욕(貪慾), 진에(瞋恚), 사견(邪見)를 짓지 않겠다고 결심함.

*십악(十惡) ; 몸[身]과 입[口]과 뜻[意]으로 짓는 열 가지 죄악.

〇몸[身] : ①살생(殺生 살아 있는 생명을 죽임). ②투도(偸盜 남의 재물을 훔침). ③사음(邪婬 삿된 음행).

〇입[口] : ④망어(妄語 거짓말이나 헛된 말). ⑤기어(綺語 진실이 없는, 교묘하게 꾸민 말). ⑥양설(兩舌 이간질하는 말). ⑦악구(惡口 남을 괴롭히는 나쁜 말, 욕).

〇뜻[意] : ⑧탐욕(貪欲 탐내어 그칠 줄 모르는 욕심). ⑨진에(瞋恚 성냄). ⓪사견(邪見 그릇된 견해).

*염부제(閻浮提) ; 염부(閻浮). 남염부제(南閻浮提). 섬부주(贍部洲). 남섬부주(南贍部洲).

산스크리트어 jambu-dvīpa의 음사. 염부(閻浮), 섬부(贍部)는 jambu의 음역어이며, 제(提)와 주(洲)는 dvipa의 각각 음역어 및 의역어이다. jambu는 나무 이름.

불교의 우주관에 의하면 세계의 중심에 높이 솟은 거대한 수미산(須彌山)의 사방에 네 대륙(四洲)이 있는데, '염부'라는 이름은 여기에 자란다는 점부(jambu)에 유래하며, 남방에 있기 때문에 남섬부주(南贍部洲)라고 한다.

 

'우리 인간들이 사는 곳'이라 하며, 여러 부처님이 나타나는 곳은 사주(四洲) 가운데 이곳뿐이라 함.

불전(佛典)에서는 ‘인간세계의 전체’를 의미하는 말로서 사용되고 있다.

*미륵불(彌勒佛) : [범] Maitreya 대승보살, 또는 매달려야(梅呾麗耶), 매달례야(昧怛隷野)。번역하여 자씨(慈氏)。 이름은 아일다(阿逸多) 무승(無勝) 막승(莫勝)이라 번역.

인도 바라나국의 바라문 집에 태어나 석가모니의 교화를 받고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아, 도솔천에 올라가 있으면서 지금 그 하늘에서 천인(天人)들을 교화하고,

 

석가모니 입멸후 56억 7천만 년을 지나 다시 이 사바세계에 출현—하생(下生)하여, 화림원(華林園) 안의 용화수(龍華樹) 아래에서 성불(成佛)하고 3회의 설법으로써 석가모니의 교화에서 빠진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고 한다. 이 법회를 용화삼회(龍華三會)라 한다.

도솔천에서의 생을 마치면 인간으로 태어나 성불하여 석가모니불의 자리[處]를 보충(補充)한다는 뜻으로 보처(補處)의 미륵이라 하며, 현겁(賢劫) 천 불의 제5불(佛).

*보살(菩薩) ; 산스크리트어 bodhi-sattva의 음사인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

bodhi는 깨달음, sattva는 살아 있는 존재, 곧 중생을 뜻하므로 보살은 깨달을 중생, 깨달음을 구하는 중생, 구도자(求道者)라는 뜻.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 · 각유정(覺有情) 등으로도 불린다.

① 깨달음을 구하면서 중생을 교화하는 수행으로 미래에 성불(成佛)할 자. 자신도 깨달음을 구하고 남도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자리(自利)와 이타(利他)를 행하는 자.

② 보살승(菩薩乘)의 준말. ③ 수행자. ④ 고승(高僧)에 대한 존칭. ⑤ 여자 신도를 일컫는 말.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본참공안]를 받아서,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천칠백 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간화선(看話禪) ; 화(話)는 화두(話頭)의 준말이다. 간화(看話)는 ‘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을 본다[看]’는 말로써,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이 화두를 관(觀)해서, 화두를 통해서 확철대오하는 간화선을 전강 조실스님과 송담스님께서는 ‘최상승법(最上乘法)’ ‘활구참선(活句參禪)’이라고 말씀하신다.

*축원(祝願) ; 어떤 일이 희망하는 대로 이루어지기를 불보살(佛菩薩)께 간절히 원하고 빎.

*발심(發心) ; ①위없는 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菩提心]을 일으킴[發]. ②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초발의(初發意), 신발의(新發意), 신발심(新發心), 초심(初心), 발의(發意) 등이라고도 한다. 갖추어서 발기보리심(發起菩提心),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

*회상(會上) ; ①대중이 모여서 설법을 듣는 법회. 또는 그 장소. ②대중들이 모여서 수행하는 공동체 및 그 장소. ③‘회상(會上)’이란 말은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후, 영취산(靈鷲山)에서 제자들에게 설법을 하면서 함께 모인 것을 ‘영산회상(靈山會上)’이라 부른 데에서 유래한다.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한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을 깨달음.

*사바세계(娑婆世界) ; 고뇌를 참고 견디지 않으면 안되는 괴로움이 많은 이 세계. 현실의 세계. 인토(忍土) · 감인토(堪忍土) · 인계(忍界)라고 한역. 석가모니 부처님이 나타나 중생들을 교화하는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가 모두 사바세계이다.

*아미타불(阿彌陀佛) ; 대승불교에서 서방정토(西方淨土) 극락세계에 머물면서 법(法)을 설하는 부처님.

<정토 3부경>에 있는 이 부처님의 역사는, 오랜 옛적 과거세에 세자재왕불(世自在王佛 Lokesvararaja-Buddha)의 감화를 받은 법장비구(法藏比丘 Dharmakara)가 2백 10억의 많은 국토에서 훌륭한 나라를 택하여 이상국을 건설하기로 기원하였다.

또 48원(願)을 세워 자기와 남들이 함께 성불하기를 소원하면서 오랜 겁을 수행한 결과 지금부터 10겁 이전에 그 원행(願行)이 성취되어 아미타불이 되었다. 줄여서 미타(彌陀).

의역하면 무량광불(無量光佛 Amitabha Buddha-무한한 공간에 꽉 차 있어서 안팎과 갓이 없는 빛의 부처님), 무량수불(無量壽佛 Amitayus Buddha-무한한 시간에 뻗치어서 끝없는 생명의 부처님).

*극락세계(極樂世界) :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 괴로움과 걱정이 없는 지극히[極] 안락[樂]하고 자유로운 세상[世界]이다. 안양(安養), 안락국(安樂國),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무량수불토(無量壽佛土), 무량광명토(無量光明土), 무량청정토(無量淸淨土)라고도 함.

*범부(凡夫 무릇•보통 범/남편•사내 부) ; 번뇌(煩惱)에 얽매여 생사(生死)를 초월하지 못하는 사람. 이생(異生) 또는 이생범부(異生凡夫)라고도 한다.

*벙그러지다 ; 벌어지다.

*삼독심(三毒心) ; 사람의 착한 마음(善根)을 해치는 세 가지 번뇌. 욕심·성냄·어리석음(貪瞋癡) 따위를 독(毒)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삼악도(三惡道) ; 악인(惡人)이 죽어서 간다는 세 가지 괴로운 세계. 곧 지옥도(地獄道), 축생도(畜生道), 아귀도(餓鬼道)를 가리킨다. 지옥도는 중생이 죄를 지어 죽은 뒤에 태어날 지옥세계이며, 축생도는 중생이 죄를 지어 죽은 뒤에 짐승의 몸이 되어 괴로움을 받는다는 길이고, 아귀도는 먹으려고 하는 음식은 불로 변하여 늘 굶주리고 매를 맞는 아귀들이 모여 사는 세계이다.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