ㅈ/주인공2019. 6. 26. 10:53

*주인공(主人公) ; 주인옹(主人翁). ①주인에 대한 존칭. ②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청정한 부처의 성품, 우리의 참 마음을 나타내는 말.

 

(5분 12초)

 

[법문] 송담스님(No.311)—1986년 10월 첫째일요법회(용311)

 

내여백운래(來與白雲來)여  거수명월거(去隨明月去)로구나

나무~아미타불~

거래일주인(去來一主人)이  필경재하처(畢竟在何處)오

나무~아미타불~

 

내여백운래(來與白雲來)여. 백운(白雲), 흰구름과 더불어, 올 때에는 흰구름과 더불어 오고,

거수명월거(去隨明月去)다. 갈 때에는 밝은 달을 따라서 가더라.

 

거래일주인(去來一主人)이, 이 오고가고 한, 구름 따라서 오고 명월 따라서 간 이 거래(去來)한 이 한 주인(主人)이 필경(畢竟)에 재하처(在何處)냐? 필경에 어느 곳에 있는고?

 

우리가 지금 이 세상에 백운처럼 왔습니다. 어디서 왔는지 온 곳은 알 수가 없으나 마치 흰구름이 어디서 일어났는지 일어난 곳도 모르지마는 하늘에 한 덩어리 흰구름이 떠오듯이 이 세상에 우리는 왔습니다. 부모의 몸을 빌려서 이 세상에 왔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한평생 살다가 결국은 저 밝은 달이 산너머로 넘어가듯이 우리는 이승을 떠나서 갈 것입니다. 어디로 갈는지는 모르지만 한번 온 사람은 반드시 또 가고야만 마는데, 구름처럼 왔다가 달처럼 가는 이 한 물건[一物]이 필경에 어느 곳에 있느냐?

 

'인간의 생명은 호흡지간(呼吸之間)에 있다'고 하셨습니다.

천하에 믿지 못할 것은 지수화풍(地水火風) 사대(四大)로 뭉쳐진 이 육체인 것입니다. 어제 건강했던 사람이 밤새 고인(故人)이 되기도 하고, 오늘 건강했던 사람이 하루 사이에 고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 몸뚱이 있을 때 어쨌든지 열심히, 이유를 붙이지 말고 뒤로 미루지 말고 목숨 바쳐서 정진을 해 주시기를 부탁을 합니다.(54분53초~60분4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내여백운래(來與白雲來)~' ; 『청허당집(淸虛堂集)』 (서산 휴정 著) ‘곡망승(哭亡僧 스님의 죽음에 슬퍼하며 소리 내어 울다)’ 참고.

*한 물건 ; 일물(一物). 일상(一相). ‘한 물건’ ‘한 모양’이란 불교에서 진여(眞如)의 본체를 들어 일컫는 말이다.

*진여(眞如) ; ①차별을 떠난,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 ②궁극적인 진리. ③모든 분별과 대립이 소멸된 마음 상태. 깨달음의 지혜. 부처의 성품. ④중생이 본디 갖추고 있는 청정한 성품.

[참고] 『선가귀감(禪家龜鑑)』 (서산대사 | 용화선원刊) p 11~13. (가로판 p12~14)

有一物於此호대  從本以來로  昭昭靈靈하야  不曾生不曾滅이며  名不得狀不得이로다

여기에 한 물건이 있는데, 본래부터 한없이 밝고 신령하여, 일찌기 나지도 않고 죽지도 않았으며, 이름 지을 수도 없고, 모양 그릴 수도 없음이로다.

 

(註解) 一物者는  何物고  〇 古人이  頌云, 古佛未生前에  凝然 一相圓이라 釋迦도  猶未會어니 *迦葉이  豈能傳가 하니 此一物之所以不曾生不曾滅이라  名不得狀不得也라

六祖가  告衆云하사대 吾有一物하니  無名無字라  諸人은  還識否아 하시니 神會禪師가 卽出曰, 諸佛之本源이요  神會之佛性이니다 하니  此所以爲六祖之孽子也라

懷讓禪師가  自嵩山來어늘  六祖問曰, 什麼物이  伊麼來오 師가 罔措라가 至八年에사  方自肯曰, 説似一物이라도  卽不中이니다 하니 此所以爲六祖之嫡子也라

 

한 물건이란 무엇인가?  〇 옛 사람이 송하기를 「옛 부처 나기 전에 한 상이 두렷이 밝았도다. 석가도 몰랐거니 가섭이 전할손가」하니, 이것이 한 물건의 나는 것도 아니요, 죽는 것도 아니며, 이름 붙일 수도 없고 모양을 그릴 수도 없는 까닭이다.

 

육조스님이 대중에게 이르시되 “나에게 한 물건이 있는데 이름도 없고 자(字)도 없다。너희들은 알겠는가?”하시니 신회선사가 곧 나와 말하기를 “모든 부처님의 근본이요, 신회의 불성입니다”하니, 이것이 육조의 서자가 된 까닭이다.

회양선사가 숭산에서 와뵈니 육조스님이 물으시되 “무슨 물건이 이렇게 왔는고?”하시니 회양은 어쩔줄을 모르다가 팔 년 만에야 깨치고 나서 말하기를 “설사 한 물건이라 하여도 맞지 않습니다”하였으니 이것이 육조의 적자가 된 소이이다.

*생사재호흡지간(生死在呼吸之間) ; ‘생사(生死)가 한 호흡지간(呼吸之間)에 있다.’ 생사라 하는 것은 멀리 잡을 것이 아니라 하루도 멀고, 한끼도 멀고, 한 호흡 사이에 있다고 하는 것. 그렇게 무상하고 기약할 수 없는 것이 우리의 생사인 것이다.

*호흡지간(呼吸之間) ; 한 번 내쉬고[呼] 들이쉬고[吸] 할 사이[間]라는 뜻으로, 아주 짧은 시간을 이르는 말.

[참고]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제38장’

〇佛問沙門 人命在幾間 對曰數曰間 佛言 子未知道 復問一沙門 人命在幾間 對曰飯食間 佛言 子未知道 復問一沙門 人命在幾間 對曰呼吸間 佛言 善哉子知道矣

 

부처님께서 사문에게 물으셨다. “사람의 목숨이 얼마 사이에 있는가?” 대답하기를 “며칠 사이에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너는 아직 도를 모르는구나”

다시 한 사문에게 물으셨다. “사람의 목숨이 얼마 사이에 있는가?” 대답하기를 “밥 먹을 사이에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너도 아직 도를 모르는구나”

다시 한 사문에게 물으셨다. “사람의 목숨이 얼마 사이에 있는가?” 대답하기를 “호흡 사이에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하다. 너는 도를 아는구나”

*사대(四大) ; 사람의 몸을 이르는 말. 사람의 몸이 땅, 물, 불, 바람(地,水,火,風)의 네(四) 원소(大)로 이루어졌다고 보는 데에서 연유하였다.

*고인(故人 옛 고/사람 인) ; 죽은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

 

Posted by 닥공닥정
ㅈ/주인공2016. 7. 17. 15:11

주인공(主人公) (No.366)—(게송)三佛形儀總不眞~ | 자기 안에 있는 보배란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소소영령(昭昭靈靈)한 그 주인공(主人公)이다.

 

*주인공(主人公)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청정한 부처의 성품을 나타내는 . 주인옹(主人翁).

 

(8분 57초)

 

[법문] 송담스님(No.366)—88(무진년) 칠석차례 법어(88.08.18)(용366)

 

삼불형의총부진(三佛形儀總不眞)이요  안중동자면전인(眼中瞳子面前人)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약능신득가중보(若能信得家中寶)하면  제조산화일양춘(啼鳥山花一樣春)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삼불형의(三佛形儀) 총부진(總不眞)이요  안중동자면전인(眼中瞳子面前人)이다.

흙으로 뭉쳐서 만든 부처님, 나무로 깎아서 만든 부처님, 쇠를 녹여서 조성한 부처님, 가지 종류의 부처님의 형체가 총부진(總不眞)이여. 모두가 참다운 부처님이 아니여. 그러냐?

 

흙으로 조성한 부처님은 물에 들어가면 풀어져 버리고, 나무로 조성한 부처님은 속에 들어가면 버리고, 쇠붙이로 녹여서 지어붓은 부처님은 용광로(鎔鑛爐) 속으로 들어가면 녹아버린다 그말이여. 그러니 어찌 그러한 부처님의 불상(佛像) 갖다가 참다운 부처님이라고 수가 있겠느냐?

 

안중동자면전인(眼中瞳子面前人)이다. 속에, 동자(瞳子) 속에 나타나 있는 그것이 바로 앞에 있는 사람의 모습이더라 그말이여.

사람마다 눈동자 속에 보면은 사람 모습이 있는데, 눈동자 속에 있는 모습이 바로 자기 앞에 있는 사람의 모습이여. 사람의 모습이 바로 눈동자 있는 데에서 찾아봐야 사람의 모습이 거기에 비추어져 있다 그거거든.

 

약능신득가중보(若能信得家中寶)하면, 만약 능히 집안에 있는 보배를 믿는다면,

 

집안에 있는 보배가 무엇이냐?

어떤 사람이 죽을 평생 먹고 쓰고도 남을 보물의 구슬이 있었는데, 보주(寶珠) 아들한테 전해 주어야겠는데 아들이 너무 어려가지고 보물을 전할 수가 없어서 아들의 속에다가 보물을 넣어놓고 그래 가지고 꽁꽁 꿰메서 두었다 그말이여.

혹은 집안에 어디다가 깊이 간직을 놨는데 아들한테는 일러줄 수가 없으니까, 자기의 친구한테 그것을 일러주었어. ‘ 자식이 철이 들거든 거기 보물이 있는 곳을 가르켜 줘라일러주고서 죽었는데.

 

아들이 부모가 죽어버리니까 혈혈단신(孑孑單身) 되어 가지고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유랑걸식(流浪乞食) 하고 돌아다녔다 그말이여.

 

자기한테 그런 아버지의 유산으로 받은 평생 쓰고 먹고 남을 보배가 있는 모르고 그렇게 갖은 고생을 하면서 거지 신세로 그렇게 돌아다니다가 어느 자기 아버지의 친구를 만났어.
그래 가지고바로 너의 속에 보배가 있다또는너의 어디에 가면은 보배가 있다그래 가지고 보배를 발견을 가지고 평생토록 유족(裕足)하게 살았다 하는 경전에 있는 말씀인데.

 

자기 안에 있는 보배, ‘그것이 바로 무엇이냐?’하면은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소소영령(昭昭靈靈) 주인공(主人公), 그것을 갖다가 집안의 보배에다가 비유를 해서 말씀을 하신 거여.

부르면 대답할 알고, 욕하면 성낼 알고, 배고프면 먹을 아는, 그리고 슬퍼할 줄도 알고, 기뻐할 줄도 알고, 성낼 줄도 아는 바로 그놈.

 

성내고 울고불고하는 그러한 작용이 어디서 나오느냐? 그말이여. 탐심도 줄도 알고, 고약한 마음을 내는데, 마음 아는 , 그러한 작용이 어디에서 일어나느냐?

작용이 일어나는 바로 당처(當處), 그것은 우리는 수가 없어. 중생심으로는 그놈은 수가 없고, 중생견으로는 그것을 수가 없는 거여. 더군다나 육안으로는 보일 수도 없어.

 

그런데 그놈으로부터서 온갖 중생의 육식(六識) 거기서 발동을 한다 그말이여.

발동하는 그놈을, 발동하는 근본, 당처를 진실로 얻어버리면, 그놈을 깨달라 버리면, 제조산화(啼鳥山花) 일양춘(一樣春)이다. 우는 새와 산에 울긋불긋 피는 꽃이 한결같은 봄이더라.

 

우는 새소리가 바로 부처님의 법문이요, 산에 울긋불긋 피어있는 꽃이 바로 부처님의 몸뚱이더라이렇게 해석을 붙이면 경전은 김이 새버린 것입니다.

바로 봄이 돌아오니 산에는 울긋불긋 꽃이 피고 새는 노래한다 이거거든. 거기에다기 무슨 변명을 붙이고, 변명을 붙이면은 그것은 깨달음의 소식이 아니라 중생의 망견(妄見) 되어버리는 것입니다

 

오늘 칠석날을 맞이해서 여러분은 동참을 해서 부처님께 공양을 올렸으니 그리고 대중스님네 공양을 올렸으니 여러분은 유루(有漏), 무루(無漏) () 영생토록 쓰고 남을 복록을 받게 되셨으며,

 

최상승 법문을 들었으니 여러분은 생사해탈을 해서영원히 고해(苦海) 육도윤회(六道輪廻) 해탈을 해서생사 없는 열반(涅槃) 세계에서 삼세제불(三世諸佛) 더불어 무생곡(無生曲) 읊을 있게 되었습니다.(5520~6418)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삼불형의총부진~’ ;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야부도천 게송 참고.

*용광로(鎔鑛爐 녹일 /쇳돌 /화로 ) ; 높은 온도로 광석을 녹여 , 구리, 따위의 쇠붙이를 뽑아내는 가마.

*혈혈단신(孑孑單身 외로울 / / ) ; 의지할 없이 외로운 홀몸.

*유랑걸식(流浪乞食 흐를·떠돌 /물결·떠돌아다닐 / / ) ; 일정한 거처가 없이 떠돌아다니며 밥을 빌어먹음.

*소소영령(昭昭靈靈) ; 한없이 밝고 신령함. 소소(昭昭) 영령(靈靈) 함께 밝은 . 밝은 모양. 진여(眞如)•법성(法性)•불심(佛心) 의미하는 .

*당처(當處) ; 어떤 일이 일어난 자리. 그곳. 또는 이곳.

*생사해탈(生死解脫) ; 생사(生死) 떠나 깨달음의 세계에 드는 .

*고해(苦海) ; 중생이 태어나서 죽어 윤회하는 영역으로서의 세개의 세계, 삼계(三界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에서 생사의 괴로움이 무한하므로 바다에 비유함.

*육도윤회(六途輪廻, 六道輪廻) ; 선악(善惡) 응보(應報) 육도(六途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 고락(苦樂) 받으면서 죽음과 삶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

*열반(涅槃) : [] nirvana  [] nibbana  음을 따라 니반나(泥畔那) • 니원(泥洹) • 열반나(涅槃那) 쓰고, 뜻으로 번역하여 () • 적멸(寂滅) • 멸도(滅度) • 원적(圓寂) • 안락(安樂) • 해탈(解脫) 등이라 한다.

번뇌 망상이 일어나고 꺼짐이 없어져, 지극히 고요하고 깨끗하고 밝고 맑은 경지를 말함이니, 소승법(小乘法)에서는 번뇌를 끊어 버리고 생각을 일으키지 말아야 열반에 든다 하고,

대승법으로는 번뇌가 본래 없는 이치를 깨치면 생각이 일어나도 일어나는 것이 아니어서, 사바세계의 어떤 환경에서 무슨 일을 하든지 열반의 즐거움이 되는 것이다. 따로 열반에 들고 나고 없이 무엇이나 열반이며 어느 때나 열반이다. 이것이 열반인 것이다.

*삼세제불(三世諸佛) ; 삼세(三世 과거와 현재와 미래) 모든 부처님[諸佛].

*무생곡(無生曲) ; 무생의 노래. 생멸(生滅) 벗어난 진리의 노래. ‘무생이란 생겨남[] 없는 []. 일체법이 생겨나고 멸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어떤 것도 자성적 실체를 갖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는 생겨나거나 멸하는 것이 없음을 나타내는 말이다. ‘()’이란 곡조(曲調) 종지(宗旨 가르침의 요지) 가리킨다.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