ㅂ/불(佛) 불법(佛法)2019. 12. 19. 19:35

 

 

부처님[佛] (No.428) - 석가(불보살)의 임은 중생 | (게송) 법법지인무구구~ | 무산지몽(巫山之夢).

 

*부처님[佛] ; ‘부처’에 해당하는 산스크리트어, 팔리어는 buddha이다. 이 buddha의 온전한 음사어는 불타(佛陀·佛馱), 부도(浮圖·浮屠), 부타(浮陀), 부두(浮頭), 발타(勃陀·馞陀), 몰타(沒駄) 등이 있다. 각자(覺者), 지자(知者), 각(覺)으로 한역. 불타(佛陀)라는 말이 순우리말로 ‘부텨’라고 읽히고 이 말이 점차 변하여 ‘부처’가 되었다. 보통 경칭어미를 붙여 ‘부처님’이라 한다.

 

궁극적인 진리를 깨달은 사람이라는 뜻이며, 가장 크고 높고 참된 이치를 자기가 깨치고[自覺] 남들까지 깨치게 하여[覺他], 그 지혜와 복이 끝없이 원만하고 이치와 일에 두루 걸림없고[覺行圓滿], 등정각(等正覺)을 성취한 이를 말한다.

그 참 이치를 가르쳐서 누구나 부처가 되고, 어디나 밝고 깨끗하고 평등하고 싸움 없는 세상이 되게 하는 것이 부처님의 가르치심 곧 불교(佛敎)다.

 

(17분 38초)

 

[법문] 송담스님(No.428) - 1990년 11월 첫째일요법회 (용428)

 

법법지인무구구(法法只因無咎咎)허고  심심다위불생생(心心多爲不生生)이니라

나무~아미타불~

한원야곡무산월(寒猿夜哭巫山月)헌디  객로원래불가행(客路元來不可行)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법법지인무구구(法法只因無咎咎)요, 모든 법(法)은 다못 허물 없음을 인해서 허물이 되고,

심심다위불생생(心心多爲不生生)이다. 모든 마음, 마음 마음은 불생 때문에, 불생(不生)—나지 아니함으로부터서 나게 된다.

 

아까 전강 조실 스님께서 『육조단경(六祖壇經)』을 설하실 때, 육조 스님이 ‘응무소주(應無所住) 이생기심(而生其心)이다. 뻑뻑이 주한 바 없이 그 마음을 낸다’

그 주(住)한 바 없이 마음을 낸 것이 바로 불생(不生) 때문에 마음이 생하게 된다. 생(生)할 것이 있어서 생(生)한 것이 아니라 원래 남[生]이 없는 데에서 마음이 난다.

 

한원야곡무산월(寒猿夜哭巫山月)한데, 차운 원숭이는 밤에 무산의 달을 보고 곡(哭)을 하는데 우는데,

객로원래불가행(客路元來不可行)이다. 나그네 길이 원래 가히 행할 수가 없더라.

원숭이가 그 무산(巫山)의 달을 보고 어떻게 간장(肝腸)이 끊어지도록 슬피 울던지 그 슬피 우는 원숭이 소리를 차마 들을 수가 없어서 객(客)이 그 밑에를 지나갈 수가 없더라.

 

 

무산은 저 중국 사천성 기주부에 있는 무산현 동쪽에 있는 산 이름인데 그 무산에 무산지몽(巫山之夢)이라 하는 고사(故事)가 있는데, 초나라 양왕(襄王)이 고당(高唐)이라고 하는 누대(樓臺)가 있어서 그 누대에 유람을 가 가지고 하룻밤 거기서 자게 되는데, 낮에 꿈을 꾸었다.

 

낮잠을 자다가 꿈을 꾸었는데 천하절색(天下絶色) 여인이 떠억 나타나더니, '저는 무산에 있는 여자로서 이 고당이 하도 경치가 좋다고 그래서 놀러 왔는데, 들으니 임금님께서 여기에 계신다는 말씀을 듣고 임금님을 친견하고 하룻밤 동침하면서 잘 모시고 싶어서 왔습니다'

이래 보니 어떻게 이쁘던지 양왕이 그 여자를 거절하지 못하고 하룻밤을 잤어. 그게 인자 꿈에 잤겄다.

 

자고서 그 이튿날 떠나면서 '저는 무산 양지바른 높은 언덕에 살고 있는데, 앞으로 날마다 아침이면 임금님에 구름이 되어서 보여 드리고 저녁때가 되면 비가 되어서 임금님께 뿌려 드리오리다'

그리고서 작별을 했는데, 그리고 나서는 이 양왕도 깨고 보니 꿈이다 그말이여. 꿈이지만 그 아리따운 모습이 눈에 삼삼해.

 

그런데 그리고 난 뒤에는 아침에면 항상 그 무산에 구름이 끼고 저녁때가 되면은 비가 내려.

'아! 저게 무산에 아름다운 여자가 나에게 신호를 하는구나' 그렇게 생각하고 하루는 무산에 가서 그 양지바른 언덕을 찾아가서 거기에다가 그 여인의 사당(祠堂)을 지어 주었어.

 

그런 고사가 있는데 그 여인이 밤에면 원숭이가, 그리고 나서 세월이 많이 흘러간 뒤에도 그 밤이 되면 임이 그리워서 간장이 끊어지도록 슬피 울어. 그래서 무산 밑에는 나그네가 그 울음소리 때문에 차마 지나갈 수가 없더라.

 

 

한용운 스님의 『님의 침묵(沈默)』이라고 하는 시집에 서문 격으로 쓴 ‘군말’이라 한 제하(題下)에 쓴 글이 있는데 그 모두 다 잘 아시겠지만,

‘「님」만 님이 아니라 기룬 것은 다 님이다. 중생(衆生)이 석가(釋迦)의 님이라면 철학(哲學)은 칸트의 님이다. 장미화(薔薇花)의 님이 봄비라면 마치니의 님은 이태리(伊太利)다. 님은 내가 사랑할 뿐 아니라 나를 사랑하느니라’

 

그런 첫마디에 그리 썼는데, 한용운 스님은 독립선언문에 나오는 33인 중에 한 분이시고 참 학덕이 높고 독립운동의 사상, 애국심이 투철하시고. 그때면 옛날인데 어떻게 그런 ‘님의 침묵’과 같은 현대의 어디에다 내놔도 손색이 없을만한 그러한 참 감동을 주는 그런 시를 썼는지.

 

한용운 스님은 부처님을 님이라고 믿고 시를 읊기도 하고, 불교의 진리를 님이라고 표현하기도 하고, 잃어버린 우리 국가를 님이라고 생각하기도 하고, 한 글자의 님이지만 한용운 스님은 여러 가지 뜻으로 시를 읊었는데,

과연 부처님의 임은 중생(衆生)이다. 중생은 부처님의 임이라고 표현을 했다 말이여. 중생의 임이 부처님이 아니라 중생이 석가의 임이다 그랬다 말이여. 내가 사랑할 뿐만 아니라 임도 나를 사랑한다 그거거든.

 

'과연 부처님과 모든 보살, 불보살은 손바닥만한 땅도 불보살이 중생을 위해서 몸을 버리지 않은 곳이 없다' 경전에 그런 말씀이 있습니다. 삼세제불(三世諸佛)과 팔만사천(八萬四千)의 모든 보살님네들이 중생을 제도(濟度)하고 중생을 살리기 위해서 스스로의 몸을 수백억만 번 무량겁을 두고 몸을 바쳐왔다.

중생이 불보살의 임이기 때문에 임을 위해서 그렇게 몸을 바치셨다 그말이여. 구체적인 예로 부처님은 배고픈 호랑이를 위해서 몸을 던져 주시기도 하고 그밖에도 수없이 몸을 중생을 위해서 축생을 위해서까지 몸을 버리셨다 그말이여.

 

부처님의 제자 둘이 여행을 하여, 부처님을 친견하기 위해서 저 머나먼 여행을 하다가 목이 말랐다.

한 사람은 그 물을 떠서 먹을라고 하니까 아주 눈에 보일락 말락한 미세한 벌레가 우물거리고 있어. 한 사람은 그것을 먹고, 한 사람은 그것을 먹으면 그 벌레가 죽을까 봐서 안 먹었기 때문에 목말라서 죽었어.

 

그 안 죽은 사람이 돌아와서 부처님께 와서 ‘한 사람은 그 물을 안 먹었기 때문에 죽고, 저는 부처님을 친견하기 위해서 목말라 죽으면 못 만나 뵈옵기 때문에 그래서 그 물을 먹고서 왔습니다’

그러니까 부처님께서 꾸지람을 하셨다. ‘니가 어찌 나를 친견한 목적이 무엇이냐? 구경(究竟)에 가서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나를 만나려고 했는데 나를 친견하기 전에 그 많은 중생을 죽이고 왔단 말이냐' 이리 꾸중을 하셨다고 하는 말씀이 경전에 있는데.

 

그렇게 많은 생을 부처님은 몸소 중생을 위해서 몸을 바치셨어. 부처님은 우리를 위해서 그렇게 수많은 목숨을 바치고 우리를 그렇게 사랑을 하셨는데 우리는 과연 불교를 믿는 불자(佛子)로서 얼마만큼 간절히 부처님을 잊지 않고 생각을 하는가?

무산의 여자는 아침엔 구름이 되어서 임에게 보여 드리고 저녁때는 비가 되어서 임에게 뿌려 드리고 밤중에는 잔나비가 되어서 간장이 끊어지도록 울고 울어서 임을 그리워했건만, 우리는 과연 얼마만큼 부처님을 그리워하고 부처님을 사랑하고 부처님을 받들었던가.

 

물론 이 자리에 모이신 사부대중(四部大衆) 여러분은 부처님을 위해서 청춘도 바치고 명예와 권리와 인생을 다 바치고 그리고 부모와 형제와 일가친척 모든 것을 다 바치고 출가해서 도를 닦으신 분도 많이 계실 것이고, 많은 재산을 자기는 아까와서 못 먹고 그러면서도 그 소중한 재산을 불사(佛事)를 위해서 바친 그런 분도 많이 계실 것입니다.

그리고 무수배례(無數拜禮)를 부처님께 올리고 3천배, 3만배 또 자기집의 모든 재산 · 살림 · 자녀 · 남편까지도 부처님을 위하는 신심을 위해서는 그런 것을 잊어버릴 정도로 그런 돈독한 신심을 가지신 분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 세상에는 너무도 그 임을 자기 나름대로는—아까 한용운 스님의 시처럼 임만 임이 아니라 기룬 것은 다 임이다 했으니 여자에게 남자가 임이 되고, 남자에게는 여자가 임이 된 것 나쁘다 할 것이 없을 것이고, 가난한 사람은 재산이 임이 될 수도 있고, 높은 벼슬이나 명예나 권리도 임이 될 수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임은 정말 내가 목숨 바칠 수 있고, 한 목숨 뿐만이 아니라 수천 · 수만 · 수백만의 목숨이라도 바쳐도 아까울 것이 없고 끝이 없고 한이 없어야 할 그러한 임을 임으로 삼았으면 참 좋으련만.

세속 사람들이 흔히 임으로 섬기는 재산을 임으로 삼는다든지, 남녀간에 색정(色情)을 임으로 삼는다든지, 식도락가는 맛있는 음식을 임으로 삼는다던지, 명예나 권리를 임으로 삼는다든지, 또는 안락과 수면을 임으로 삼는, 한마디로 말해서 오욕락(五欲樂) 따위를 임으로 삼고, 그것을 향해서 몸과 목숨과 자기의 모든 것을 바친다면 그 사람은 결국은 결과가 어떻게 되겠습니까?(처음~17분 43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법법지인무구구~’ ; 『신심명(信心銘) - 벽의해(闢義解)』 중봉 명본선사(中峰 明本禪師) (명정 역주, 극락선원, 2014년 개정판) p104 게송 참고. *(頻伽藏本)天目中峰和尚廣錄 卷第十二之上 信心銘闢義解上 게송 참고.

*법(法) : [범] dharma [파] dhamma 음을 따라 달마(達磨•達摩) 또는 담무(曇無)로 써 왔다。온갖 것을 총칭하여 이르는 말이니, 온갖 일과 모든 물질이며, 온갖 이치와 옳은 것(是), 그른 것(非), 참된 것(眞), 거짓된 것(妄)이 모두 이 「달마」에 들어 있다。그러나 흔히 부처님이 가르친 교리만을 법이라고 한다.

*전강 조실 스님 ;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에서 분류 '역대 스님 약력' 참고.

*육조단경(六祖壇經) ; 중국 선종의 제6조로서 남종선의 개조인 혜능(慧能:638~713)이 사오관[韶關]의 대범사(大梵寺)에서 행한 공개 설법의 기록을 중심으로 생애와 언행을 제자 법해(法海)가 모았다고 전해지는 책. 본래 명칭은 육조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壇經)이며 약칭하여 '단경'이라고도 한다. '단'은 계단 (戒壇)을 가리키고 '경'은 경전과 같은 권위를 부여하여 붙인 말이다.

'육조법보단경(六祖法寶壇經)'·'법보단경(法寶壇經)'이라고도 한다.

*무산지몽(巫山之夢) ; 남녀의 정교(情交). 출전은 송옥(宋玉)의 <고당부(高唐賦)>로서,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의 신녀(神女)를 만나 정을 맺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다.

*고사(故事 옛 고/일 사) ; 예[故]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유서 깊은 일[事]. 또는 그것을 나타낸 어구. 옛날 이야기.

*누대(樓臺 다락 루/대 대) ; 크고 높게 지은 정자나 누각, 또는 높은 건물.

*슬피 ; 마음이 아파 슬프게.

*간장(肝腸 간 간/ 창자·마음 장) ; 애(근심에 싸여 초조한 마음속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나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간장을 끊다 ; (소리 따위가) 몹시 슬프고 애달프다.

[참고] ‘단장(斷腸)의 슬픔’에 대한 고사가 전해져 오는 것이 있다. 《세설신어(世說新語) 출면편(黜免編)》에 보면 진(晉)나라 환온(桓溫)이 촉(蜀)을 정벌(征伐)할 때의 얘기가 나온다. 환온이 촉을 치기 위해 여러 척의 배에 군사를 나누어 싣고 가는 중이었다. 양쯔강 중류의 협곡(峽谷)인 삼협(三峽)이라는 곳을 지날 때 한 병사가 원숭이 새끼 한 마리를 잡아 왔는데, 그 어미 원숭이가 환온이 탄 배를 좇아 백 여리를 슬피 울며 뒤따라오다가 배가 강어귀가 좁아지는 곳에 이를 즈음, 어미 원숭이는 몸을 날려 배 위로 뛰어들었다.

하지만 어미 원숭이는 자식을 구하려는 일념으로 애를 태우며 달려왔기 때문에 배에 오르자 안타깝게도 죽고 말았다. 배에 있던 병사들이 죽은 원숭이의 배를 갈라 보니 창자가 토막토막 끊어져 있었다. 자식을 잃은 슬픔이 창자를 끊어낸 것이었다. 배 안에 있던 군사들이 모두 놀라 환온에게 고하니 이 말을 전해들은 환온이 새끼 원숭이를 풀어주고, 그 원숭이를 잡아왔던 병사를 매질한 다음 내쫓아 버렸다.

*천하절색(天下絶色 하늘 천/아래 하/뛰어나다·더이상 없음 절/미인 색) ; 하늘[天] 아래[下] 비길 데 없이 매우 뛰어난[絶] 미인[色].

*삼삼하다 ; [주로 ‘눈’과 관련된 명사와 함께 쓰여](모습이나 풍경이 눈에)보이는 것처럼 잊히지 아니하고 또렷하다.

*사당(祠堂 사당·제사 사/집 당) ; 조상의 신주(神主 죽은 사람의 위패)를 모셔 놓은 집. 또는 신주를 모셔 놓기 위해 조그맣게 집처럼 만들어 둔 곳.

*님(임) ; 사모하는 사람. ‘님’은 ‘임’의 옛말.

* ‘~기룬 것은 다 님이다’ ; 기룬-->‘기루다’ : 어떤 대상을 그리워하거나 아쉬워하다.

*중생(衆生) : 참 성품을 잃어버리고 망녕된 온갖 생각이 분주하게 일어났다 꺼졌다 하기 때문에, 온갖 세계에 돌아다니면서 났다 죽었다 하는 무리들, 곧 정식(情識)이 있는 것들을 모두 중생이라 한다.

그러므로 사람뿐 아니라 모든 동물과 귀신들과 하늘 사람들까지 합쳐서 하는 말인데, 유정(有情) • 함령(含靈) • 함식(含識) • 군생(群生) • 군맹(群萌) • 군품(群品) 같은 여러 가지 말로도 쓴다。부처님은 구제의 대상을 인류(人類)에게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와 같은 중생 전부를 가르치고 건지시는 것이다.

*마치니(Giuseppe Mazzini, 1805-1872) ; 근대 이탈리아 건국 운동의 정치가.

*삼세제불(三世諸佛) ; 삼세(三世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모든 부처님[諸佛].

*팔만사천(八萬四千) : 법수(法數)에는 이 말이 퍽 많다。그것은 중생의 망상이 벌어져 나가는 것을 자세히 분석하면 팔만사천 갈래가 된다고 한다。그러므로 망상을 따라 일어나는 악마의 수효도 팔만사천이요, 망상을 다스리는 법문도 팔만사천이다.

또한 인도에서는 많은 수효를 말할 때에는 이 말을 쓰는 수가 가끔 있다。이것을 줄여서 팔만이라고만 하기도 한다.

*제도(濟度 건널 제/건널 도) ; 중생을 미혹의 큰 바다(생사고해 生死苦海)로부터 구하여[濟], 생사없는 피안(彼岸, 깨달음의 언덕)에 이르게 하는[度] 것. 제(濟)는 구제(救濟). 도(度)는 도탈(度脫). 비유적인 표현으로 교화(敎化)를 의미한다.

*구제(救濟 건질 구/건널 제)—어려움이나 위험에 빠진 사람을 돕거나 구하여 줌.

*도탈(度脫 건널 도/벗을 탈)—속세의 속박이나 번뇌 등에서 벗어나 근심이 없는 편안한 경지에 도달함.

*'부처님은 배고픈 호랑이를 위해서 몸을 던져 주시기도 하고' ; 『불설보살투신이아호기탑인연경(佛說菩薩投身飴餓虎起塔因緣經)』 북량(北涼) 고창국(高昌國) 사문법성(沙門法盛) 한역. (아래 글은 요약 정리한 것임)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건타월국(乾陀越國)에 머물러 계실 때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과거 9겁 때 세상에 한 큰나라에 전단마제(栴檀摩提)라는 태자가 있었다. 어려서부터 항상 보시하기를 좋아하여 몸과 목숨과 재물을 남기고 아끼는 바가 없고, 자신과 신하 사야(闍耶)의 모든 것을 보시하고서도 오히려 가난한 이를 만족시키지 못한 것을 안타까워 하다가, 태자는 배제사(裴提舍)라고 하는 나라로 들어가 자신의 몸을 바라문에게 팔은 돈을 또 모두 가난한 이에게 보시하고 나무를 해다가 파는 종이 되었다.

나무를 하다가 얻은 우두전단(牛頭栴檀)으로 그 나라의 왕의 나병(癩病)을 치료하여 준 인연으로 왕에게 받은 큰 재물을 가난한 사람에게 보시하였다. 그리고 본국으로 돌아왔다. 태자는 부왕의 큰 환영을 받고 부왕은 나라 곳간의 무엇이던지 마음대로 베풀 것을 허락하였다.

 

이때 그 나라의 수도 가까운 산에서 용맹(勇猛)이라는 5통(五通) 신선도사(神仙道士)가 오백 명의 제자와 함께 수행하고 있었는데, 태자 전단마제는 그들에게 음식을 바치고 선사(仙師)의 설법을 듣고 세상의 덧없음[無常]을 깨닫고 무위(無爲)를 구하여 모든 괴로움을 제도코자 그길로 선인들과 함께 수행하기 시작했다.

왕후와 태자의 후비는 태자의 뜻이 견고함을 알고 때때로 산 속의 태자에게 음식을 공양하기를 여러 해를 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그 산 아래 낭떠러지인 언덕의 깊은 골짜기 밑에 어미 호랑이 한 마리가 있었는데 새끼 일곱 마리를 낳았다. 이때 하늘에서 큰 눈이 내려 먹을 것을 얻지 못하여 어미와 새끼가 곧 죽게 되었고 어미 범은 이미 굶주림에 핍박되어 도리어 새끼를 먹고자 하였다. 산 위에서 수행하던 선인들은 이 비참한 광경을 보고 안타까워 하였다.

 

이 이야기를 듣고 태자는 낭떠러지의 끝에 서서 아래에 어미 범이 새끼를 안고 눈에 덮여 있음을 보고 대비심(大悲心)을 내어 산꼭대기에 서서 머물러 고요히 정(定)에 드니 곧 청정무생법인(淸淨無生法忍)을 얻어 과거 무수겁(無數劫)의 일과 미래도 또한 그러한 것을 보았다. 과거 생에 자신은 중생을 위해 '천 번 몸을 버리겠다'고 서원하였고, 이미 9백99번의 몸을 버리었음을 알게 되었다. 태자는 천 번의 몸을 채우기를 결심하였다.

스승과 오백의 신선 도사와 마침 공양하러 온 부란(富蘭)이라는 장자와 남녀 오백 사람은 태자가 몸을 버리려는 것을 보고 슬피 느껴 울부짖으면서 또한 태자를 따라 산 언덕 끝에 이르렀다.

 

이에 태자는 모든 사람의 앞에서 큰 서원을 발하였다.

'내가 이제 몸을 버리어 중생의 목숨을 구제하오니 이 공덕으로 빨리 보리를 이루고 금강의 몸인 상(常) · 락(樂) · 아(我) · 정(淨)의 무위(無爲)의 법신(法身)을 얻어서 제도치 못한 이를 제도하며 해탈치 못한 이를 해탈케 하며 편안치 못한 이를 편안케 하소서.

나의 이제 몸은 무상하며 번뇌의 모든 독이 모인 것이며, 이 몸은 청정치 못하여 아홉 구멍이 차서 흐르고 사대(四大)의 독사가 쏘는 바며, 다섯의 칼 뺀 도적이 쫓아서 상해(傷害)하는 것이니 이와 같은 몸은 반복이 없도다. 맛나고 감미로운 음식과 오욕락(五欲樂)으로 이 몸을 공양할지라도 목숨을 마친 뒤에는 선한 은혜를 갚음이 없고 도리어 지옥에 떨어져서 한량없는 괴로움을 받는 것이다. 그러니 사람의 몸이라는 것은 오직 괴롭게 하는 것이요, 즐거움을 주지 않는 것이다'

 

태자는 가지가지로 그 몸의 허물을 꾸짖은 뒤에 또한 서원을 발하였다.

‘이제 내가 살과 피로 저 주린 범을 구제하오니 남은 사리(舍利)와 뼈로 우리 부모가 후일에 꼭 탑을 세워서 일체 중생의 몸에 모든 병으로 인한 괴로움이 숙세 죄의 인연으로 생겨 탕약(湯藥)과 침구(鍼灸)로는 낫지 못하는 이로 하여금 내 탑에 이르러 지극한 마음으로 공양하면 병의 가볍고 중함에 따라 백 일이 지나지 아니하여 반드시 낫게 하소서. 만일 진실하고 허망하지 아니할진댄 모든 하늘은 향기로운 꽃을 비내리소서’

모든 하늘은 소리에 응하여 만타라(曼陀羅)꽃을 비처럼 내리고 땅은 모두 진동하였다.

 

태자는 곧 몸을 범의 앞으로 던졌다. 이에 어미 범은 태자의 살을 먹어서 어미와 새끼가 다 살아나게 되었다.

이 일로 오백 선인은 위없는 정진도(正進道)의 뜻을 발하였으며 신선의 큰 스승은 무생인(無生忍)을 얻었다.

 

이튿날 왕과 부인과 후비와 모든 신하들은 이 사실을 알고 기절하여 사람을 알지 못하였다. 이때 신하들은 왕께 여쭈어 곧 태자의 뼈를 거두어 칠보탑을 세우고 보배로운 물건으로 장엄하였다.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이때 태자는 나의 몸이요, 이때 부왕은 곧 지금의 나의 아버지 열두단(閱頭檀)이요, 이때 부인은 어머니 마야(摩耶)요, 이때 후비는 지금의 구이(瞿夷)요, 이때 대신 사야는 아난이요, 이때 산 위의 신선의 큰 스승은 미륵(彌勒)이요, 배제사(裴提舍)왕은 난타(難陀)요, 이때 바라문은 라운(羅雲)이니라.

미륵보살은 옛적부터 항상 나의 스승이었는데 내가 보시하여 몸과 목숨을 아끼지 아니하고 중생을 구제한 까닭에 스승보다 앞서 훌쩍 9겁(劫)을 초월하였으니 지금의 부처를 얻음에 이르기까지 제도함이 끝이 없었느니라”

 

*구경(究竟 궁구할 구/마칠·다할 경) ; 어떤 과정의 마지막이나 막다른 고비. 그 위에 더 없음. 최고의 경지. 궁극에 도달함.

*불자(佛子) : 부처님의 자녀라는 뜻이다. 불법(佛法)을 믿는 이면 모두 불자가 된다. 그것은 부처님 법에서 새로운 생명을 얻었기 때문이며 부처님의 혜명(慧命)을 이어가고, 법(法)의 집과 법(法)의 재산을 상속받게 되는 까닭이다.

또한 모든 중생을 다 불자라고 하는데, 그것은 어떤 중생이나 모두 부처의 성품(佛性)이 있어서, 그것이 부처의 씨가 되고, 지혜는 어머니가 되며 부처님은 아버지가 되어, 필경에는 반드시 성불(成佛)하게 된다.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에는 불자에 다섯 가지 뜻이 있다고 하였다. ①믿음이 종자가 되고 ②지혜는 어머니가 되고 ③선정은 태(胎)가 되고 ④자비심(慈悲心)은 유모가 되고 ⑤부처님은 아버지가 된다.

*사부대중(四部大衆) ; 불문(佛門)에 있는 네 가지 제자. 곧 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 등 출가 제자와 우바새(優婆塞), 우바이(優婆夷) 등 재가 제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사중(四衆)과 같은 말. 줄여서 사부(四部)라고도 한다.

[참고] 우바새 : upasaka의 음역. 삼귀의(三歸依)와 오계(五戒)를 받아 지니는 남성 재가신도.(같은 말=靑信士,靑信男,信男,信士,居士,近事男,近善男,善宿男) 원래의 말뜻은 모시는 사람. 받들어 모시는 사람. 출가자와 승단을 가까이에서 돌보고 보호하며 한편 가까이 배우는 사람이라는 뜻을 지닌다. 선숙(善宿)은 선(善)을 품어 그것에 머물기[宿] 때문에 선숙이라고 한다.

우바이 : upasika의 음역. 삼귀의(三歸依)와 오계(五戒)를 받아 지니는 여성 재가신도. (같은 말=靑信女,信女,近事女,近善女,善宿女)

*불사(佛事) ; ①불법(佛法)을 알리는 일. 법회, 불공(佛供), 재(齋)의 봉행, 경전의 간행과 유통, 사찰의 중창과 전각 중수, 불상·탱화·불구(佛具)·가사(袈裟) 조성 등의, 불가(佛家)에서 행하는 모든 일을 가리킨다. ②부처님께서 중생을 교화(敎化)하시는 일.

*무수배례(無數拜禮) ; 헤아릴 수 없이[無數] 많은 절을 하여 예를 표함.

*오욕락(五欲,五慾,五欲樂) ; ①중생의 참된 마음을 더럽히는 색,소리,향기,맛,감촉(色聲香味觸)에 대한 감관적 욕망. 또는 그것을 향락(享樂)하는 것. 총괄하여 세속적인 인간의 욕망. ②불도를 닦는 데 장애가 되는 다섯 가지 욕심. 재물(財物), 색사(色事), 음식(飮食), 명예(名譽), 수면(睡眠)을 이른다.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