ㅅ/십선계 십악2016. 2. 18. 12:52

십선계(十善戒) (No.470)—참선을 하면 몸으로나, 마음으로나 열 가지의 계를 범할 것이 없이 저절로 계가 지켜지는 것이다.

 

*십선계(十善戒) ; () () 마음()으로 짓는 10가지 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 망어(妄語), 기어(綺語), 악구(惡口), 양설(兩舌), 탐욕(貪慾), 진에(), 사견(邪見)— 짓지 않겠다고 결심함.

 

*십악(十惡) ; () () ()으로 짓는 가지 죄악.

〇몸()—①살생(殺生 살아 있는 생명을 죽임) ②투도(偸盜 남의 재물을 훔침) ③사음( 삿된 음행).

〇말()—④망어(妄語 거짓말이나 헛된 ) ⑤기어(綺語 진실이 없는, 교묘하게 꾸민 ) ⑥양설(兩舌 이간질하는 ) ⑦악구(惡口 남을 괴롭히는 나쁜 , ).

〇뜻()—⑧탐욕(貪欲 탐내어 그칠 모르는 욕심) ⑨진에( 성냄) 사견(邪見 그릇된 견해).

 

*계(戒) ; 불교에 귀의한 자가 선(善)을 쌓기 위해 지켜야 할 규범.
[참고] 송담스님(No.340)—1987년 10월 첫째 일요법회.
계(戒)는 계기(戒器)라, 그릇에다가 비유를 했습니다. 그리고 정(定)은 정수(定水), 물에다가 비유를 하고, 혜월(慧月), 혜(慧)는 달에다가 비유를 했습니다. 계(戒)를 잘 가짐으로 해서 참선, 정(定)을 잘 장애 없이 닦을 수가 있고, 그래서 지혜(智慧)를 얻을 수가 있다.
계의 그릇이 온당(穩當)해야 선정(禪定)의 맑은 물을 그 그릇에 담을 수가 있고, 그 맑은 물이 그릇에 잘 담겨져 있어서 안정이 되어야 하늘에 있는 밝은 달이 그 그릇에 나타나는 거와 같이, 계(戒)를 지키지 않고서는 온당하게 참선(參禪)을 할 수가 없고, 온당하게 정진을 하지 않고서 지혜를 얻을 수 없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 할 것입니다.
따라서 참선을 하고자 하고 지혜의 눈을 뜨고자 할진댄, 모름지기 부처님의 계를 받아서 그것을 잘 가짐으로 해서 도(道)를 이룰 수가 있는 것입니다.(14분31초~16분33초)


*선(善) ; [산스크리트어] kuśala  올바르고 청정하여 현재와 미래에 걸쳐 자신과 남에게 이익이 됨. 궁극적인 진리에 따름.

 

(17분 28초)

 

[법문] 송담스님(No.470)—92 4 첫째 일요법회(92.04.05)(용470)

 

닦는 사람은 첫째 자기 안에서 자성을 자기의 본성(本性) 깨달아야 하고, 자기 안에서 본성을 깨달으면은 모든 사람에게서도 사람 속에도 본성이 있다고 하는 것을 깨닫게 되고,

모든 속에서도 속에서도 본성을 깨달아야 되고, 모든 물건 속에서도 거기에도 불성(佛性) 있다고 하는 것을 깨닫게 되고, 꽃이 피었다 지고 잎이 피었다 지고 춘하추동 사시절에 따라서 변화해 가는 모든 것을 보고도 거기서도 불성을 깨달아야 것이다.

 

묘체(妙體) 나에게도 있고, 모든 다른 사람에게도 있고, 모든 미물의 중생에게도 있고, 일체 현상에도 있는 것이여.

 

그러기 때문에 첫째, 살생을 하지 말아라. 전체가 진리 덩어리요, 전체가 부처님이요, 전체가 나요, 나와 똑같은 것이기 때문에 그래서 산목숨을 죽이지 말아라.

둘째, 도둑질을 하지 말아라. 서로 화합해야 대중, 서로 존경해야 모든 사람의 것을 어찌 승낙 없이 도둑질을 할까 보냐.

셋째 사음(邪淫) 하지 말아라. 세속에서는 자기 아내, 자기 남편 이외와 몸을 섞지 말아라. 섞게 되면은 몸이 청정하들 못하고, 마음이 청정하들 못하고 그것이 결국은 서로 화합을 깨뜨리는 일이 되고 싸움을 일으키는 그리고 패가망신하게 되기 때문에 사음을 하지 말아라. 이것 가지가 몸으로 지켜야 ()이고.

 

번째는 망어(妄語) 하지 말아라. 거짓말을 하지 말아라. 입으로 지켜야 번째가 망어를 하지 말아라. 망어는 거짓말을 하는 것이여. 거짓말을 하면은 신의가 깨지고 존경을 받지 못하고 결국은 시비가 일어나서 화합이 깨지기 때문에.

 

다음에 (다섯째) 음탕하고 상스러운 말을 하지 말아라. 음탕한 , 상스러운 말은 보통 음담패설(淫談悖說)이라 그러고, 보통 Y, 와이담 그러는데, Y담이라는 외담이다 그러거든.

음탕하고 상스러운 말을 함으로써 서로 웃고 모다 그러는데 어떤 의미에서는 분위기를 밝게 하고 기쁘게 하게 위해서 그러는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수행자로서는 삼가해야 일이더라.

 

다음에 (여섯째) 양설(兩舌). 가지 말로, 사람 말을 여기 나쁘게 이야기 하고, 말을 저기 가서 나쁘게 얘기해 가지고 서로 화합을 깨뜨리는 .

그런데 해야 양설이 있어. 사람이 사이가 좋으면 사람이 설사 그렇지 했더라도아무개가 당신을 좋게 생각하더라그렇게 얘기하고 사람한테 가서는 사람이 얘기를 하는데 당신을 이러 이렇게 좋은 사람이라고 말하더라

실제 했어도 서로 화합을 붙이기 위해서 그러한 양설은 좋은 방편이 수도 있으나, 양설을 가지고 서로 이간질을 해서 싸움을 하게 만드는 그러한 일은 불자로서는 해서는 아니 것이다.

 

다음에 (일곱째) 악구(惡口). 악구는 ()인데, ‘호랑이 물어갈 , 벼락을 맞을 , 오라를 별별 입에 담을 욕을 장난삼아서도 하고 실지로 성이 나서도 하고 그러는데,

입을 통해서 나오는 말은 별로 들이고 나오고 그렇지마는 말이 결국은 한데에 떨어지지 아니하고 결국은 나쁜 과보를 받을 원인이 된다 말이거든.

말이 바로 마음에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입을 통해서 악한 말을 하면은 마음에 자죽이 남어.

 

그래서 막담을 짓는 내가 모래에다 혀를 박고 죽어도 어쩐다하고내가 죽어도 그것은 수가 없다그러한 막담 짓는 그러한 말을 사용을 하고, 악한 말을 하면 그것이 상대방의 마음에도 상처를 주고, 마음도 동시에 상처를 입게 되어서 언젠가는 입에서 나오는 말로 인해서 하나도 빼놓지 않고 과보를 받게 되는 것이여.

그래서 남에게도 욕을 해서는 아니 뿐만이 아니라 자기 친아들딸, 형제, 친구, 이웃한테 어떻게 그런 무서운 욕을 수가 있겠는가. 이상 가지가 입으로 짓는 ().

 

목련 존자(目連尊者) 자기 어머니한테어머니가 하도 간섭을 하고 그러니까 어머니한테누가 늙은이를 때려죽일 사람 없느냐 이러한 한마디를 부애 김에 과보로 오백생(五百生) 동안을 맞아 죽었다 그말이여.

부처님의 수제자요, 신통제일인 목련 존자가 한마디 그렇게 악한 말을 과보로 오백생 동안을 맞아 죽고, 부처님의 제자로 나와서도 결국은 외도(外道)한테 맞아서 열반(涅槃) 드셨다 그말이여. 한마디가 얼마나 무서운 것인가를 여러분은 수가 있을 것이여.

 

다음에 (여덟째) 탐욕심(貪欲心) 내지 말아라. 탐욕심은 물건에 대한 욕심뿐만이 아니어. 명예나 권리 그런 것도 역시 마찬가지여.

자기 마음으로 무엇이든지 자기 마음대로만 할려고 하는 , 자기의 의견만을 주장하고 남의 의견을 존중할 모르고 거기서 온갖 시비가 일어나고 싸움이 일어나고 분열이 일어나서 화합이 깨지는 것이여. 그리고 거기에서 모든 원수가 생겨나는 것이기 때문에 탐욕심을 갖지 말아라.

 

다음에 (아홉째) 진심(瞋心) 내지 말아라. 마음대로 안되면 성을 내거든. 중생은 모든 좋지 않은 결과를 보면 다른 사람한테  책임 전가를 하고, 상대방이 받아들이지 않으면 그래서 성을 내고, 무엇이든지 욕심을 갖고 자기 뜻대로 안되면 성을 .

성내는 것은 온갖 자기가 지은 공덕을 소모시키는, 없애는 그러한 요인이 되는 것이고, ‘성낸다 하는 것은 자기의 소가지, 자기의 인격 수준을 노출시키는 그러한 문이기 때문에 크고 작고 간에 함부로 성을 내지 말아라. 얼굴에 표현도 하지 말고 말로 표현하지 말고 마음속으로도 진심을 내지 말아라.

 

마지막 번째는 사견(邪見) 갖지 말아라. 사견이라 하는 것은 수없는 사견이 있지만, 불자로써 가장 중요한 것은 어리석은 마음으로 삿된 견해를 갖는 거여.

예를 들자면 인과(因果) 믿지 않는 것이 사견 중에는 가장 사견이여. 인과를 부정을 . 불자는 마땅히 인과의 법칙을 깊이 철저하게 믿어야 하는 거여.

인과의 법칙만 철저히 믿어도 사람은 앞에 말한 몸으로 짓는 가지, 입으로 짓는 가지, 그리고 탐욕을 내고 진심을 내는 그러한 십악(十惡) 저절로 짓게 것입니다.

 

 

살생은 쉽게 말하면산목숨사람이라든지, 밖에 짐승이라든지, 그렇게 사소한 벌레, 그런 산목숨을 죽이지 말라이렇게 말하면 누구라도 알아들을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차원을 높여서 말하면 사람뿐만이 아니라 나무라도, 풀이라도, 사람과 사람이 서로 나갈 때에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지 아니하고 ! ! 사람의 의견을 꺾는 수가 있거든.

그런 것도 엄밀히 말하면은 육체를 죽이는 것이나, 사람의 마음을 갖다가 ! 꺾어서 상처를 주는 것이야말로 참으로 살생이 수가 있습니다.

 

몸을 손상한 것은 다시 태어나면 되지만 마음을 갖다가 깊은 상처를 주면 세세생생(世世生生) 원결(怨結) 되고 보복을 받게 되고 하기 때문에,

이상 말한 것들이 물질적인 , 눈으로 있는 가시적인 그런 , 그런 면을 우선은 이해를 하겠지만,

 

차원을 높여서 눈에 보이지 않는 마음도둑질도 소승(小乘)에서는 실지로 상대방의 물건을 훔치면은 도둑질이 되는 거고,

속으로훔쳐야겠다. 언젠가는 훔쳐서 내가 가져야겠다하고 마음만 먹고 훔칠 기회가 없어서 훔치지 아니 하면 도둑질 것이 아니나, 대승법(大乘法)에서는 마음으로 훔치려고 생각만 냈어도 이미 투도(偸盜) 죄를 () 것이여.

 

사음도 어떤 외간 남자나 여자를 직접 몸을 섞지 아니해도 마음으로 음심을, 음탕한 마음을 내면 그것은 범한 것이 되요.

그래서 우리는 소승법으로 때에 계율도 지켜야 하지만 대승법으로 때에 계율을 존중히 여기고 지켜야 한다. 그러냐 하면 과보 받는 것은 몸으로 범한 것도 받고, 마음으로 범한 것도 역시 과보를 받게 되기 때문에 그렇다 그거거든.

 

그러면 세상을, 사바세계를 살아가는 어떻게 가지의 계를 몸으로도 범하지 아니하고, 마음으로도 범하지 않을 수가 있을 것인가? 그건 도저히 불가능한 일이 아니냐?

온통 세상은 죄악으로 가득차 있고, 그런 사람들이 모여서 사는 곳인데 어떻게 청정하게 계를 지킬 수가 있을 것인가? 더구나 의지력이 약한 중생이이렇게 생각할런지 모르지만,

 

가지 계를 하나씩 하나씩 지키려고 하지 않고, 그냥 지켜지는, 저절로 지켜지는 지킬 있는 방법이 있다.

그것이 바로 참선(參禪). 참선을 하면 내가 계율을 지키려고 이를 악물고 몽그리지 않아도 계를 범할 것이 없어. 저절로 계가 지켜지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그렇게 참선을 수가 있느냐? 참선하는 방법이 무엇이냐?’하면은 화두를 받아 가지고 항상 화두를 참구(參究)하는데 온갖 정성을 거기다가 쏟으면 산목숨을 죽일 필요도 없고, 남의 것을 훔칠 마음도 나지도 않고 외간 다른 사람과 몸을 섞을 필요도 없고,

더군다나 뭐하러 거짓말을 하며 이간질을 하며, 악한 욕을 하고 탐심을 내고 진심을 필요가 없어.

 

그래도 우리는 숙세(宿世)로부터 지어온 () 있기 때문에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그런 미운 생각도 나고, 미우면 죽일 생각도 나고 좋은 물건을 보면 너무 간절히 갖고 싶다 보니까 주인의 승낙 없이 갖고 싶은 생각도 수가 있을 것이나,

그런 생각이 이뭣고?’ 화두를 터억 챙기는 거여. 이렇게 해서 언제나 어디서나, 어떤 일을 보거나 어떤 일을 듣거나 어떤 일을 생각이 나더라도 항상 화두이뭣고?’

 

화두는 문헌상에 오른 것만 해도 천칠백 화두가 있지마는 어느 화두가 좋고, 어느 화두가 나쁘고 그런 것은 없어.

다맛 선지식(善知識)으로부터 받은 화두 하나만을 가지고 꾸준히잘되어도 화두요, 되어도 화두요, 화두를 가지고 꾸준히 , , 1, 3, 10 내지 일생 동안이라도 화두를 가지고 참구(參究) 나가야 한다.(1347~3115)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본성(本性) ; 상주불변한 절대의 진실성. 본래의 모습. 본체. 불성(佛性).

*불성(佛性) : 부처를 이룰 있는 심성(心性)으로 사람사람에게 본래 갖춰져 있는 자성(自性) 말함。불타나 중생이나 심지어 꿈적거리는 미물(微物) 이르기까지 자성에 있어서는 차등이 없다.

*묘체(妙體) ; 묘한 진리의 ().

*음담패설(淫談悖說 음란할 /말씀·농담할 /어그러질 / ) ; 음탕하고 도리에 어긋난 상스러운(천하고 교양이 없는) 이야기.

*이간질(離間-) ; 사람이나 나라의 중간에서 서로를 멀어지게 하는 .

*오라 ; 도둑이나 죄인을 묶을 때에 쓰던, 붉고 굵은 .

*오라를 지다 ; 죄를 지어 줄이나 포승(捕繩 죄인을 잡아 묶는 노끈) 따위에 묶이다.

*한데 ; ①사방, 상하를 덮거나 가리지 아니한 . 집채의 바깥. 노천(露天). ②일정하게 정하여진 자리가 아닌 다른 .

*자죽 ; '자국(어떤 것에 의하여 생긴 흔적)’ 사투리.

*막담 ; 막말. 뒤에 여유를 두지 않고 잘라서 말함. 또는 그렇게 하는 .

*목련 존자(目連尊者) ; 목건련(犍連). 산스크리트어 maud galyāyana 음사. 마가다국(magadha) 바라문 출신으로, 신통력이 뛰어나 신통제일(神通第一)이라 일컬음. 원래 산자야(sañjaya) 수제자였으나 사리불(舍利弗) 함께 붓다의 제자가 . 붓다보다 나이가 많았다.

*오백생(五百生) ; 여러 계속해서 태어난다는 뜻으로, 오랜 시간을 이르는 .

*외도(外道 바깥 / ) ; ①불교 이외의() 다른 종교() 가르침. 또는 신봉자. ②그릇된 가르침, 그릇된 가르침을 따르는 사람.

*열반(涅槃) ; ①타고 있는 불을 바람이 불어와 버리듯이, 타오르는 번뇌의 불꽃을 지혜로 꺼서 일체의 번뇌나 고뇌가 소멸된 상태. ‘니르바나(nirvāna)’ 음역어로, 불가(佛家)에서 흔히 수행에 의해 진리를 체득하여 미혹(迷惑) 집착(執着) 끊고 일체의 속박에서 해탈(解脫) 최고의 경지를 이르는 말이다. ②스님의 죽음을 수행을 통해 해탈(解脫) 이르게 됨에 비유하여 이르는 .

*탐욕(貪欲) ; ①만족할 모르고 탐하고 집착함. 탐하고 구하는 . 욕심부려 집착하는 . 집착하는 . 욕심부리는 . 욕심에 사로잡혀 헤어나지 못함. 대상에 들러붙어서 떠나지 못하는 . ②깊이 마음에 두는 .

갈애(渴愛), 애착(愛著 愛着), 염착(染著), 집착(執着), 탐애(貪愛), 탐착(貪着) 이라고도 한다.

*소가지 ; ‘심성(心性 본디부터 타고난 마음씨)’ 속되게 이르는 .

*인과(因果) : 무엇이나 원인 없는 결과가 없고 결과 없는 원인이 없다。콩 심은데 콩이 나고, 심은 팥이 나서, 세상의 온갖 일과 모든 물건이 반드시 인과의 법칙 대로 되어 가는 것이다。사람의 일도 착한 일을 하면 복을 받고, 악한 짓을 하면 재앙을 받아서 () • () • () • () 하나도 우연한 것이 없다.

그러나 보응(報應) 나타남이 원인을 짓는 즉시로 있는 것은 아니다。사람의 환경이 복잡하고, 마음 쓰는 것이 또한 한결같지 않기 때문에 무거운 쪽부터 먼저 실현되어, 짓는 당장에 받게 되는 순현보(順現報), 짓는 즉시에 받지 않고 다음 시기에 받는 순생보(順生報), 받기는 반드시 받되 언제 받게 될지 일정하지 않은 순후보(順後報) 있다.

가지 과보(果報) 금생(今生) 안에 실현되기도 하고, 여러 (多生) 통하여 되기도 한다。그러므로 착한 사람이 빈천하거나, 악한 사람이 잘되는 것은 일시적인 현상일 따름이다.

*세세생생(世世生生) ; 많은 생애를 거치는 동안. 태어날 때마다. 세세(世世)토록.

*원결(怨結 원망할 /맺을·번뇌 ) ; 원망(怨望) 마음이 얽혀 풀리지 않는 것을 말함.

*소승(小乘) ; ①기원 전후에 일어난 불교 개혁파들이 스스로를 대승(大乘)이라 하고, 전통의 보수파들을 낮추어 일컬은 . ②기원전 5세기에서 기원전 2세기 사이에 분열된 불교 교단의 여러 부파, 부파 불교(部派佛敎) 말함. ③자신의 깨달음만을 구하는 수행자, 성문(聲聞)•연각(緣覺) 또는 그들에 대한 붓다의 가르침. ④열등한 능력이나 소질을 갖춘 자를 위한 붓다의 가르침.

() '타는 '으로 중생을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붓다의 가르침이나 수행법을 뜻함.

*대승(大乘) ; ①기원 전후에 일어난 불교 개혁파들이 스스로를 일컫는 . 이에 반해, 그들은 전통의 보수파를 낮추어 소승(小乘)이라 . ②자신도 깨달음을 구하고 남도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수행자보살, 또는 그들을 위한 붓다의 가르침. ③붓다의 가르침에 대한 존칭. 위대한 가르침.

() '타는 '으로, 중생을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붓다의 가르침이나 수행법을 뜻함.

*참선(參禪) ; ①선() 수행을 하는 .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몽그리다 ; 어떤 일을 해내기 위해 단단히 다짐을 하다.

*참구(參究 헤아릴 /궁구할 ) ; ①다못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 ②선지식의 지도 아래 참선하여 화두(공안) 꿰뚫어 밝히기 위해 집중함. 화두 의심을 깨뜨리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 ; (산스크리트어:karma카르마) ; ①몸과 입과 마음으로 짓는 행위와 말과 생각, 일체의 행위. ②행위와 말과 생각이 남기는 잠재력. 과보를 초래하는 잠재력. ③선악(善惡) 행위에 따라 받는 고락(苦樂) 과보(果報). ④좋지 않은 결과의 원인이 되는 악한 행위. 무명(無明)으로 일으키는 행위. ⑤어떠한 결과를 일으키는 원인이나 조건이 되는 작용. 과거에서 미래로 존속하는 세력.

*이뭣고(是甚 시심마,시삼마) : ‘이뭣고? 화두 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이뭣고?’하고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이것이 무엇인고?’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 일곱 ()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 ()이다. ‘이뭣고?(이뭐꼬)'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뜻은 속에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해왔다.

[참고] 이뭣고? 이것이 무엇인고?

···뭣고·····?” 이렇게 의심을 나가되, 이런 것인가 저런 것인가 하고 이론적으로 더듬어 들어가는 것이 아닙니다. 다못···뭣고······?” 이렇게만 공부를 지어나가야 됩니다. 여기에 자기의 지식을 동원해서도 안되고, 경전에 있는 말씀을 끌어 들여서아하! 이런 것이로구나!” 이렇게 생각해 들어가서도 안됩니다.

화두(공안) 우주세계에 가득 있는 것이지마는 문헌에 오른, 과거에 고인(古人)들이 사용한 화두가 1700인데, 이뭣고?’ 화두 하나만을 열심히 나가면 문제 해결함으로 해서 1700공안이 일시(一時) 타파가 되는 것입니다.

화두가 많다고 해서 화두 조금 보고, 안되면 화두 보고, 이래서는 쓰는 것입니다. 화두 자체에 가서 좋고 나쁜 것이 있는 것이 아니고 오직 화두 철저히 나가면 일체 공안을 일시에 타파하는 것입니다.(7634~7822) [ ‘참선법 A’ 에서]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