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생각 단속(No.024)—1초 1초가 모여서 석 달... 백년... 무량겁이 된 것 |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그 생각을 바로 돌이켜서 「이뭣고?」 | 간절히 공부해서, 3년 해서 깨닫지 못하면 내가 거짓말한 죄로 무간지옥(無間地獄)에 떨어지겠다.
*한 생각 단속 ; 일념단속(一念團束). 무슨 생각이든지 한 생각 났다 하면 그 생각이 뿌리를 내려 싹이 트고 잎이 피어 결국은 과보(果報)를 받는데, 한 생각 일어나자마자 즉각 자신의 본참공안(本參公案)으로 돌리는 것.
마음 속에 한 생각 일어난 것이 결국 말로 나타나고 행동으로 나타나서 그 한 생각 단속을 잘하면 극락에도 가고 부처도 될 수 있는데, 그 한 생각 단속을 잘못해서 죄를 지어 축생도 되고 지옥에도 가게 되는 것입니다.
*본참공안(本參公案) : 본참화두(本參話頭).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1분 40초)
[법문] 송담스님(No.024)—1976년(병진년) 동안거 결제(76.10.15.음) (용024)
오늘 입재해서 내년 정월 15일에 해제를 하게 됩니다마는 석 달이라고 하면은 잠깐 사이입니다. 그러나 이 석 달 동안을 우리가 어떠한 마음가짐으로 공부하느냐에 따라서는 무량겁(無量劫) 생사윤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그러한 중요한 시간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석 달은 석 달이 어디서 뚝 떨어진 것이 아니라 하루하루가 모여서 석 달이 되었습니다. 하루하루는 한 시간 한 시간이 모여서 24시간이 된 것이고, 한 시간 한 시간은 1초 1초가 모여서 그것이 모여서 하루가 된 것입니다.
그러면 석 달이라고 하는 세월도 1초 1초가 모여서 석 달이 된 것이지, 무슨 백년 속에서 석 달이 떨어져 나온 것이 아닙니다. 비단 석 달뿐이겠습니까.
무량겁을 오늘날까지 우리가 윤회(輪廻)해 왔고 앞으로 무량겁을 윤회해 나갈 것입니다마는 그 무량겁 윤회를 이 석 달 동안에 철저히 수행함으로써 무량겁 생사윤회를 한 칼로 비어 끊어야 되겄습니다.
그 방법은 1초 1초를 어떻게 잘 지내 가느냐, 거기에 가서 열쇠가 있습니다.
한 생각 한 생각, 일어났다 꺼졌다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그 한 생각, 한 생각 일어날 때 어떻게 그놈을 돌이켜서 본참화두(本參話頭)를 드느냐?
유시(有時)에는 성이 나고, 유시에는 기쁘고, 유시에는 외롭고, 유시에는 슬프고, 온갖 생각이 걷잡을 수 없이 일어났다 꺼졌다 한 그 속에서, 마치 저 바다에 파도가 잠시도 쉬지 않고 일어났다 꺼졌다 하듯이 우리의 마음에 파도도 잠시도 쉬지 않고 일어났다 꺼졌다 일어났다 꺼졌다 합니다.
그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것을 가라앉히려고 하시지 마십시요.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그 생각! 그 생각을 바로 돌이켜서 「이뭣고?」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이렇게 조금도 멀리 돌릴 것이 없이 바로 그 자리에서 되돌려서 화두를 들도록 이렇게 나아가신다면은 어떠한 마음에 파도가 일어난다 하더라도 우리는 두려워할 것이 없고 걱정할 것이 없습니다.
'번뇌 망상이 일어나서 참선을 못한다'고 걱정을 하신 분을 봤습니다마는 절대로 그런 걸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마음에 파도가 일어나는 것은 우리가 살아 있는 증거입니다. 우리가 참선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증거입니다.
늙었다고 여자라고 병들었다고 걱정하시지 말고, 늙었거나 여자거나 병들었거나 말았거나 그런 것은 전혀 따질 필요가 없습니다.
아프면 누워서 하고, 다리가 아프면 앉아서 하고, 걸어가거나 서서 하거나 그건 상관이 없습니다. 배가 아파서 '아이고, 아이고!' 하다가도 「이뭣고?」 이렇게 자기로 돌아오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한 생각 한 생각을 그때그때 차곡차곡 되돌려 쌓을 때, 벽돌 한 장 한 장을 올바로 쌓아 올릴 때 십 층 백 층의 높은 건물이 이루어진 거와 마찬가지입니다.
벽돌을 삐딱빼딱해서 이리 쌓았다 저리 쌓았다 하다 보면은 얼마 안 가서 그 집은 와그르르 무너지게 됩니다. 그래서 높은 고층 건물을 짓고자 할진대는 벽돌 하나하나를 바르게 쌓아야 합니다.
그와 같이 우리가 결정코 대도(大道)를 성취헐라면은 한 생각 한 생각을 그때그때 지체 없이 되돌려서 본참화두를 든다고 하면은 우리의 해탈은 먼 데에 있는 것이 아닙니다.
밥 먹고 옷 입는 그 사이에 있고, 똥 누는 그 사이에 있고, 손주를 무릎에다 앉혀놓고 궁둥이를 투둑투둑 한 그 속에 바로 우리가 눈뜰 좋은 기회는 있는 것입니다.
제일 공부가 잘되고 제일 중요한 것은—남편이나 자식이나 며느리나 친구나 이웃이 나에게 억울한 말을 하고 나에게 은혜를 받고서 나를 배신하고 웬수로서 나를 갚고자 할 때, 울화통이 터지고 속이 출렁여서 피가 거꾸로 넘어올 정도로 그런 대충격을 받았을 그때야말로 내가 나 자신으로 돌아올 수 있는 가장 힘있고 좋은 기회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한 어려울 때에 한 번씩 자기로 돌아오는 연습을 해서 그것이 된다고 하면은 그밖에 소소한 일은 누워서 떡 먹기입니다. 차라리 누워서 떡을 먹게 되면 눈에 티라도 들지마는,
이 참선은 어디서 언제 어떠한 일을 하면서라도 바로 거두절미(去頭截尾)하고 「이뭣고?」 또 판치생모(板齒生毛)를 하시는 분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이렇게 간절히 간절히 한 생각 한 생각을 쌓아 올릴 때 우리에게는 축착합착(築着磕着), 일조(一朝)에 확철대오(廓徹大悟)할 날이 기어코 있는 것입니다.
이것은 과거에 모든 선지식이 전부 다 한결같이 다 맹서를 하셨습니다.
'그렇게 간절히 해서 깨닫지 못한다면, 그렇게 간절히 간절히 공부를 해서 3년 해서 깨닫지 못하면 내가 거짓말한 죄로 무간지옥에 떨어지겠다' 이렇게 까지 막담을 짓고 맹서를 하셨습니다.
오늘부터 석 달, 석 달이라고 생각하시지 말고 하루하루, 하루하루라 생각하지 말고 1초 1초를 열심히 해서, 하루 딱! 지내고서 주무실 때 '내가 오늘 과연 얼마만큼 알뜰히 공부를 했는가?' 눈 감기 전에 반성을 한 번씩 해 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또 그 이튿날 새벽에 눈을 딱! 뜨면 그때부터서 또 시작입니다.
그래 가지고 하루 종일 갖은 환경 속에서 열심히 알뜰히 공부를 지어서 마지막 그날 저녁에 잘 때 또 '내가 오늘 하루는 어제보다 얼마만큼 더 알뜰히 지냈는가?' 그것을 하루를 타산을 해 보십시오.
이렇게 해서 하루하루 해서 한 달 한 달이—처음 한 달 그렇게 하시고 또 그 다음달 한 달을 하시고 해서, 다음달은 첫 달보다 낫고, 끝에 달은 둘째 달보다 낫고 해서, 내년 정월 15일에는 정말 참 이 한철은 내가 참선 공부를 시작해서 정말 참 알뜰히 정진을 한 그러한 한철이었다고 조금도 부끄러움이 없이 환희심을 느낄 수 있는 그러한 철이 되기를 간절히 빌어 마지않습니다.
여러 가지로 여기는 공기도 좋지 못하고 또 수용도 박(薄)하고, 방사(坊舍)도 협착하고 그런데도 불구하고 금년 겨울에는 이십 명이 넘는 전국에 선객(禪客) 스님네께서 모이셨습니다.
여러분이 잘 아시다시피 용화사는 여러 가지가 어렵고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스님네들은 그러한 어렵고 부족한 것을 불평과 불만으로 생각하실 분은 한 분도 안 계시겠지마는, 그런 어렵고 불편한 것을 그것을 우리가 공부 성취할 수 있는, 신심과 분심을 일으킬 수 있는 그러한 계기(契機)로 삼아 주시고 공부를 알뜰히 잘 해 주시기를 부탁합니다.
여러 신도 여러분께서는—이러한 초라한 누추한 절을 전강 조실 스님, 조실 스님이 계시던 도량이라고 해서 이렇게 먼 데서 이렇게 많은 좋은 스님네가 오셨습니다. 이렇게 간절히 공부하려고 오신 스님네들을 여러분께서는 성의껏 잘 받들어 모시기 바랍니다.
부처님께서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에 말씀하시기를, 「배고픈 사람, 가난한 사람, 천 명을 밥을 주어서 기갈을 면케 해 주는 공덕보단 소승 나한(羅漢), 한 사람 공양(供養)한 것이 낫다.
소승 나한, 천 명을 공양을 시킨 것보단 부처님 한 분 공양한 것이 낫다.
부처님 천 명을, 일천 부처님 공양한 것보단 무심도인(無心道人), 한 사람의 공양하는 복이 낫다」
이렇게 『사십이장경』에 말씀하셨습니다.
올 우리 법보선원에 공부하러 오신 선객 스님네들은 바로 그러한 무심도.... (법문 끊김)
'스님네는 머리를 깎고 공부만 전력하시지마는, 나는 세속에서 머리 기르고 자식 낳고 사는 살림하고 산다. 그렇지마는 내가 공부 열심히 하기로는 내가 스님네한테 질 수가 없겠습니다'
이러한 이를 악물고 자부심을 가지고 결심을 하셔서 스님네 뒤지지 않게 공부를 좀 열심히 해주시기를 부탁합니다.(36분10초~47분50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무량겁(無量劫 없을 무/헤아릴 량/가장 긴 시간 겁) ; 헤아릴[量] 수 없는[無] 오랜 시간[劫]이나 끝이 없는 시간. 劫과 刧는 동자(同字).
*이뭣고(是甚麼 시심마, 시삼마) :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이냐?' ‘이것이 무엇인고?’
불교(佛敎)의 목적은 「깨달음」입니다. '불(佛)'이라 하는 말은 인도(印度) 말로 'Buddha'란 말인데 우리말로 번역하면 '깨달음'입니다. 「깨달음」. 「깨달은 어른」.
'불교(佛敎)'하면 깨달은 가르침, 깨닫는 가르침. '불도(佛道)'하면 깨닫는 길, 깨닫는 법.
깨닫는 것이 불교의 목적입니다. 무엇을 깨닫느냐?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코로 냄새 맡고, 혀로 맛보고, 몸으로 차고 더운 것을 느끼고, 생각으로 과거 현재 미래의 일을 생각하고, 때로는 슬퍼하고 때로는 기뻐하고 때로는 성내고, 착한 마음을 낼 때에는 천사와 같다가도 한 생각 삐뚤어지면은 찰나간에 독사와 같이 악마가 되는 그럴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이 소소영령(昭昭靈靈)한 놈이 있습니다.
소소영령한 주인공이 그렇게 여러 가지로 작용을 할 수 있는데, '대관절 그러한 작용을 일으키는 이놈이 무엇이냐? 이뭣고?' 이것을 깨닫는 것입니다. 바로 나의 근본을 깨닫는 것입니다.
모든 화두에 가장 기본이고 근본적인 화두는 내가 나를 찾는 ‘이뭣고?’가 첫째 기본이요 핵심적인 화두입니다. 무슨 공안을 가지고 공부를 해도 깨닫는 것은 나를 깨닫는 것이지, 저 무슨 우주의 무슨 그런 게 아닙니다.
‘이뭣고? 화두’는 천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어떤 일이 일어난 그 자리)를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 ‘이것이 무엇인고?’ 이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 ‘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는 일곱 자(字)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이, 뭣, 고’ 석 자(字)이다. ‘이뭣고?(이뭐꼬)'는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그 뜻은 그 속에 다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을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해왔다.
*판치생모(板齒生毛) ; 화두(공안)의 하나. 版과 板은 동자(同字).
[참고] 『선문염송(禪門拈頌)』 (고려 진각혜심眞覺慧諶 선사 편찬) 475칙 ‘판치(版齒)’
〇 (古則) 趙州因僧問 如何是祖師西來意 師云版齒生毛.
조주 스님에게 어떤 스님이 물었다. “어떤 것이 조사께서 서쪽에서 오신 뜻입니까?”
선사가 대답하였다. “판치생모(板齒生毛)니라”
(投子靑頌) 九年小室自虛淹 爭似當頭一句傳 版齒生毛猶可事 石人蹈破謝家船
투자청이 송했다.
9년을 소림에서 헛되이 머무름이 어찌 당초에 일구 전한 것만 같으리오.
판치생모도 오히려 가히 일인데 돌사람이 사가(謝家)의 배를 답파했느니라
[참고] 『언하대오(言下大悟)』 (전강 선사 법어집 | 용화선원刊) p53~54.
〇어떤 스님이 조주 스님께 묻되, “어떤 것이 ‘조사서래의’입니까?(如何是祖師西來意)”하니 답하시되, “판치생모(板齒生毛)니라” 하셨다. 즉, 「어떤 것이 달마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입니까?」, 「판치에 털이 났느니라」라고 하는 화두.
그러면 조주 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을까? 이 화두도 ‘무자’ 화두와 같이 ‘판치생모’에 뜻이 있는 것이 아니고 “판치생모”라고 말씀하신 조주 스님께 뜻이 있는 것이니, 학자들은 꼭 조주 스님의 뜻을 참구할지어다.
“어째서 ‘무’라 했는고?”하는 것과 “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하는 것은 조금도 다름이 없는 것이다.
*거두절미(去頭截尾) ; 말이나 사건 등의 부차적인 설명은 빼어 버리고 사실의 요점(要點)만 말함.
*축착합착(築着磕着) : 맷돌 위•아래짝이 서로 꽉 들어맞듯이 수행자가 애를 쓰다가 어느 때 홀연히 진리에 계합하는 것을 비유함. 「축착합착(築着磕着)」합해서 쓰임.
*일조(一朝) ; 주로 ‘일조에’의 꼴로 쓰여, 하루 아침이라는 뜻으로, 갑작스럽도록 짧은 사이를 이르는 말.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을 깨달음.
*'그렇게 간절히 해서 깨닫지 못한다면, 그렇게 간절히 간절히 공부를 해서 3년 해서 깨닫지 못하면 내가 거짓말한 죄로 무간지옥(無間地獄)에 떨어지겠다' 이렇게 까지 막담을 짓고 맹서를 하셨습니다 ;
[참고 ①] 「최상승론(最上乘論)」 (5조 홍인대사 弘忍大師 602 ~ 675)
〇若有人依文行者即在前成佛. 若我誑汝當來墮十八地獄. 指天地爲誓. 若不信我世世被虎狼所食.
만약 어떤 사람이 있어 이 글(最上乘論)에 의지해 수행하면 곧 성불하게 될 것이다. 내가 만약 너를 속인다면 다음 세상에 십팔지옥(十八地獄)에 떨어지리라. 하늘과 땅에 맹세하노라. 만약 나를 믿지 아니하면 세세생생에 호랑이 밥이 되리라.
[참고 ②] 『불조직지심체요절(佛祖直指心體要節)』 하권 (백운화상초록 白雲和尙抄錄) ‘승고선사(承古禪師 ? ~ 1045)’
〇承古禪師 常勸諸人 莫學佛法 但自無心去 利根人晝時解脫 鈍根人或三五年 遠不過十年 若不悟去 老僧 替你入拔舌
승고선사께서 항상 여러 사람에게 권하되 “불법을 배우지 말고 다만 스스로 무심하여라. 영리한 근기의 사람은 한나절에 해탈하고, 둔한 근기의 사람은 혹은 3년 · 5년이며 멀어도 10년을 지나지 않는다. 만약 깨닫지 못하면 노승이 너를 대신해서 혀를 뽑는 발설지옥(拔舌地獄)에 들어가리라”
[참고 ③] *몽산화상시중(蒙山和尙示衆—몽산화상이 대중에게 보이심) ; 『몽산법어』 (몽산화상 1231 ~ 1298 또는 1308) (용화선원刊) p97-99.
〇若有來此(약유내차)하야 同甘寂寥者(동감적료자)인댄 捨此世緣(사차세연)하며 除去執着顚倒(제거집착전도)하고 眞實爲生死大事(진실위생사대사)하야 肯順菴中規矩(긍순암중규구)하야 截斷人事(절단인사)하고 隨緣受用(수연수용)호대 除三更外(제삼경외)에 不許睡眠(불허수면)하며 不許出街(불허출가)하며 不許赴請(불허부청)하며 未有發明(미유발명)이어든 不許看讀(불허간독)하며 非公界請(비공계청)이어든 不許閱經(불허열경)이니
만약 이에 와 고요함을 같이 즐기려는 이는, 이 세상 인연을 다 여의며 제 고집과 애착과 모든 거꾸러진 생각을 다 버리고, 참으로 생사의 큰일을 위하야 절의 규칙을 잘 지키고 인사(人事)를 끊고 먹고 입는 것을 되어가는 대로 하되, 밤 삼경 외에는 자지 말고 거리에도 나가지 말며 오라는 데도 가지 말고 깨치기 전에는 글도 읽지 말며 예식 때가 아니거든 경도 보지 말지니
如法下三年工夫(여법하삼년공부)호대 若不見性通宗(약불견성통종)인댄 山僧(산승)이 替爾(체이)하야 入地獄(입지옥)호리라
법다이 삼 년 동안 공부해 만약 견성하여 종지(宗旨)를 통달하지 못하면, 산승(山僧)이 너희들을 대신하여 지옥에 들어가리라.
[참고 ④] 「고봉화상선요·어록(高峰和尙禪要·語錄)」 ‘立限示衆(其九)—9. 기한을 정하고 대중에게 보임’ (고봉원묘 高峰原妙 1238 ~ 1295) (통광 역주 | 불광출판사) p85, p88 참고.
〇參禪 若要剋日成功 如墮千尺井底相似 從朝至暮 從暮至朝 千思想萬思量 單單只是箇求出之心 究竟決無二念 誠能如是施工 或三日 或五日 或七日 若不徹去 西峰今日 犯大妄語 永墮拔舌犁耕
참선하는데 만일 한정된 날짜에 공(功)을 이루려면 마치 천척이나 되는 우물에 빠졌을 경우처럼 아침부터 저녁까지, 저녁부터 아침까지 밤이나 낮이나 천 생각 만 생각이 오로지 다만 우물에서 나오려는 마음뿐이고 끝끝내 결코 다른 생각이 없는 것과 같이 하여라. 진실로 이렇게 공부하기를 혹은 3일, 혹은 5일, 혹은 7일 하고도 깨치지 못한다면 서봉은 오늘 대망어죄(大妄語罪)를 범했으므로 영원히 혀를 뽑아 밭을 가는 지옥[拔舌犁耕地獄]에 떨어질 것이다.
*방사(坊舍 집·거처하는 방·절 방/집·가옥 사) ; 절에서 스님이 거처하는 방.
*선객(禪客 참선 선/손님·사람 객) ; 참선 수행을 하는 사람.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제 11장.
〇佛言 飯惡人百 不如飯一善人 飯善人千 不如飯一持五戒者 飯五戒者萬 不如飯一須陀洹 飯百萬須陀洹 不如飯一斯陀含 飯千萬斯陀含 不如飯一阿那含 飯一億阿那含 不如飯一阿羅漢 飯十億阿羅漢 不如飯一辟支佛 飯百億辟支佛 不如飯一三世諸佛 飯千億三世諸佛 不如飯一無念無住無修無證之者
부처님은 말씀하셨다.
백 명의 악한 사람을 공양하는 것보다 한 명의 착한 사람을 공양하는 것이 더 낫고,
천 명의 착한 사람을 공양하는 것보다 한 명의 오계를 지키는 사람을 공양하는 것이 더 낫고,
만 명의 오계 지키는 사람을 공양하는 것보다 한 명의 수다원을 공양하는 것이 더 낫고,
백만 명의 수다원을 공양하는 것보다 한 명의 사다함을 공양하는 것이 더 낫고,
천만 명의 사다함을 공양하는 것보다 한 명의 아나함을 공양하는 것이 더 낫고,
일 억의 아나함을 공양하는 것보다 한 명의 아라한을 공양하는 것이 더 낫고,
십 억의 아라한을 공양하는 것보다 한 분의 벽지불을 공양하는 것이 더 낫고,
백 억의 벽지불을 공양하는 것보다 삼세제불 가운데, 한 분을 공양하는 것이 더 낫다.
천 억의 삼세제불을 공양하는 것보다 한 분의 무념(無念) · 무주(無住) · 무수(無修) · 무증(無證)한 사람을 공양하는 것이 더 낫다.
*무심도인(無心道人) ; ①모든 번뇌망상이 사라져 더이상 추구할 것이 없는 경지에 이른 사람을 가리킨다. 모든 것에 대하여 구하는 것이 없고 얻는 것도 없는 수행자.
②무념무상(無念無想)의 경지, 무심적적(無心寂寂)의 경지에 도달한 사람. 사량계교심을 다 놓아버리고 언제나 천진무구한 본연자성(本然自性)으로 살아가는 사람.
---------------------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700여 개의 ‘참선 법문(法門)’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 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 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그리고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도 있습니다.
참선법 A (유튜브)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B (유튜브)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C (유튜브)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D (유튜브)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E (유튜브)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A (블로그)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B (블로그)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C (블로그)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D (블로그)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선법 E (블로그) 법문은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700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