ㅂ/법등2020. 4. 4. 14:37

법등(No.533)—(게송)胸中何愛復何憎 自愧人前百不能 除此現成公案外 且無佛法繼傳燈 | 개천에서 용 나듯이 '바보 속에 확철대오(廓徹大悟)'한 그러한 부처님의 법등을 이어받을 사람.

 

*법등(法燈 부처님의 가르침 법/등·불법 등) ; ①법(法, 부처님의 가르침)을 등불(燈불)에 비유한 말. 법이 무명(無明)과 미혹(迷惑)의 어둠을 깨뜨리는 것이 마치 암흑을 비추어 밝히는 등불과 같으므로 이와 같이 비유한다.

②부처님이나 조사, 또는 불법(佛法)을 수행하는 스님을 가리키기도 한다.

③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진리의 등(燈)을, 스승이 그 제자로 해서 등불이 꺼지지 않고 계속 면면히 전해지는 등등상속(燈燈相續), 등등상전(燈燈相傳)의 뜻으로 전등(傳燈)과 통하는 말.

 

*법(法) ; (산스크리트) dharma, (팔리) dhamma의 한역(漢譯). ①진리. 진실의 이법(理法). ②선(善). 올바른 것. 공덕. ③부처님의 가르침. ④이법(理法)으로서의 연기(緣起)를 가리킴. ⑤본성. ⑥의(意)의 대상. 의식에 드러난 현상. 인식 작용. 의식 작용. 인식 내용. 의식 내용. 마음의 모든 생각. 생각.

 

(6분 48초)

 

[법문] 송담스님(No.533)—1994년(갑술년) 하안거결제 법어(94.05.25) (용533)

 

흉중하애부하증(胸中何愛復何憎)이리오  자괴인전백불능(自愧人前百不能)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제차현성공안외(除此現成公案外)에  차무불법계전등(且無佛法繼傳燈)이니라

나무~아미타불~

 

흉중(胸中)에 하애부하증(何愛復何憎)이리오. 마음 가운데 무엇을 사랑하고 무엇을 미워할까 보냐.

미워하고 이뻐하고 하는 것도 잠깐 동안이고, 잠깐 동안에 꿈에 일어난 일들인데 무엇을 그렇게 사랑하는데 집착하고, 무엇을 그렇게 미워하는데 집착할 것이 있느냐 그말이여.

 

다 놓아 버려. 다 석방(釋放)해 버려.

 

미웁다고 그놈을 웬수를 맺고 꼭꼭 묶어매 놓고 그놈을 가둬 놓고, 마음속에다 가둬 놓고 산들 무엇이 그렇게 좋을 것이 있어. 마음속에서 다 놔 보네.

이쁘다고 그놈을 붙잡고 늘어져 본들 그것이 무엇이 거기서 나오며, 몇 조금 갈 것이냐 그말이여.

 

자괴인전백불능(自愧人前百不能)이여.

'나는 바보다. 아무것도 제대로 남 앞에 내놓을 것이 없다'고 하는 바보라고 생각하고, 똑똑한 체하는 것을 오히려 부끄러워하고 스스로 바보가 되어서 산다면 얼마나 마음이 편하고 자기의 시간을 가질 수가 있어서 좋으냐.

 

어리석은 사람은 똑똑한 체하고 잘난 체하고, 그러니 거기에서 남의 지탄(指彈)을 받고 남에게 오히려 미움을 받고 경계(警戒)를 당하는 것이다 그말이여.

탁! 까놓고 바보로 해버리면 그날부터 다리를 뻗고 자. 온전히 자기 시간을 가지고 공부를 할 수가 있다 그말이여.

 

제차현성공안외(除此現成公案外)에, 한 생각 돌이켜서 '이뭣고?' '이뭣고?' 자꾸 자기의 본참공안(本參公案)을 들고 또 들고 이 공안을 참구(參究)하는 이것 외(外)에는,

차무불법계전등(且無佛法繼傳燈)이여. 부처님의 법등(法燈)을 계승(繼承)해 나가는 이것밖에는 불법(佛法)이 없다 그 말이거든.

 

 

개혁운동(改革運動)도 좋고, 다 이 총무원에서 잘못된 종법(宗法)을 고치고 어쨌든지 새로 개혁을 해가지고 잘하자고, 잘 해 나가자고 하는 그런 원력보살(願力菩薩)도 좋지. 또 그런 사람도 있어야지.

 

그러나 이 자리에 모이신 도반(道伴)들은 바보가 되아가지고, '철저한 바보'가 되아가지고 오직 자기의 본참공안에 몰두(沒頭)해서 은산철벽(銀山鐵壁)으로 나간다면,

서울에서 개혁운동하는 그러한 보살화현(菩薩化現)과 바보가 되아가지고 선방(禪房)에서 '이뭣고?'하는 그러한 나한(羅漢)들과 서로 하나가 장단을 치면은 그 장단에 맞춰서 춤을 추는, 그래서 오히려 그것도 좋지 않느냐 이거여.

 

우리까지 나서서 거가서 떠들기보다는 바보로서, 탁! 바보로서 '이뭣고?'를 해야만, 서울에서 개혁을 위해서 목숨을 걸고 나선 보살화현들의 그 애쓴 보람에 보답(報答)하는 길이 여기에 있지 않는가.

 

나는 바보이기 때문에 바보 같은 그런 생각을 가지고 살고, 또 그러한 생각을 여러 도반들에게 말을 하니까,

그 바보의 말도 정말 '나 같은 바보한테는 그게 좋겠다' 이렇게 생각이 드신다면은 올 금년 한 여름을 그렇게 한번 살아보시고, 그것이 좋으면 또 다음 겨울철도 그렇게 살아가서 바보 속에, 개천에서 용 나듯이 '바보 속에 확철대오(廓徹大悟)'한 그러한 부처님의 법등(法燈)을 이어받을 사람이 나오리라고 나는 확신을 하는 것입니다.(32분27초~39분21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흉중하애부하증~’ ; 중봉명본 스님의 『천목중봉화상광록(天目中峰和尙廣錄)』 卷第二十九 ‘山居十首’ 게송 참고.

*이뭣고(是甚麼 시심마, 시삼마) :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이냐?' ‘이것이 무엇인고?’

불교(佛敎)의 목적은 「깨달음」입니다. '불(佛)'이라 하는 말은 인도(印度) 말로 'Buddha'란 말인데 우리말로 번역하면 '깨달음'입니다. 「깨달음」. 「깨달은 어른」. '불교(佛敎)'하면 깨달은 가르침, 깨닫는 가르침. '불도(佛道)'하면 깨닫는 길, 깨닫는 법.

 

깨닫는 것이 불교의 목적입니다. 무엇을 깨닫느냐?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코로 냄새 맡고, 혀로 맛보고, 몸으로 차고 더운 것을 느끼고, 생각으로 과거 현재 미래의 일을 생각하고, 때로는 슬퍼하고 때로는 기뻐하고 때로는 성내고, 착한 마음을 낼 때에는 천사와 같다가도 한 생각 삐뚤어지면은 찰나간에 독사와 같이 악마가 되는 그럴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이 소소영령(昭昭靈靈)한 놈이 있습니다.

 

소소영령한 주인공이 그렇게 여러 가지로 작용을 할 수 있는데, '대관절 그러한 작용을 일으키는 이놈이 무엇이냐? 이뭣고?' 이것을 깨닫는 것입니다. 바로 나의 근본을 깨닫는 것입니다.

모든 화두에 가장 기본이고 근본적인 화두는 내가 나를 찾는 ‘이뭣고?’가 첫째 기본이요 핵심적인 화두입니다. 무슨 공안을 가지고 공부를 해도 깨닫는 것은 나를 깨닫는 것이지, 저 무슨 우주의 무슨 그런 게 아닙니다.

 

‘이뭣고? 화두’는 천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어떤 일이 일어난 그 자리)를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 ‘이것이 무엇인고?’ 이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 ‘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는 일곱 자(字)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이, 뭣, 고’ 석 자(字)이다. ‘이뭣고?(이뭐꼬)'는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그 뜻은 그 속에 다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을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해왔다.

*본참공안(本參公案) : 본참화두(本參話頭).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현성공안(現成公案) ; 모든 현상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 곧 진리 그 자체이므로 그것을 참선하는 수행자에게 제시된 과제로 한 것.

*참구(參究 헤아릴 참/궁구할 구) ; ①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것. ②선지식의 지도 아래 참선하여 화두(공안)을 꿰뚫어 밝히기 위해 집중함. 화두 의심을 깨뜨리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법등(法燈) ; 부처님의 가르침. 미(迷)한 세계의 캄캄한 마음을 없애는 것을 등불에 비유한 것.

*원력보살(願力菩薩) ; 중생구제의 원력으로 실천행을 하는 보살(수행자).

*은산철벽(銀山鐵壁) ; 철벽은산(鐵壁銀山). 은과 철은 견고해서 뚫기 어렵고 산과 벽은 높아 오르기 어려움을 나타낸 것. 은(銀)으로 만든 산이요, 쇠로 만든 벽에 사방이 꽉 막힌 것처럼 앞뒤가 다 끊어져 버린 절박한 상황에 직면(直面)하여 아무것도 사량분별(思量分別)이 거기서 있을 수가 없는 것을 가리킴.

 

수행자에게 이 은산철벽은 내 몸과 목숨을 다해서 뚫고 들어갈 수밖에는 없는 관문(關門)으로, 자기 본참공안(本參公案)에 마치 모기가 쇠로 된 소 등어리에 올라타고서 그 입부리를 소 등에다가 처쑤셔박는 것처럼, 여하약하(如何若何)를 막론(莫論)하고 입부리와 머리와 몸을 압량해서, 합해서 처박고 돌격을 해 들어가야 한다.

자기의 근기(根機)도 따질 것도 없고, 자기의 건강도 따질 것도 없고, 자기의 어리석고 영리한 것도 따질 것도 없고, 남녀노소도 따질 것도 없고, 유식 무식도 따질 것이 없다.

 

‘어떻게 하면 될 것인가?’를 생각할 겨를도 없이 자세를 바르게 하고, 단전호흡(丹田呼吸)을 하면서 간절한 마음으로 하되 불급불완(不急不緩), 너무 용을 쓰고 몰아붙여도 안 되고 너무 늘어져 처져도 안 되고 성성(惺惺)하면서도 적적(寂寂)하게 자기의 본참공안을 들어야 한다. 공부가 되고 안 되고 하는 것도 따질 것이 없다.[송담스님(No.577) 96년 11월 첫째일요법회 법문에서]

 

[참고] 『몽산법어(蒙山法語)』 (용화선원刊) 박산무이선사선경어(博山無異禪師禪警語) p157~158 에서.(가로판 p150~151)

 

做工夫호대 最怕比量이니, 將心湊泊하면 與道轉遠하리니, 做到彌勒下生去라도 管取沒交渉하리라. 若是疑情이 頓發的漢子인댄 如坐在*鐵壁銀山之中하야  只要得個活路이니, 不得箇活路면  如何得安穩去리요  但恁麼做去하야  時節이  到來하면  自有箇倒斷하리라

 

 공부를 지어 가되 가장 두려운 것은 비교하여 헤아리는 것[比量]이니, 마음을 가져 머뭇거리면 도(道)와 더불어 더욱 멀어지리니, 미륵불이 하생할 때까지 공부를 할지라도 아무 소용이 없으리라.

만약 의정이 몰록 발한[頓發] 사람일진댄 마치 철벽(鐵壁)이나 은산(銀山) 속에 들어앉아서 다만 살 길[活路]을 찾는 것같이 할지니, 살 길을 찾지 못하면 어찌 편안히 지내가리오? 다만 이와같이 지어 가서 시절이 오면 저절로 끝장이 나리라.

 

*화현(化現) ; 부처님이나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각(各) 중생의 소질에 따라 여러 가지로 모습을 바꾸어 이 세상에 나타나는 것. 화신(化身)이라고도 한다.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을 깨달음.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