ㅅ/생사재호흡지간2019. 12. 9. 08:37

생사호흡지간 (No.158)—(게송)生死路頭君自看 活人全在死人中 | 살아 있는 사람은 온전히 죽은 사람 가운데 있구나 | 생사가 코앞에 있다.

 

*생사재호흡지간(生死在呼吸之間) ; ‘생사(生死)가 한 호흡지간(呼吸之間)에 있다.’ 생사라 하는 것은 멀리 잡을 것이 아니라 하루도 멀고, 한끼도 멀고, 한 호흡 사이에 있다고 하는 것. 그렇게 무상하고 기약할 수 없는 것이 우리의 생사인 것이다.

 

*호흡지간(呼吸之間) ; 한 번 내쉬고[呼] 들이쉬고[吸] 할 사이[間]라는 뜻으로, 아주 짧은 시간을 이르는 말.

 

[참고]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제38장’

佛問沙門 人命在幾間 對曰數曰間 佛言 子未知道 復問一沙門 人命在幾間 對曰飯食間 佛言 子未知道 復問一沙門 人命在幾間 對曰呼吸間 佛言 善哉子知道矣

 

부처님께서 사문에게 물으셨다. “사람의 목숨이 얼마 사이에 있는가?” 대답하기를 “며칠 사이에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너는 아직 도를 모르는구나”

다시 한 사문에게 물으셨다. “사람의 목숨이 얼마 사이에 있는가?” 대답하기를 “밥 먹을 사이에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너도 아직 도를 모르는구나”

다시 한 사문에게 물으셨다. “사람의 목숨이 얼마 사이에 있는가?” 대답하기를 “호흡 사이에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하다. 너는 도를 아는구나”

 

(6분 9초)

 

[법문] 송담스님(No.158)—1982년 1월 첫째일요법회(82.01.03) (용158)

 

생사노두군자간(生死路頭君自看)하라  활인전재사인중(活人全在死人中)이니라

나무~아미타불~

화기자래심호리(花氣自來深戶裡)헌디  조성장재원림중(鳥聲長在遠林中)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생사노두(生死路頭)를 군자간(君自看)하라. 생사 길머리를 그대는 스스로 보아라.

이 세상에 태어난 모든 사람은 차례차례 다 저승으로 가고 있습니다. 이 세상에 태어나서 가지 않고 영원히 있는 사람은 한 사람도 없습니다. 팔십에 가기도 하고, 칠십에 가기도 하고, 육십 오십에 가기도 하고, 젊어서 가기도 하고, 어려서 가기도 하고, 나오다가 가기도 하고.

 

활인전재사인중(活人全在死人中)이라. 살아 있는 사람은 온전히 죽은 사람 가운데 있구나. 우리 살아 있는 사람이 죽은 사람 가운데 있어.

앞에서 죽고 뒤에서 죽고, 왼쪽에서 죽고 오른쪽에서 죽고, 세계에 하루에 몇천 명, 몇만 명이 병으로 죽고, 차 비행기 사고에 죽고, 배가 가라앉아 죽고, 전쟁하다 죽고, 불이 나서 죽고 물에 빠져 죽고, 온통 죽은 사람 속에 산 사람이 있어.

 

말을 바꿔서 말하면 내 자신도 '죽을 사(死)'자, 주검 위에 지금 발을 디디고 서 있는 것입니다.

 

이 몸뚱이가 살다가 이 몸뚱이 숨 한번 내쉬었다가 들어마시지 못하면 그것을 '죽었다'고 그러는데, 그러한 죽음만이 죽음이 아니라 참으로 무서운 죽음은 한 생각 일어났다 꺼지면 그것이 벌써 한평생을 살다 가는 것입니다.

 

사람이 태어나서 육칠십 년을 살다 가는 게 아니라, 태어난 찰나부터 한 생각 일어나면 새로 태어난 것이고, 그 생각이 꺼지면 한평생을 살고 죽은 것이고, 그러자마자 또 한 생각이 일어나면 또 새로 태어난 것이고, 한 생각이 꺼지면 또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 것입니다.

1초 1초 지나가면서 수없는 생사, 생사, 생사가 되풀이되면서 생사의 수레바퀴, 생사의 수레를 타고 생사의 길을 여행을 계속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게 이해를 한다면 우리는 정말 발심(發心)을 하지 않고서는 배길 수가 없을 것입니다.

 

'칠팔십 년 살다가 죽으리라, 그러니 아직도 내가 죽을라면 몇십 년이 더 있어야 할 테니 죽음 문제 같은 것을 우리는 생각할 필요가 없다' 이렇게 느긋하게 생각을 하기 때문에 탐진치(貪瞋癡) 삼독(三毒)과, 재색식명수(財色食名睡) 오욕락(五慾樂) 속에 빠져서 참나를 깨달으려는 생각을 뒤로 미루고 그럭저럭 하루하루를 지내가고 있을 것입니다.

참으로 생사(生死)가 코앞에 있고, 생사의 수레바퀴를 타고 죽음을 향해서 지금 끌려가고 있다고 하는 사실을 뼈아프게 느낀다면 이 문제보다도 더 심각하고 급박한 일은 없을 것입니다.(32분11초~38분19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생사노두군자간(生死路頭君自看) 활인전재사인중(活人全在死人中)' ; 『설봉공화상외집(雪峰空和尙外集)』 「송고(頌古)」에서 '亂後入黃龍途中示道伴' 참고. (羯胡如鬼馬如風 雪刃縱橫到處空 生死路頭君自看 活人全在死人中)

*(게송) '화기자래심호리(花氣自來深戶裡) 조성장재원림중(鳥聲長在遠林中)' ; '꽃기운은 깊은 곳의 토굴로 스스로 오고, 새소리는 먼 숲속에서 길이 들려오더라'

*'사람이 태어나서 육칠십 년을 살다 가는 게 아니라, 태어난 찰나부터 한 생각 일어나면 새로 태어난 것이고, 그 생각이 꺼지면 한평생을 살고 죽은 것이고.... ....1초 1초 지나가면서 수없는 생사, 생사, 생사가 되풀이되면서 생사의 수레바퀴, 생사의 수레를 타고 생사의 길을 여행을 계속하고 있는 것입니다' ; 『몽산법어』 (용화선원刊) '보제존자시각오선인(普濟尊者示覺悟禪人 보제존자가 각오선인에게 보이심)' p103-104. (가로판 p101~103)

念起念滅(염기염멸)을 謂之生死(위지생사)니 當生死之際(당생사지제)하야 須盡力提起話頭(수진력제기화두)호리니 話頭(화두)가 純一(순일)하면 起滅(기멸)이 卽盡(즉진)하리라

起滅卽盡處(기멸즉진처)를 謂之寂(위지적)이라하니 寂中(적중)에 無話頭(무화두)하면 謂之無記(위지무기)요 寂中(적중)에 不昧話頭(불매화두)하면 謂之靈(위지령)이라하나니 卽此空寂(즉차공적)과 靈知(영지)가 無壞無雜(무괴무잡)하야 如是用功(여시용공)하면 不日成之(불일성지)하리라

 

생각이 일어나고 생각이 멸함을 생사라 이르나니, 생사(生死)의 즈음을 당하야 모름지기 힘을 다하야 화두를 들지니, 화두가 순일하여지면 일어나고 멸하는 것이 곧 다하리라.

생각이 일어나고 멸함이 곧 다한 곳을 이르되 고요함[寂]이라 하나니 고요한 가운데 화두가 없으면 무기(無記)라 함이요, 고요한 가운데 화두를 매(昧)하지 아니하면 영(靈)이라고 이르나니, 이 공적(空寂)과 영지(靈知)가 무너짐도 없고 섞임도 없어서 이와 같이 공부를 하면 며칠 안 가서 성취하리라.

 

*보제존자(普濟尊者) : (1320 ~ 1376) 나옹혜근(懶翁惠勤). 고려 스님. 분류 ‘역대 스님 약력’에서 참고.

*화두(話頭) ; 화두에 참구(叅句)와 참의(叅意)가 있다。 이론적으로 따져 들어가는 것이 참의요 사구(死句) 참선이며, 말길 뜻길이 끊어져서 다만 그 언구만을 의심하는 것이 참구요 활구(活句) 참선이다.

*무기(無記) : [범] Avyaksita 선(善)•악(惡)•무기(無記) 3성의 하나. ①온갖 법의 도덕적 성질을 3종으로 나눈 가운데서 선도 악도 아닌 성질로서, 선악 중의 어떤 결과도 끌어오지 않는 중간성(中間性)을 말한다. 이 무기에는 바른 지혜의 발생을 방해하는 유부(有覆) 무기가 있고 순수해서 방해하지 않는 무부(無覆) 무기가 있다.

②고요함에 매료되어 화두를 망각하고 몽롱한 상태. 온갖 생각이 끊어져 공적(空寂)한 상태에 있을지라도 깨달음에 이른 것이 아니므로 공적한 가운데서도 화두가 성성(惺惺)해야 한다.

*발심(發心) ; ①위없는 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菩提心]을 일으킴[發]. ②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초발의(初發意), 신발의(新發意), 신발심(新發心), 초심(初心), 발의(發意) 등이라고도 한다. 갖추어서 발기보리심(發起菩提心),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

보리심은 모든 부처님이 부처님이 될 수 있었던 바탕이 되는 종자이고 청정한 법이 자라날 수 있는 좋은 밭이기 때문에 , 이 마음을 발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면 속히 위없는 보리를 증득한다.

*탐(貪) ; 자기의 뜻에 잘 맞는 사물에 집착하는 번뇌이다. 육번뇌[六煩惱—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의 여섯 가지 근본 번뇌]의 하나.

*진(瞋) ; 자기의 마음에 맞지 않는 것에 대하여 분하게 여겨 몸과 마음이 편안하지 못하게 되는 번뇌이다. 육번뇌[六煩惱—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의 여섯 가지 근본 번뇌]의 하나.

*치(癡) ; 현상이나 사물의 도리를 이해하지 못하여 올바른 판단을 하지 못하는 번뇌를 이른다. 육번뇌[六煩惱—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의 여섯 가지 근본 번뇌]의 하나.

*삼독(三毒) ; 사람의 착한 마음(善根)을 해치는 세 가지 번뇌. 욕심·성냄·어리석음(貪瞋癡) 따위를 독(毒)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만(慢) ; 남을 업신여기고 자신을 높이는 마음 작용.

*의(疑) ; 인과(因果)의 진리를 의심하는 마음 작용.

*악견(惡見) ; 올바르지 않은 견해. 그릇된 견해.

*오욕락(五欲,五慾,五欲樂) ; ①중생의 참된 마음을 더럽히는—색,소리,향기,맛,감촉(色聲香味觸)에 대한—감관적 욕망. 또는 그것을 향락(享樂)하는 것. 총괄하여 세속적인 인간의 욕망.

②불도를 닦는 데 장애가 되는 다섯 가지 욕심. 재물(財物), 색사(色事), 음식(飮食), 명예(名譽), 수면(睡眠).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