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요(三要) (No.653)—신(信) · 분(憤) · 의(疑).
*삼요(三要) : 참선하는 데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요건. 첫째는 큰 신심(大信心)이요, 둘째는 큰 분심(大憤心)이요, 세째는 큰 의심(大疑心)이다.
①신심(信心) : ‘내가 바로 부처다’ 따라서 부처는 밖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요, 일체처 일체시에 언제나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주인공, 이 소소영령한 바로 이놈에 즉해서 화두를 거각함으로써 거기에서 자성불(自性佛)을 철견을 해야 한다는 믿음.
②분심(憤心) : 과거에 모든 부처님과 도인들은 진즉 확철대오를 해서 중생 제도를 하고 계시는데, 나는 왜 여태까지 일대사를 해결 못하고 생사윤회를 하고 있는가. 내가 이래 가지고 어찌 방일하게 지낼 수 있겠는가. 속에서부터 넘쳐 흐르는 대분심이 있어야. 분심이 있어야 용기가 나는 것이다.
③의심(疑心) :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자기의 본참화두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3분 1초)
[법문] 송담스님(No.653)—2001년(신사년) 하안거결제 법회(01.5.8)(용653)
화두는 간단한 한마디에 지나지 않지마는, 아무 재미도 없고 그러한 한마디지만, 이 한마디 화두가 나의 생사(生死)의 명근(命根)을 끊는, 확철대오(廓徹大悟)해서 자기의 자성불(自性佛)을 깨닫는, 본마음 고향으로 돌아가는 가장 없어서는 안 될 나침반과 같은 것입니다.
그래서 이 화두는 간단한 한마디지만 그 화두를 바로 거각(擧却)하기 위해서는 기본 준비가 필요합니다.
첫째는 신심(信心)이여.
이 한마디 화두를 가지고—이 화두에 근본은 의심(疑心)이니까, 이 의심을 타파(打破)함으로 해서 ‘참나’를 깨달을 수가 있고 견성성불(見性成佛) 할 수가 있다고 하는 철저한 신심이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 신심이 철저하지 못하고서는 참선은 바로 가지 못하는 것이고, 이 신심이 철저하지 못하면 공부는 하다가 별 재미가 없으면은 중단할 수 밖에는 없는 것이니, 신심이 철저해야 하거든. 대신심(大信心)이 있어야 한다.
둘째는 대분심(大憤心)이 있어야 한다.
부처님과 역대조사(歷代祖師)와 모든 과거의 선지식(善知識)들은 일찍이 일대사(一大事) 문제를 해결을 해서 다 중생 교화를 하고 계시는데, 나는 왜 여태까지 이 일대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육도윤회(六途輪廻)를 하고 있는가. ‘나도 결정코 이 일대사 문제를 해결해야겠다’고 하는 대분심이 있어야 한다.
신심을 가지고서도 분심이 약하면 공부가 중단될 수 밖에 없고 자꾸 중간중간 끊어졌다 이어졌다 하는 것이어서 대분심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나서 (셋째는) 화두에 대한 의심이, 대의단(大疑團)이 독로(獨露)해야 한다 이것입니다.
이것을 고봉(高峰) 선사께서는 ‘참선하는 데 세 가지 요긴(要緊)한 것이다’ 이렇게 말씀을 하셨습니다.(10분30초~13분31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한마디 ; 짧거나 간단한 말.
*명근(命根) ; 목숨과 생명의 근본.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을 깨달음.
*거각(擧却 들 거/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의심(疑心) : 알 수 없는 생각에 콱 막히는 것.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또는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또는 ‘조주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바른 깨달음은 알 수 없는 의단, 알 수 없는 의심에 꽉 막힌 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견성성불(見性成佛)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性]을 꿰뚫어 보아[見] 깨달아 부처가 됨[成佛].
*역대조사(歷代祖師) ; 석가세존(釋迦世尊)으로부터 불법(佛法)을 받아 계승해 온 대대의 조사(祖師).
*선지식(善知識) ;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좋은 벗.
*일대사(一大事) ; ①부처님이 중생구제를 위해 세상에 나타난다고 하는 큰 일. 부처님이 세상에 나타나는 목적 ②가장 중요한 일이란 뜻. 수행의 목적. 깨달음을 얻는 것. 인간으로서의 완성.
*육도윤회(六途輪廻) ; 선악(善惡)의 응보(應報)로 육도(六途—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의 고락(苦樂)을 받으면서 죽음과 삶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것.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할 의/덩어리 단/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가 홀로(獨) 드러나다(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