ㅂ/부생2018. 10. 15. 16:40

*부생(浮生 뜨다·덧없다·정함이 없다 부/살다·삶 생) ; '허무하고 덧없는[浮] 인생[生]', '변화무상(變化無常 변화가 많거나 일정하지 않아 종잡을 수 없음)한 세간사(世間事 세상의 일, 세상살이의 일)'를 가리키는 말.

 

한 곳에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물 위를 떠다니는 부초(浮草), 이리저리 일정한 모양없이 떠다니는 부운(浮雲), 일어났다 곧 사라지고 사라졌다 곧 일어나는 물거품[浮漚] 등으로 표현되는 '덧없는 인생', '변화무상한 세간사'를 가리키는 말이다.

 

(14분 39초)

 

[법문] 송담스님(No.434)—91년 2월 첫째 일요법회.(용434)

 

삼간모옥종래주(三間茅屋從來住)하니  일도신광만경한(一道神光萬境閑)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막파시비내변아(莫把是非來辨我)하라  부생천착불상관(浮生穿鑿不相關)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삼간모옥종래주(三間茅屋從來住), 삼간(三間), 삼 칸 조그마한 삼 칸에 뗏집에 종래로 머물러 왔는데. 삼간모옥(三間茅屋)이라는 것은 저 산중에 뗏집, 떼를 비어다가 조그만하게 토굴(土窟)을 지은 형상입니다. 그 조그만한 토굴에 주욱 살아왔다 그말이여.

 

이건 우리의 육체도 조그만한 방가루(bungalow)거든. 우리의 영식(靈識)이 숙세의 인연이 있어서 그 어머니 그 아버지에 의탁을 해 가지고, 요 조그만한 이 육체라고 하는 방가루를 하나 지었어.

이것이 바로 삼간모옥이거든, 뗏집 토굴이거든 이게. 얼마 동안 살다가 못 살 만큼 집이 낡아 버리면 이거 훌렁 벗어버리고 또 새집을 짓게 되겠죠.

 

일도신광만경한(一道神光萬境閑)이로구나, 한 길 싱그러운 빛에 일만 경계가 한가하구나.

일도신광(一道神光)이라 하는 것은 아까 전강 조실 스님께서 법문하신 가운데에 본구재대지(本具在大智), 본래 갖추어져 있는 큰 지혜 빛이거든. 해탈 광명이거든.

 

떡! 화두를 들고, 선지식(善知識)으로부터 화두(話頭)를 타 가지고 그 화두 한마디에 나의 몸과 목숨과 모든 신심을 거기다 다 탁! 바쳐 버리거든. ‘이뭣고?’

 

이 ‘이뭣고?’로써 삼재팔난(三災八難)을 다 이겨 나가고, 흥망성쇠도 다 이 ‘이뭣고?’ 하나로써 다 극복해 나가고, 생로병사와 성주괴공도 다 ‘이뭣고?’ 하나로써 다 물리치고 극복을 해 나가거든.

그러한 철두철미한 신심을 가지고 나갈 때 25신장(神將)이 항상 옹호를 하고, 삼세(三世)의 모든 부처님이 다 마정수기(摩頂授記)를 하시면서 이렇게 보살펴 주시니 어찌 그 몸에서 싱그러운 빛이 안 나올 수가 있겠습니까?

 

그러니 겉으로 보면은 보잘것없는 떼 풀로 이은 보잘것없는 토굴이지만, 그런 수행을 하는 스님이 계시면 그 집은 바로 삼매(三昧)의 빛으로 장엄을 하게 되고, 그러한 수행자가 그 산중에 있으면 그 산중은 바로 명산이 되는 것입니다.

이 도량(道場)에도 그러한 수행자가 있으므로 해서 이 용화사 법보선원이 이렇게 청정도량으로써 많은 법보 가족들이 모여서 법문을 듣고 또 정진을 하고. 이 도량에 와서 부처님께 절을 하고 또 이 도량에 와서 대중공양(大衆供養)을 하고 하면은 다 소원을 성취하고 업장(業障)이 소멸(消滅)을 하고 한 것이 다 헛된 것이 아니고 반드시 그럴 수밖에는 없는 것입니다.

 

삼간모옥종래주(三間茅屋從來住)  일도신광만경한(一道神光萬境閑)이다.

막파시비(莫把是非)를 내변아(來辨我)하라. 세상에 누가 잘하고 못하고, 누가 옳고 그르고, 누가 잘되고 못되고, 흥망성쇠와 성주괴공 생로병사 그런 시비를 나한테 와서 따지지 말라 이거거든.

 

부생천착(浮生穿鑿)이 불상관(不相關)이다. 이 사바세계의 모든 것은 부생(浮生)이거든.

유의법(有爲法)이라 하는 것이, 유의법 속에 생겨났다 없어졌다 하는 거, 모든 것은 뜬 생이거든. 뜬세상!

 

뜬세상에 있어서의 온갖 잘하고 못하고, 잘되고 못되고 하는 그러한 시비 천착(穿鑿)은 나는 그까짓 것 상관하지 않겠다 이거거든.

거기에 깊이 빠져서 골몰을 해봤자 자기 뜻대로 되는 것도 아니고, 자기 뜻대로 일부가 된들 그것 가지고 무슨 영원한 행복이 오며 그것 가지고 무슨 생사가 해탈이 되는, 생사 문제가 해결이 되느냐 그말이여. 또 일시 잘되어 봤자 또 얼마 안 가면 금방 또 틀어져 버리는 거다 그말이여.

 

또 우선 잘못된 거 같아도 또 지내다 보면 또 잘되기도 하고 그런 것이지, 너무 지나치게 이 허망한 유위법(有爲法)에 깊이 빠져서 몸부림치고 너무 깊이 탐착해 가지고 그것으로 인해서 웬수 짓고 고민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가정에는 가정의 길이 있고, 사회에는 사회의 법이 있고, 나라에는 나라의 다 법도가 있으니, 그런 것은 당연히 순응을 하면서 법에 어기지 말고 또 남에게 피해는 끼치지 아니하면서 자기는 자기의 생애가 탁! 있어야 혀.

 

자기의 가장 중요한 생사 문제를 향해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저녁부터 아침까지, 이 공부는 선방(禪房)에 와서 방부(房付)를 들이고 철저히 하시면 백 번 천 번 좋고.

혹 가정을 완전히 떠나지 못하는 형편이면 가정에서 살림하면서 그저 하면서 그 속에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항상 화두를 들고, 시간이 있는 대로 앉아서 좌선도 하고 그렇게 해 보시라 그말이여. 무슨 걱정이 있습니까.

 

다 모든 것은 형편 닿는 대로, 형편이 넉넉하면 잘 먹고 잘 입고 또 쓰고 남으면 보시도 하고, 또 형편이 어려우면 어려운 대로 또 검박하게 살면서 그런 것이지, 다른 사람 잘먹고 잘사는 사람 좋은 차 굴린 걸 보고 자기도 그렇지 못한 걸 보고 부끄럽게 생각할 건 전혀 없습니다. 조금도 부끄럽고 창피할 것도 없는 거고.

자가용이 없으면 전철 타고 버스 타면 떳떳하고 좋고 그런 것이지, 꼭 자가용이 꼭 있어야만 하는 것도 아니어.

 

그래서 어린 자녀들을 둔 분들은 어려서부터 공연히 허영심(虛榮心)을 길러주지 말도록. 모든 것은 형편 대로 사는 것이 그것이 좋은 것이라고 하는 것을 직접 몸소 실천을 함으로써 잘 가르켜 주어야 합니다.

과거에 복을 많이 지은 사람은 금생에 부자도 되고, 복을 많이 짓지 못하면 또 형편이 부자가 안 되는 수도 있으나 부지런히만 하면 목구멍에 거미줄은 안 친 것으로 다 옛날부터서 다 그렇게 되아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허영심 때문에 죄를 짓게 되고, 허영심 때문에 많은 사람이 쓸데없이 고민을 하고 그러는 것입니다. 허영심만 없다면 그리고 허영심 없이 정법(正法)을 믿고 공부를 해 나간다면 이 세상 사는 것이 그렇게 괴로운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허영심으로 많은 돈을 가지고 호의호식하고 그렇게 산 사람이 훨씬 더 고통이 많고 편할 날이 없고 더 복잡한 것입니다. 차라리 좀 가난한듯 해 가지고 검소하게 살면 당장 근심 걱정이 없는 거고.

 

더군다나 정법을 믿고 참선을 하면 왕후장상(王侯將相)도 부러울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어쨌든지 이렇게 살아가고 이렇게 정법을 믿고 살아가는 사람이 자꾸 저변 확대가 됨으로 해서 우리나라가 정말 물질적으로 선진국 따라갈라고 하기보다는 정신으로, 이 정신적으로 정말 세계의 선진국이 되어야 세계 평화에 참다운 이바지를 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이렇게 모든 과학 문명을 자꾸 이렇게 발달시켜 가지고 좋은 제품을 많이 만들어서 외국에다 팔아서 부자가 되는 것도 필요합니다. 필요하나, 그것만 갖고는 까딱하면 오히려 미래의 장래에 불행의 결과를 초래할는지도 모르는 것입니다.

과학문명이 발달할수록 항상 거기에 선행(先行)해서 정신적인 면에서 이 진리를 닦고 참나를 닦는 이것이 뒷받침이 되지 아니한 물질 문명은 결국은 불행과 멸망을 초래하고 마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세계에 정말 내놓을만 한 것은 저 부처님으로부터 오늘날까지 끊이지 않고 등등상속(燈燈相續) 해서 전해 내려오는 이 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 이 정법, 불법 이것이 우리의 정말 세계에 내놓을만 한 문화유산인 것입니다.

 

우리는 다행히 숙세의 쌓은 공덕으로 그냥 이것을 쉽게 정법을 만나게 된 것을 다행으로 생각하고, 철저히 공부를 해서 금생에 결정코 이 생사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서는 이 불법이 온 세계에 가득차도록 그렇게 해서 모든 중생이 다 부처님의 해탈도에 배부르도록 그럴 날이 오기를 항상 부처님께 발원하면서 하루하루를 열심히 정진을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53분15초~67분53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삼간모옥종래주~' ; 『전등록(傳燈錄)』 제8권 '담주 용산(潭州龍山) 화상' 게송 참고.

- 삼간모옥종래주(三間茅屋從來住) 일도신광만경한(一道神光萬境閑) 막파시비내변아(莫把是非來辨我) 부생천착불상관(浮生穿鑿不相關).

*토굴(土窟) ; 사전적인 원래의 뜻은 ‘땅을 파고 위에 거적 따위를 얹고 흙을 덮어 추위나 비바람만 가릴 정도로 임시로 지은 집’이나, 근래에 절에서 쓰이는 의미는 대중이 함께 거주하는 ‘사찰(절)’과 대비되는 의미로, 어떤 집 형태와는 관계없이 스님의 ‘개인의 수행 거처’를 말함.

*방가루(bungalow 방갈로, 방가로) ; ①산이나 바닷가 같은 곳에 지어 여름철에 캠프용, 피서용으로 쓰는 작은 집. ②정면에 베란다가 있고 처마가 깊숙한 풀이나 기와 따위로 지붕을 한 작은 단층 집. 본래 인도 벵골 지방의 특유한 목조 주택 양식이다.

*영식(靈識) ; 영묘한(靈妙 - 신령하고 미묘한) 의식. 제8식. 영혼.

*선지식(善知識) ; ①부처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좋은 지도자. 훌륭한 지도자. 바르게 이끄는 사람. ②좋은 벗. 마음의 벗. 선우(善友).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이뭣고(是甚麼 시심마) : ‘이뭣고? 화두’는 천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어떤 일이 일어난 그 자리)를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 ‘이것이 무엇인고?’ 이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 ‘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는 일곱 자(字)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이, 뭣, 고’ 석 자(字)이다. ‘이뭣고?(이뭐꼬)'는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그 뜻은 그 속에 다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을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해 왔다.

*삼재팔난(三災八難) ; 사람의 태어난 해(十二支)에 따라 9년 주기로 돌아온다는 3가지 재난과 깨달음으로 향하는 청정한 수행에 방해가 되는 여덟 가지 난관.

〇삼재(三災) : ①대삼재(大三災)라 하여 물(水災), 불(火災), 바람(風災)에 의한 재난을 의미하기도 하고,

②도병(刀兵-서로 흉기를 갖고 살해함), 기근(饑饉-기근이 일어남), 질역(疾疫-큰병이 유행함)을 뜻하기도 하며,

③자연 현상으로 입은 세 가지 재해(災害) 즉 곡식이 익지 않는 기(飢), 채소가 익지 않는 근(饉), 과일이 익지 않는 황(荒)을 가리키기도 한다.

삼재의 첫해를 입삼재(入三災, 들삼재)이라고 하며 두 번째 해는 침삼재(枕三災, 눌삼재·앉은삼재)를, 마지막 해를 출삼재(出三災, 날삼재)라고 한다.

 

〇팔난(八難) : 깨달음으로 향하는 청정한 수행에 방해가 되는 여덟 가지 난관.

①지옥(地獄). ②아귀(餓鬼). ③축생(畜生). ④장수천(長壽天). ⑤변지(邊地). ⑥맹롱음아(盲聾瘖瘂). ⑦세지변총(世智辯聰). ⑧불전불후(佛前佛後).

①,②,③은 고통에 시달려 수행할 수 없기 때문,

④는 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여러 천(天)으로, 수명이 길고 편안하여 불법(佛法)을 구하지 않기 때문,

⑤는 북구로주(北俱盧洲)로서, 사주(四洲) 가운데 가장 살기 좋은 곳이기 때문,

⑥은 눈이 멀고 귀먹고 말 못하기 때문,

⑦은 세속의 지혜는 있어도 그릇된 견해에 빠져 바른 가르침을 구하지 않기 때문,

⑧은 가르침을 설할 부처님이 안 계시기 때문임.

*신장(神將) ; 불법(佛法)을 보호하는 신장. 또는 《화엄경》을 보호하는 신장.

*마정수기(摩頂授記 문지를·쓰다듬을 마/정수리·이마 정/줄 수/기록함·기억함 기) ; 마정기(摩頂記), 마정수기별(摩頂授記莂)이라고도 한다. 손으로 정수리(이마)를 만져주면서 기별을 주는 것.

어떤 사람이 수행을 철저히 하거나, 염불 또는 기도를 정성스럽게 봉행하거나, 남들이 도저히 할 수 없는 인간 세상에 모범이 될 만한 훌륭한 일을 하였을 때, 불보살(佛菩薩) 또는 천지신명이 그의 앞에 나타나 그의 정수리(이마)를 만져 주면서 ‘훌륭한 일을 하였다. 그대는 이 공덕으로 성불을 성취하리니, 그때 얻은 결과는 이러이러 하리라’고 예언해 주는 것을 말한다.

*삼매(三昧) : 정(定). ①계(戒) · 정(定) · 혜(慧) 3학의 하나. ②[범] samadhi 음대로 써서 삼마지(三摩地) · 삼마야(三摩耶) 또는 삼매(三昧)라고 한다。 마음이 움직이지 않아서 생각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지 않음을 말한다. 마음을 집중 · 통일시키는 수행, 또는 그 수행으로 이르게 된 평온한 마음 상태.

*도량(道場) : ①붓다가 깨달음을 이룬 곳, 곧 붓다가야의 보리수(菩提樹) 아래를 말함. ②불도(佛道)를 닦는 일정한 구역. 수행하는 곳. ③사찰. -‘도장’으로 읽지 않고 습관상 ‘도량’으로 발음한다.

[참고] 송담스님(No.582)—1997년 성도재 법회(96.12.08)에서.

〇보살선방 또는 비구선방, 시민선방 또 후원, 사무실 각자 자기 있는 처소에서 자기 분(分) 따라서 모다 열심히 정진을 하고 계시고, 가정에서도 터억 화두를 들고 정진을 하면 가정이 바로 자기의 선방(禪房)입니다. 차를 타고 갈 때는 차 안이 바로 선방인 것이고, 화장실에 가면 화장실이 바로 선방인 것입니다.

일체처 일체시, 시간과 공간에 따질 것 없이 언제나 한 생각 돌이키면은 바로 그 자리가 활구참선 도량(道場)이여.(53분52초~54분41초)

*대중공양(大衆供養) ; ①수행자에게 음식을 올리는 일. ②대중이 함께 식사하는 일.

*업장소멸(業障消滅) ; 전생(前生)이나 금생(今生)에 행동·말·마음(신구의,身口意)으로 지은 악업(惡業)으로 인하여 이 세상에서 생긴 장애[業障]가 사라져 없어짐[消滅]. 죄업소멸(罪業消滅).

*유위법(有爲法) ; ①여러 인연으로 모이고 흩어지는 모든 현상. 여러 인연으로 생성되어 변해 가는 모든 현상. 인연의 모임과 흩어짐에 따라 변하는 모든 현상.

②온갖 분별에 의해 인식 주관에 형성된 현상. 분별을 잇달아 일으키는 의식 작용에 의해 인식 주관에 드러난 차별 현상. 인식 주관의 망념으로 조작한 차별 현상.

*뜬세상[浮世] ; 헛되고 덧없는 세상.

*천착(穿鑿 뚫을·궁구할 천/뚫을 착) ; ①깊이 살펴 연구함 ②공연히 이치에 맞지 않게 이러쿵저러쿵함.

*해탈(解脫) ; 산스크리트어 Vimoksa 팔리어 Vimutti

①모든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 정신이 자유 자재한 것. 괴롭고 아픈 세계에서 해방된 평안한 상태. 속세의 모든 굴레에서 벗어난 상태. ②모든 번뇌를 남김없이 소멸한 열반의 상태. ③깨달음. ④마음을 고요히 가라앉히고 한곳에 집중하여 산란하지 않는 선정(禪定)의 상태. 평온한 경지.

*선방(禪房) ; ①참선(參禪)하는 방. 큰방. 선실(禪室). ②선원(禪院).

‘선방에 간다’라는 말은 ‘참선하러 절에 간다’ 또는 ‘참선 수행에 들어간다’라는 표현이다.

[참고] 『만공법어(滿空法語)』 (만공문도회 | 수덕사 능인선원) p249.

〇선방만 선방이 아니라 참선하는 사람은 각각 자기 육체가 곧 선방이라, 선방에 상주(常住)하는 것이 행주좌와(行住坐臥) 어묵동정(語默動靜)에 간단(間斷) 없이 정진할 수 있나니라.

*방부(房付)를 들이다 ; 수행자가 절에 머물며 공부할 것을 인사드리고 허락을 구해 결제(結制)에 참가하다.

*정법(正法) ; ①올바른 진리. ②올바른 진리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 ③부처님의 가르침이 올바르게 세상에 행해지는 기간.

*등등상속(燈燈相續) ; 등(燈)은 중생의 무명(無明)을 밝히는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진리를 등(燈)에 비유한 말, 이 진리의 등(燈)을 스승이 그 제자로 해서 계속 면면히 이어짐을 일컬음.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본참공안]를 받아서,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천칠백 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