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무루복2016. 2. 26. 07:25

무루복(無漏福) (No.016)—참선법(參禪法)에 의해서 내가 내 마음을 닦아 생사해탈하는 이것만이 영원히 생사를 면하는 무루복이 되는 것이다.

 

*무루복(無漏福) ; 번뇌가 없는 더러움이 없는 . 영원히 끝장이 나지를 않고 아무리 쓰고 써도 바닥이 나지를 않고 다할 날이 없는 () 그것이 무루복입니다.

무루복이라 하는 것은 참선법(參禪法) 의해서 내가 마음을 닦아 가지고 생사해탈하는 이것만이 영원히 생사를 면하는 무루복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항상 참선하는 마음으로 살고, 참선하는 마음으로 돈도 벌고, 참선하는 마음으로 보시하고, 다른 사람에게 「내가 나를 깨닫는 정법」을 믿도록 권고하고 인도하고, 자기도 열심히 닦으면서 남도 같이 닦게 하여 무루복(無漏福) 유루복(有漏福) 겸해서 닦아야, 남도 좋고 나도 행복할 있는 길을 가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유루복(有漏福) ; 평범한 범부 중생이 지은 ()—부귀영화, 명예, 권리, 오욕락 따위의 복으로, 유루(有漏 : 샘이 있는, 번뇌 또는 고를 더욱 증장시키는) 복이어서 한도(限度) 있어 영원성이 없고 영원히 믿을 것이 못된다.

하늘에다 쏘아 올린 화살이 아무리 힘이 장사가 활을 당겨서 활을 쐈다 하드라도 올라갈 만큼 올라가면 결국은 다시 땅으로 떨어지고 마는 것처럼, 아무리 복을 쌓는다 하드라도 복이 인천(人天)에서 제일가는 부자가 된다 하드라도 자기가 지은 복만큼 받아버리면 다시 타락하게 된다.

그래서 옛날 성현들은 인간 세상의 유루복(有漏福)이라 하는 것은 복을 얻으면서 죄를 짓고 얻어가지고 누리면서 죄를 짓고, 얻었던 것을 결국은 없애면서 죄를 짓는다. 그래서 『인간의 유루복은 삼생(三生) 원수다』 이렇게 표현을 것이다.

 

그러나 세상을 살아가려면 유루복도 있기는 있어야 하므로 정당한 방법으로 노력을 해서 구해야 하고, 정당한 방법으로 노력을 해서 얻은 복은 그래도 나를 그렇게까지 죄를 짓지 않게 하고언젠가 떠나더라도 나를 그렇게 크게 해롭게는 하지 않고 곱게 떠나는 것이다.

유루복이라도 좋은 방법으로 구하고 보시(布施) 같은 좋은 방향으로 사용을 하는데, 보시도 무주상(無住相) 보시를 해야 같은 재보시(財布施) 해도 결과로 돌아오는 복은 한량이 없다.

 

참선하는 것이 바로 나를 무심(無心) 상태로 이끌게 만들고, 무심한 상태에서 재보시, 법보시, 무외보시(無畏布施) 하면 그것이 바로 무주상 보시가 되는 것이어서무주상(無住相)으로 하면 그것이 무루복과 연결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항상 참선하는 마음으로 살고, 참선하는 마음으로 돈도 벌고, 참선하는 마음으로 보시도 한다면유루복과 무루복을 겸해서 닦는 것이다.

 

(3분 13초)

 

[법문] 송담스님(No.016)—76 부처님오신날(76.05.06)(용016)

 

우리가 자리에 모인 것은 과거의 업장(業障) 소멸(消滅)하고 앞으로 영원무궁토록 모든 복과 지혜를 누리는 것이 우리의 목적입니다.

 

이렇게 정성스런 마음으로 자리에 참여하신 공덕으로 틀림없이 모든 재앙을 소멸하고 여러분의 소원이 성취되어서 한량 없는 복을 누릴 것은 의심치 않지마는, 우리는 ()만을 믿을 수가 없습니다. 복이라 하는 것은 언젠가는 다할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영원한 행복은 물질적인 , 세속에서 말하는 명예, 권리, 재산 이러한 오욕락(五慾樂)이라고 하는 것은 없어서도 안되지마는 영원한 것이 못되고 영원히 믿을 것이 못되기 때문에, 부처님과 조실 스님과 역대 도인들이 말씀하시기는 생사해탈(生死解脫) 있는 무루복(無漏福) 닦아야 한다.

 

무루복(無漏福)이라 하는 것은 영원히 끝장이 나지를 않고 아무리 쓰고 써도 바닥이 나지를 않고 다할 날이 없는 () 그것이 무루복입니다. 무루복이라 하는 것은 참선법(參禪法) 의해서 내가 마음을 닦아 가지고 생사해탈하는 이것만이 영원히 생사를 면하는 무루복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무루복(無漏福) 유루복(有漏福) 겸해서 닦아야, 남도 좋고 나도 행복할 있는 길을 가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유루복만을 치중을 하시고 바쁘다 핑계하고, 아들딸 시집 보내고 키운 것을 핑계대고, 가정생활에 핑계대고, 사회에 핑계대 가지고 무루복 닦는, 내가 마음을 닦는 공부를 사실상 너무나도 등한히 하고 계신 점이 많습니다.

 

우리는 참으로 급한 것은 뒤로 미루고, 급하지 아니한 것은 집착해 가지고 그것만에 빠져서 앞길을 헤어날 모르는 그러한 어리석은 하루하루를 지내지 않는가? 각자 냉철히 반성을 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을 기해서, 부처님이 삼계(三界) 모든 고해(苦海)에서 헤매고 있는 중생들을 제도하시기 위해서 출현하신 탄생하신 부처님의 탄생일을 맞이해서,

우리는 부처님이 남겨 놓으신 생사해탈법(生死解脫法) 의지해서내가 나를 닦는 참선법(參禪法)’ 철저히 닦아서 결정코 금생에 생사해탈 것을 같이 마음에 다짐하기를 간절히 바라마지 않습니다.(2116~2430)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업장소멸(業障消滅) ; 전생(前生)이나 금생(今生) 행동··마음(신구의,身口意)으로 지은 악업(惡業)으로 인하여 세상에서 생긴 장애() 사라져 없어짐.

*오욕락(五欲,五慾,五欲樂) ; ①중생의 참된 마음을 더럽히는,소리,향기,,감촉(色聲香味觸) 대한감관적 욕망. 또는 그것을 향락(享樂)하는 . 총괄하여 세속적인 인간의 욕망. ②불도를 닦는 장애가 되는 다섯 가지 욕심. 재물(財物), 색사(色事), 음식(飮食), 명예(名譽), 수면(睡眠).

*생사해탈(生死解脫) ; 생사(生死) 떠나 깨달음의 세계에 드는 .

*참선법(參禪法) ; ①선() 수행을 하는 .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법.

*삼계(三界) : [] trayo-dhatavah 중생들이 살고 있는 세계를 가지로 나누는데,

①욕계(欲界 Kamadhatu) : 음욕(婬欲) • 식욕(食欲) • 재욕(財欲) 같은 탐욕이 많아서, 정신이 흐리고 마음이 험악하며, 순전히 물질에 속박되어 가장 둔탁한 중생들이 사는 낮은 세계.

②색계(色界 rupadhatu) : 욕계 위로 욕심은 매우 적으나 성내는 버릇이 남아 있어, 물질의 지배를 아주 벗어나지 못한 중생들이 사는 비교적 맑은 세계. () 물질이란 뜻이다.

③무색계(無色界 arupadhatu) : 위층으로 탐욕과 성냄은 떨어져서 물질의 영향은 받지 않으나, () 버리지 못하여 정신상으로 걸림이 남아 있는 깨끗한 중생들이 사는 높은 세계.

이것을 흔히 땅으로부터 하늘까지 올라가면서 유형(有形) 계층으로만 말하지마는, 실상은 입체적 공간이 아니라, 정신적인 세계의 구분(區分)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상(地上) 세계의 어떤 곳에도 () • () • () 삼독심(三毒心) 경중(輕重) 따라 삼계가 벌어져 있는 것이다.

*고해(苦海) ; 중생이 태어나서 죽어 윤회하는 영역으로서의 세개의 세계, 삼계(三界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에서 생사의 괴로움이 무한하므로 바다에 비유함.

 

Posted by 닥공닥정
ㅅ/석가모니2016. 2. 26. 07:19

석가모니(釋迦牟尼) (No.016)

 

*석가모니(釋迦牟尼) : Sakya-muni 음역. 샤카족의 성자(聖者), 현인(賢人)이라는 . 한문으로는 음대로 써서 석가모니(釋迦牟尼) 또는 석가문(釋迦文)이라 하고, 줄여서 석가(釋迦) 한다. 뜻으로 번역하여 능인적묵(能仁寂默) 또는 능적(能寂)•능유(能儒) 한다.

불교의 교조(敎祖). 과거칠불(過去七佛) 일곱째 부처님. 석가모니세존(釋迦牟尼世尊), 석존(釋尊)이라고도 한다.

 

(11분 31초)

 

[법문] 송담스님(No.016)—76 부처님오신날(76.05.06)(용016)

 

오늘 초파일을 맞이해서 여러 신남신녀, 사부대중 여러분들께서는부처님이 과연 어디서 출현하셨으며, 어디서 출생하셔 가지고, 어떻게 해서 성현이 되셨는가?’ 알고 계실 생각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의 스승이시요, 선지식이시요, 우리의 선생님이신 어른이 어떠한 어른이라고 하는 것을 앎으로써 그분을 믿고 그분을 따라서, 그분의 말씀에 의지해서 공부할 있는 투철한 마음이 일어날 생각합니다.

다시 우리의 마음에 새기고 새기기 위해서 간단히 부처님의 약력(略歷) 대해서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부처님은 지금으로부터 삼천년 , 중인도 가비라성(迦毘羅城)이라고 하는 왕국에서 태어나셨습니다. 지금 나라로 말하면 네팔 나라입니다. 네팔 나라에 가비라성이라고 하는 나라입니다.

왕국의 임금님은 정반왕(淨飯王)이시고 왕비, 부처님의 어머니는 마야 부인(摩耶夫人)이십니다. 정반왕과 마야 부인 사이에서 오랫동안 아들이 없이, 아들을 낳기를 기다리고 기다리던 나머지 드디어 아드님 분을 탄생하셨습니다.

 

그분은 기가 막히게 달덩어리와 같이 잘나시고, 그리고 영특하셨습니다.

모든 도인들, 선인들이 와서 관상을 보시고, ‘이분은 장차 커서 속세에 계셔서 임금 노릇을 하시게 되면은 천하를 무력을 사용하기 아니하고 덕화(德化)로써 천하를 통일할 있는 전륜성왕(轉輪聖王) 되실 것이다.

만일에 속가에 계시지 아니하고 출가하셔서 도를 닦으시게 된다면은 일체 중생을 제도하실 있는 성인 가운데에서도 가장 위대하고 높으신 거룩한 부처님이라고 하는 그런 성인이 되실 것이다하고 전부 말을 했습니다.

그래서 임금님 내외분을 비롯해서 궁궐이나 백성들이 태자가 태어나신 것을 그렇게도 반가와 하고 경축을 했습니다.

 

부처님이 열두 살이 되시자, 아버님 부왕(父王) 따라서 농사짓는 축제가 있는데 나가셔서, 밭가는 것을 보시고 밭을 가는데 보습 끝에서 튀어나오는 작은 벌레들이 많이 깨져 죽고, 나와서 구물거리는 것을 보고 까막까치가 날아와서 그것을 쪼아먹는 것을 보고,

 

아하, 약육강식(弱肉強食)이라니! 과연 서로 목숨 있는 것끼리 서로 강한 놈이 약한 놈을 잡아먹고, 세상도 강한 나라가 약한 나라를 침범해서 빼앗고, 서로 죽이고 서로 죽임을 당하고, 불쌍하고 비참하구나!

어떻게 해야 서로 죽이고, 죽임을 당하고, 서로 해롭게 하고, 미워하고 질투하고 시기하는 이러한 것이 없는 평화로운 세상, 영원히 슬픔과 괴로움이 없는 그러한 인생은 없을까?’ 어린 나이에 영특한 그런 생각을 가지셨습니다.

 

그래 가지고 숲속에 혼자 들어가셔서 오랜 동안 침묵, 명상에 잠기신 그러한 일들이 종종 계셨습니다.

 

무엇 때문에 부처님께서 어린 열두 나이에 그러한 생각을 가지실 수가 있었겠는가?

말하기를, 부처님을 낳으시고서 이레 만에 부처님 어머니이신 마야 부인이 산후(産後) 병환으로 돌아가셨습니다. 돌아가시자마자 부처님께서는 부처님의 이모를 계모로 맞으셔서 계모의 , 이모의 손에 의해서 부처님은 양육을 받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시자마자 이레 만에 어머니를 잃으신 그분이기 때문에, 어려서부터 숙명적으로 인간으로서의 슬픔을 가지셨다고 우리는 추측할 수가 있습니다.

 

범부(凡夫) 자기 사람의 슬픔을 자기 사람의 슬픔으로써 고민을 하다 말지마는, 성현(聖賢)들은 자기 사람의 슬픔을 확대해서 모든 중생들의 슬픔으로 아시고, 자기 사람의 슬픔을 발판으로 해서 모든 중생의 슬픔을 건지는 데까지 나아가실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리해서 부처님께서는 부왕(父王) 간곡한 명령에 의해서 '야수다라'라고 하는 이웃나라 공주를 맞이해서 아내를 삼으셨습니다. 그래가지고 '라후라'라고 하는 예쁜 아드님도 두셨습니다.

 

그러나 부왕의 명령에 의해서 마지못해서 결혼은 했지마는, 아내와 아들에 대해서 조금도 정을 붙여 가지고,

당신이어떻게 해야 생로병사 인생의 고통을 벗어나서 영원히 자유로운 행복을 누릴 수가 있겠는가? 사람뿐만 아니라 모든 인류가 행복할 있는 길은 무엇인가?’ 이런 근본적인 고민은 해소되지 아니한 , 하루하루를 지내시다가 급기야 동서남북 사문(四門) 구경하시게 되었습니다.

 

()에서 하루는 병든 사람을 구경을 했고, 다음날은 () 가서 늙은 노인을 보았고, () 가서는 죽은 송장을 보았습니다. 마지막 날에 가서는 아주 누데기는 입었지만 깨끗하고 청수(淸秀) 어떤 수행인을 보았습니다.

 

그래서과연 세상에 모든 사람은 낳으면 늙어서 병들어 죽는다 하는 사실을 확실히 거기서 느끼셨고, 나중에 출가해 가지고 열심히 도를 닦음으로써 생사해탈 있는, 영원히 자유롭고 행복한 () 증득할 있다고 하는 것을 마음속 깊이 결심을 하시게 되었습니다.

 

그래 가지고 그렇게도 어머니와 아버지 부왕께서 그렇게 붙들고 태자가 하루라도 근심스러운 그러한 안개가 얼굴로부터 가시기 위해서 삼시전(三時殿) 지어 가지고, 갖은 호강과 사치와 기쁨과 춤과 노래로서 달래고 위안을 했지마는 드디어 아내와 아들 잠들고 있는 틈을 타서 성문을 빠져나와 가지고 히말라야 산속으로 들어가시게 되었습니다.

 

연세가 경전에 따라서는 열아홉 살이라고 데도 있고, 스물아홉 살이라고 되어진 데도 있습니다. 우리는 연세에 관해서는 경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느니 만큼, 무엇이 옳다 그르다 우리 마음대로 경솔히 판단을 수는 없습니다. 다만 그러한 가지 설이 있다고 하는 것만을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출가하셔 가지고열아홉 살에 출가하셨다고 하는 경전에는 12년간을 고행 수도(修道)하셨다고 되어 있고, 29살에 출가하셨다고 되어 있는 경전에는 6년간을 고행 수도했다고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따라서 도통(道通) 하신 연세는 서른 또는 서른다섯으로 되어 있습니다.

 

도통 하시고 뒤부터 오십 년간을 앉을자리 더울 없이 인도 천지를 동서남북으로 제자들을 거느리고 다니시면서 많은 국왕과 대신과 장자와 일반 서민, 천민에 이르기까지 계급을 인정을 하시지 아니하고 평등, 자유 속에 모든 중생을 한결같이, 당신의 외아들 라후라 존자와 같이 사랑하는 마음으로 중생을 어루만지시고 제도해 주셨습니다.

 

그러는 가운데에 50 동안 또는 49 동안 설하신 법문을 결집해서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온 것이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입니다. 팔만대장경이 지금 경상북도 합천 해인사에 한문으로 번역이 되어서 경판에다가 새겨서 지금 보관이 되어 있습니다.(32~1434)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약력(略歷 대충 추릴·줄일 /지낼 ) ; 개인이 거쳐 그간의 경력 따위를 간단하게 밝힌 기록.

*가비라성(迦毘羅城) ; 가비라(迦毘羅) 왕국. ‘석가모니(釋迦牟尼, Śākyamuni)’ 아버지 슈도다나왕(Śuddhodāna ; 淨飯王) 다스리던, 인도와 지금 네팔 남쪽 국경 근처에 있던 석가족의 카필라바스투(Kapilavastu ; 迦毘羅) 나라를 말함.

*마야 부인(摩耶夫人) ; māyā.  석가모니의 어머니인도 콜리야족(koliya선각왕(善覺王) 딸로 카필라바스투(Kapilavastu) 슈도다나(Śuddhodana, 정반왕淨飯王) 결혼하였으나석가모니를 낳고 7 후에 돌아가셨다그래서 당시의 풍속으로 정반왕은 마야의 여동생 마하프라자파티(mahāprajāpatī) 재혼함.

*덕화(德化) ; 옳지 못한 사람을 어질고 선한 행동으로 바람직하게 변하게 .

*전륜성왕(轉輪聖王) ; 산스크리트어 cakravarti-rāja 인도 신화에서, 칠보(七寶) 갖추고 정법(正法)으로 수미산(須彌山) 사방에 있는 대륙을 다스리는 . 32(:신체의 특징)·7() 갖추고, 무력에 의하지 않고 정법에 의해 세계를 정복·지배한다고 한다.

전통적으로 인도 마우리아왕조의 아쇼카왕[阿育王](BC 3세기) 세속의 전륜성왕이라고도 말한다.

*보습 ; 쟁기, 가래 따위 농기구의 술바닥(쟁기 끝에 보습을 대는 넓적하고 삐죽한 부분) 끼워 땅을 갈아 흙덩이를 일으키는 데에 쓰는, 넓적한 모양의 쇳조각.

*범부(凡夫 무릇·보통 /남편·사내 ) ; 번뇌(煩惱) 얽매여 생사(生死) 초월하지 못하는 사람. 이생(異生) 또는 이생범부(異生凡夫)라고도 한다.

*사문유관(四門遊觀) ; 사문출유(四門出遊)라고도 한다. 석가모니부처님이 싯다르타 태자 때에 가비라성의 4문으로 나가 다녔는데, 동문 밖에서는 늙은이를 보고, 남문 밖에서는 병든 이를 보고, 서문 밖에서는 죽은 사람을 보고, 북문 밖에서는 출가수행자를 보고, 생로병사의 고통을 해결하려고 출가 수행에 뜻을 두었다.

*청수하다(淸秀--) ; 얼굴이나 모습 따위가 깨끗하고 빼어나다.

*삼시전(三時殿) ; 석가모니 부처님이 실달 태자 시절에 그의 출가를 막으려고 아버지 정반왕이 계절(인도는 1년을 계절로 나눈다) 살기 좋게 지은 궁전을 말한다.

*도통(道通) ; ①사물의 이치를 깨달아 훤히 통함. ②깨달음.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