ㅈ/좌선2019. 3. 3. 21:22

*좌선(坐禪) ; 단정히 앉아서 가부좌(跏趺坐)나 반가부좌(半跏趺坐)를 하고, 단정히 앉아서 선(禪) 수행을 하는 것[參禪].

 

*선(禪) ; 선지(禪旨). [범] dhyana 음을 따라 선나(禪那)• 타연나(駄衍那)라 쓰고, 고요히 생각함(靜慮), 생각하여 닦음(思惟修), 악한 것을 버림(棄惡) 또는 공덕림(功德林) 등으로 번역한다。진정한 이치를 궁리하고 생각을 안정하게 하여 산란치 않게 하는 것을 말한다.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간화선(看話禪) ; 화(話)는 화두(話頭)의 준말이다. 간화(看話)는 ‘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을 본다[看]’는 말로써,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이 화두를 관(觀)해서, 화두를 통해서 확철대오하는 간화선을 전강 조실스님과 송담스님께서는 ‘최상승법(最上乘法)’ ‘활구참선(活句參禪)’이라고 말씀하신다.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천칠백 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7분 47초)

 

[법문] 송담스님(No.577)—96년 11월 첫째일요법회(96.11.03)(용577)

 

어떤 스님이 중국을 갔는데, 항구에 내리니까 연세가 꽤 많은 스님이 항구에 여기저기 두리번거리고 다닌다 그말이여. 처음으로 중국을 갔으니까 스님을 만났으니 반가웠겄다.

“어느 절에서 오셨습니까?”

“아무데 산, 아무데서 왔다”

“왜 참선을 안 하시고 이리 항구에 와 가지고 이렇게 두리번거리고 있습니까?”

 

‘이분이 참선(參禪)에 대해서 아직 무엇인지를 모르시는구나’

“나는 선방에 들어와서 정진한지가 벌써 수십 년인데 지금 전좌(典座)” 전좌라고 하면 별좌(別座)나 채공(菜供), 그러한 소임이 바로 전좌라고 하는 소임에 해당 되는데, 그러한 별좌나 원주(院主), “그러한 소임을 맡았기 때문에 혹 이 항구에 오면 대중공양(大衆供養) 할 만한 것이 있을까, 그래서 그것을 구하러 왔다”

 

그런데 그 말을 들어보니까, 그 스님은 그러한 전좌라고 하는 소임을 맡아 가지고 대중을 외호(外護)를 하고 외호하면서 참선하는 것이 아니라, 외호하면서 그 속에 바로 그것이 정진이다 그거거든.

일 따로 있고 정진 따로 있는 게 아니라, 일이 바로 정진이고 정진이 바로 일이다 그말이여. 일과 정진이 둘이 아니어. 그 속에서 바로 일도 열심히 하면서 그 일 자체가 정진이다 그말이여.

 

벌써 입승(立繩), 선덕(禪德)을 다 지내 가지고 조실(祖室)로 추대를 받을만한 그러한 법랍(法臘)과 경륜을 가진 스님이 그런 전좌의 소임을 자원해서 맡아 가지고 그렇게 정진을 한다 그말이여.

그래서 그 스님은 그 전좌 스님 안내로 절을 가 가지고 한 3년간을 여법히 정진을 해 가지고, 확철대오를 해 가지고 인가(印可)를 받아 가지고 왔다. 그 스님이 누구냐 하면은 일본의 조동종 개산조(開山祖)인 도원 선사(道元禪師)라고 하는 선사인데, 그래서 일본에 조동종 초조(初祖)가 되어서 오늘날 일본에 조동종이 굉장히 번창을 한 그러한 종파를 개산을 했다 그말이여.

 

우리나라에도 도원 선사 못지않을 만큼 훌륭한 선사들이 많이 계시지만,

참선이라 하는 것은 선방에 앉아서 꼭 시간 맞춰서 죽비(竹篦) 치고—물론 선방에 방부를 들이고, 결제 중에는 시간을 잘 맞추고 여법하게 잘 지내야 하는 것은 마땅한 일이나 입선·방선, 입선(入禪) 중에는 여법하게 하고 방선(放禪)하면 그냥 화두도 놔 버리고 잡담으로 세월을 보내고 그렇게 지내서는 아니 되는 것이고.

 

또 결제(結制) 중에는 여법하게 지내다가 해제(解制)가 되면 팔도강산 경치 좋고 좋은 데를 다니면서 구경이나 하고 그럭저럭 지내고, 이렇게 해 가지고서는 미륵불이 하생할 때까지—오십육억 칠천만 년 뒤에 미륵불(彌勒佛)이 염부제(閻浮提)에 하생(下生)할 때까지 참선해도 깨달을 기약은 없다고 고인(古人)네들은 이구동성(異口同聲)으로 다 말씀을 하셨습니다.

 

참선(參禪)에 대한 개념이—물론 아까 조실 스님의 법문 가운데에도 ‘앉아서 하는 것이 힘을 얻기가 쉽다’고 하는 구절에 대해서도 말씀이 있었지마는,

당연히 참선은 꼭 좌선(坐禪)만이 참선은 아니나 가급적이면 단정히 앉아서 가부좌(跏趺坐)나 반가부좌(半跏趺坐)를 하고, 눈은 평상으로 뜨고 그래가지고 단전호흡을 하면서 ‘이뭣고?’ 숨을 깊이 들어마셨다가 잠깐 머물렀다가 조용히 내쉬면서 ‘이뭣고?’ 초보자는 마땅히 그렇게 길을 들여가야 하는 것은 사실이나, 어찌 꼭 좌선만이 참선이겠느냐 이거거든.

 

밥 먹을 때, 옷 입을 때, 변소에 갈 때, 세수하고 양치질 할 때, 목욕할 때, 일체처 일체시 항상 자기 본참공안(本參公案)을 거각(擧却)을 해서, 면면밀밀(綿綿密密), 밀밀면면(密密綿綿), 간단(間斷)없이 성성적적(惺惺寂寂)하게 잡드리를 해 가야 할 것이다.

 

그래서 고인은 그럭저럭 지내지 말고, 몸과 목숨을 다 바쳐서 오직 한길로 전일(專一)하게 나아가도록 그렇게 법문을 하셨습니다. 그것은 우리는 너나 할 것 없이 잘해 봤자, 후(厚)하니 점수를 매겨 봤자 중근기(中根機)고, 짜게 매기면 전부가 다 하근기(下根機)인 것입니다.

하근기이기 때문에 특별한 장소가 필요하고, 특별한 시간을 짜야 하고, 특별한 규칙을 세워서 그 범위 내에서 오직 전일하게 한 가지만 밀고 나가자 이거거든.(28분36초~36분24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별좌(別座) ; 절에서 식사·의복·방석·이부자리 등을 담당하는 직책, 또는 그 일을 맡은 스님.

*채공(菜供) ; 절에서 반찬을 마련하는 소임, 또는 그 일을 맡은 스님.

*대중공양(大衆供養) ; ①수행자에게 음식을 올리는 일. ②대중이 함께 식사하는 일.

*입승(立繩) ; 선원(禪院)에서 선원의 규율과 질서를 다스리는 직책, 또는 그 일을 맡은 스님.

*선덕(禪德) ; 참선한 기간이 길고, 지혜와 덕을 갖춘 훌륭한 선승(禪僧)에 대한 존칭.

*조실(祖室) ; 선원의 가장 높은 자리로 수행인을 교화하고 참선을 지도하는 스님.

*법랍(法臘 부처님의 가르침·불도佛道 법/스님의 나이·승납 랍) ; 법세(法歲), 계랍(戒臘), 하랍(夏臘)이라고도 한다. 출가하여 구족계(具足戒)를 받아 비구, 비구니가 되고 부터의 햇수를 말한다.

*인가(印可 도장 인, 옳을·인정할 가) ; 스승이 제자의 깨달음을 인정함.

*개산조(開山祖) ; 절이나 종파를 처음으로 개산(開山)한 시조(始祖).

*개산(開山) ; ①사원을 세우는 것. 산속에 세웠기 때문에 이렇게 쓴다. ②일사(一寺)를 연 스님. 즉 사원의 초대 주지(住持). ③일종(一宗)을 연 고승.

*초조(初祖) ; 한 종(宗)을 처음 세운 스님.

*죽비(竹篦 대나무 죽/빗치개·통발 비) ; 예불이나 참선 정진할 때 이 죽비를 손바닥에 쳐서 소리를 내어 시작과 끝을 알리는데 쓰는 불교 용구.

*입선(入禪) ; 참선 수행(좌선)에 들어가는 것, 좌선(坐禪)을 시작하는 것. 참선(좌선)수행.

*방선(放禪) ; 좌선을 하거나 불경을 읽는 시간이 다 되어 공부하던 것을 쉬는 일. 몸을 쉬는 가운데서도 마음은 항상 본참화두를 들고 있어야 한다.

*결제(結制 맺을 결/만들•법도 제) ; 참선 수행하는 안거(安居)에 들어감. 하안거는 음력 4월 15일에 결제하며, 동안거는 음력 10월 15일에 결제한다.

*해제(解制 풀 해/만들•법도 제) ; ①(안거)를 마침. ②재계(齋戒)하던 것을 그만두고 풂.

*미륵불(彌勒佛) : [범] Maitreya 대승보살, 또는 매달려야(梅呾麗耶), 매달례야(昧怛隷野)。번역하여 자씨(慈氏)。 이름은 아일다(阿逸多) 무승(無勝) 막승(莫勝)이라 번역.

인도 바라나국의 바라문 집에 태어나 석가모니의 교화를 받고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아, 도솔천에 올라가 있으면서 지금 그 하늘에서 천인(天人)들을 교화하고,

석가모니 입멸후 56억 7천만 년을 지나 다시 이 사바세계에 출현—하생(下生)하여, 화림원(華林園) 안의 용화수(龍華樹) 아래에서 성불(成佛)하고 3회의 설법으로써 석가모니의 교화에서 빠진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고 한다. 이 법회를 용화삼회(龍華三會)라 한다.

도솔천에서의 생을 마치면 인간으로 태어나 성불하여 석가모니불의 자리[處]를 보충(補充)한다는 뜻으로 보처(補處)의 미륵이라 하며, 현겁(賢劫) 천 불의 제5불(佛).

*염부제(閻浮提) ; 염부(閻浮). 남염부제(南閻浮提). 섬부주(贍部洲). 남섬부주(南贍部洲).

산스크리트어 jambu-dvīpa의 음사. 염부(閻浮), 섬부(贍部)는 jambu의 음역어이며, 제(提)와 주(洲)는 dvipa의 각각 음역어 및 의역어이다. jambu는 나무 이름.

불교의 우주관에 의하면 세계의 중심에 높이 솟은 거대한 수미산(須彌山)의 사방에 네 대륙(四洲)이 있는데, 염부라는 이름은 여기에 자란다는 점부(jambu)에 유래하며, 남방에 있기 때문에 남섬부주(南贍部洲)라고 한다.

우리 인간들이 사는 곳이라 하며, 여러 부처님이 나타나는 곳은 사주(四洲) 가운데 이곳뿐이라 함. 불전에서는 인간세계의 전체를 의미하는 말로서 사용되고 있다.

*고인(古人) ; 옛날 사람. 옛날 선승(禪僧).

*이구동성(異口同聲 다를 리/입 구/같을 동/소리 성) ; ‘입은 다르나 목소리는 같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하는 말이 한결같고 일치함을 이르는 말.

*가부좌(跏趺坐 책상다리할 가/책상다리할 부/앉을 좌) ; 좌선할 때 앉는 방법의 하나.

가(跏)는 발바닥을, 부(趺)는 발등을 가리키는 말인데, 오른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뒤,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드러나게 앉는 항마좌(降魔坐)와,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뒤, 오른발을 왼편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위를 향하게 하여 앉는 길상좌(吉祥坐)가 있다.

*반가부좌(半跏趺坐) ; 부처님의 좌법(坐法)으로 좌선할 때 앉는 방법의 하나. 한쪽 다리를 구부려 다른 쪽 다리의 허벅다리 위에 올려놓고 앉는 자세이다.

*이뭣고(是甚麼 시심마) : ‘이뭣고? 화두’는 천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어떤 일이 일어난 그 자리)를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 ‘이것이 무엇인고?’ 이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 ‘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는 일곱 자(字)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이, 뭣, 고’ 석 자(字)이다. ‘이뭣고?(이뭐꼬)'는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그 뜻은 그 속에 다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을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해 왔다.

*본참공안(本參公案) : 본참화두(本參話頭).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거각(擧却 들 거/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화두를 든다’ ‘화두를 거각한다’는 말은 자신의 본참화두를 들 때 알 수 없는 의심이 현전(現前)하면, 그 알 수 없는 의심을 성성하게 관조(觀照)하는 것이다.

[참고] 송담스님 세등선원(No.09)—병진년 동안거 결제중 법어(76.12.26)에서.

〇화두를 먼저 이마로 의심을 하지 말고, 이 화두를—호흡하는데 배꼽 밑[丹田]에 숨을 들어마시면은 배가 볼록해지고 숨을 내쉬면은 배가 홀쪽해지는데, 그 배가 빵빵해졌다 홀쪽해졌다 허는 거기에다가 화두를 들고 ‘이뭣고~?’ ‘알 수 없는 생각’ 관(觀)하는 그것이 화두를 드는 것이여.

*면면밀밀(綿綿密密) ; 면면(綿綿)하고 밀밀(密密)하게. 끊어지지 않고 아주 빽빽하게 죽 잇따라 있는. 밀밀면면(密密綿綿).

*간단(間斷 틈·사이 간/끊을 단) ; 계속되던 것이 잠시 그치거나 끊어짐.

*잡드리 ; ‘잡도리’의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③아주 요란스럽게 닦달하거나(단단히 윽박질러서 혼을 내다) 족침(견디지 못하도록 몹시 급하게 몰아치다).

*후하다(厚--) ; (마음이나 태도가)인색하지 않고 넉넉하다.

*근기(根機 뿌리 근/베틀 기) ;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들일 수 있는 중생의 소질이나 근성. 보통 근기의 차등을 상근기, 중근기, 하근기로 구분한다.

*전일(專一 오로지 전/한 일) ; ①마음과 힘을 모아 오직 한 곳에만 쓰다. ②(사람이나 사물이)한결같고 변화가 없다.

 

Posted by 닥공닥정
ㅈ/좌선2017. 5. 30. 19:24

*좌선(坐禪) ; 단정히 앉아서 가부좌(跏趺坐) 반가부좌(半跏趺坐) 하고, 단정히 앉아서 () 수행을 하는 것[參禪].

 

*() ; 선지(禪旨). [] dhyana 음을 따라 선나(禪那)• 타연나(駄衍那) 쓰고, 고요히 생각함(靜慮), 생각하여 닦음(思惟修), 악한 것을 버림(棄惡) 또는 공덕림(功德林) 등으로 번역한다。진정한 이치를 궁리하고 생각을 안정하게 하여 산란치 않게 하는 것을 말한다.

 

*참선(參禪) ; ①선() 수행을 하는 .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한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간화선(看話禪) ; () 화두(話頭) 준말이다. 간화(看話) 화두에 대한   없는 의심을 본다[]’ 말로써,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막힌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화두를 ()해서, 화두를 통해서 확철대오하는 간화선을 전강 조실스님과 송담스님께서는 최상승법(最上乘法)’ ‘활구참선(活句參禪)’이라고 말씀하신다.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막힌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천칠백 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2분 21초)

 

[법문] 송담스님(세등선원No.34)—신유년 하안거 반결제 법어(81.05.29)(세등34)

 

어제 오늘  사람의 수좌(首座)로부터 공부에 관한 자문을 받았는데,  정진(精進) 행주좌와(行住坐臥) 어묵동정(語默動靜)이 상관이 없어.

 

걸어갈 때나,  있을 때나, 앉았을 때나, 누워 있을 때나, 말을  때나, 말을 아니하고 있을 때나, 움직일 때나, 고요히 있을 때나, 일체처 일체시에 분별(分別)이 없이 다못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던지 간에   없는 화두(話頭)만을 거각(擧却)할 뿐이여.

 

그렇게 무시선(無時禪) 무처선(無處禪)때도 없이, 어떠한 특정한 장소도 없이 다못 일여(一如)하게 화두에 대한 의심(疑心) 관조(觀照) 나갈 뿐이지만,

그래도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앉아서 기본자세, 가부좌(跏趺坐)나 반가부좌(半跏趺坐)를 하고 기본자세로 정진을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가장 힘을 얻기 쉽다.

 

그래서 고래(古來)로부터 참선(參禪)을 좌선(坐禪)’이라고 이름을 붙이게  것이다. 기본자세로 앉아서 정진한 것이 제일 효과적이고 득력(得力)을 하기가 쉽기 때문에 그래 해 온 것이다.(1127~1348)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수좌(首座) ; ①선원(禪院)에서 좌선하는 스님. ②수행 기간이 길고 덕이 높아, 모임에서  윗자리에 앉는 스님. ③선원에서 좌선하는 스님들을 지도하고 단속하는 스님.

*정진(精進) : [] Virya  음을 따라 비리야(毘梨耶  毘離耶) • 미리야(尾利也)라고도 쓴다。보살이 수행하는  바라밀(六波羅蜜) 하나。순일하고 물들지 않는(純一無染) 마음으로 부지런히 닦아 줄기차게 나아가는 것이다。그러나 닦는 생각() 닦는 () 있어서는  된다。함이 없이 하는 것이 정진이다.

*행주좌와(行住坐臥) 어묵동정(語默動靜) ; 사람이 일상적으로 하는 일체의 행위.

*분별(分別) ; 사량분별(思量分別), 사량복탁(思量卜度), 사량계교(思量計較) 같은 말。 생각하고 헤아리고 점치고 따짐。 가지가지 사량분별(思量分別) 사리(事理) 따짐。 법화경 방편품(法華經方便品) 「이 법은 사량분별로 능히  바가 아니다」라고 .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거각(擧却  /어조사 ) ; 화두를 든다. ‘화두를 든다’ ‘화두를 거각한다 말은 자신의 본참화두를     없는 의심이 현전(現前)하면,    없는 의심을 성성하게 관조(觀照)하는 것이다.

[참고] 송담스님 세등선원(No.09)—병진년 동안거 결제중 법어(76.12.26)에서.

화두를 먼저 이마로 의심을 하지 말고,  화두를호흡하는데 배꼽 [丹田] 숨을 들어마시면은 배가 볼록해지고 숨을 내쉬면은 배가 홀쪽해지는데,  배가 빵빵해졌다 홀쪽해졌다 허는 거기에다가 화두를 들고 이뭣고~?’     없는 생각 ()하는 그것이 화두를 드는 것이여.

*무시선(無時禪) 무처선(無處禪) ; 어떤 특정한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못 일여(一如)하게 화두에 대한 의심을 관조해 나가는 ().

*일여(一如) ; 완전히 하나가 되어 나눌  없음.

*의심(疑心) :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 대해   없는 생각  막히는 .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또는 어째서 () 했는고?’ 또는 조주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 했는고?’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바른 깨달음은   없는 의단,   없는 의심에  막힌 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참화두(本參話頭) ; 본참공안(本參公案).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관조(觀照) ; ①지혜의 힘으로 사물이나 이치를 통찰(洞察 : 예리한 관찰력으로 사물을 환히 꿰뚫어 ). ②지()로써 ( 모든 차별의 모양. 현상계. 차별 현상. 사물) ( 모든 사물의 본체. 진리) ()하여 바르게 아는 .

*가부좌(跏趺坐 책상다리할 /책상다리할 /앉을 ) ; 좌선할  앉는 방법의 하나.

() 발바닥을, () 발등을 가리키는 말인데오른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드러나게 앉는 항마좌(降魔坐),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오른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아 양쪽 발바닥이 위를 향하게 하여 앉는 길상좌(吉祥坐) 있다.

*반가부좌(半跏趺坐) ; 부처님의 좌법(坐法)으로 좌선할  앉는 방법의 하나. 한쪽 다리를 구부려 다른  다리의 허벅다리 위에 올려놓고 앉는 자세이다.

*고래(古來) ; ('고래에', '고래로' 꼴로 쓰여)옛날부터 줄곧.

*득력(得力) ; 수행이나 어떤 기술, 운동에서 자꾸 되풀이해서 하면, 처음에는  안되던 것이 할라고  해도 저절로  되어질 때 득력(得力)이라 표현. 수월하게 되어 힘이 덜어지는 것을 다른 표현을 쓰면 그것을 힘을 얻었다(得力)’하는 .

참선 수행에서는 화두에 대한 의심을 할려고  해도 저절로 의심이 독로(獨露)하게 되는 것을 득력이라고 말한다.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