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참실오(No.220)—실다웁게 정진을 하고 실다웁게 깨닫는 것은 마치 팔십 고령의 노인이 바람을 거슬르고 물을 거슬르면서 한 척의 밑 없는 쇠로 만든 배를 끌고 올라간 거와 같다. 참선하는 사람은 아무 조건도, 되니 안되니 아무 생각도 하지 말고 그저 이를 악물고 끌어 올려라.

(게송)도안종래불용선~ | 촉목보리(觸目菩提). 눈으로 뭣을 탁! 보면 보는 그 찰나에 분명하다.

 

*실참실오(實參實悟) ; 실답게 참구(參究)하고 실답게 깨달음. 참(參)은 참선(參禪) 또는 참구(參究). 실참(實參)은 공안(화두)을 이론으로 분석하고 따지는 것이 아닌 선지식의 지도 아래 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것을 말한다.

 

다만 그 꽉 맥힌 의심으로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고, 의단이 더이상 간절(懇切)할 수가 없고, 더이상 커질 수가 없고, 더이상 순일무잡(純一無雜)할 수가 없어 가지고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어 그놈을 타파(打破)할 때에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는 것이다.

 

(16분 40초)

 

[법문] 송담스님(No.220)—1983년(계해년) 동안거결제 법회(83.11.19) (용220)

 

실다웁게 정진을 하고 실다웁게 깨닫는 것은 마치 팔십(八十) 고령에 할아버지, 그 노인이 바람을 거슬르고 물을 거슬르면서 한 척의 배, 한 척의 밑 없는 쇠로 만든 배를 끌고 올라간 거와 같혀.

 

배라고 하는 것이 밑이 없으면은 나무로 만든 배도 가라앉아 버리는데, 쇠로 만든 배는 더 말할 것이 없거든.

바람을 따라서 뭣이던지, 바람을 등지고 가야 바람의 기운을 타서 수월하고, 물도 물의 흐름을 따라서 배를 끌고 내려가야 한결 수월할 텐데, 쇠로 만든 배, 그나마 밑이 빠진 배를 바람도 거슬러—바람을 거슬른다는 것은 바람을 안고 막 나아간다 그말이여. 물도 역수(逆水)를 해서, 물이 흐르는 반대 방향으로 향해서 밑 없는 쇠 배를 끌고 간 거와 같다하니 그것이 얼마나 힘이 드는 일이냐 그말이여.

 

그나마 그 배를 요새 무슨 장사(壯士)와 같은 그런 그 장사가 끌고 간다면 혹 또 모르는데, 젊고 혈기 방장(血氣方壯)한 젊은 청년이라면 또 모르는데, 팔십 먹은 아주 기진맥진(氣盡脈盡)한 그러한 노인이 밑 없는 쇠로 만든 배를 바람과 물을 거슬러서 끌고 올라간 거와 같다 그래.

 

보통 사람 같으면 끌어 올릴려고 생각도 못하고 애당초 아주 포기를 해 버릴 것인데, 이 '참선하는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하냐?' 하면,

나이 많고 적은 것도 따지지 말고, 바람을 거슬르고 안 거슬르고 한 것도 따지지 말고, 또 물도 거슬르고 안 거슬르고 한 것도 따지지 않고, 쇠배거니 나무배거니, 또 밑이 있고 없고 한 것도 따지지 말라 이거여. 이 배를 어떻게 끌고 올라가질 것인가 말 것인가, 그것도 따지지 말라 이거여.

 

다못 생각 생각이 사이가 없어. 염염상속(念念相續)해서 한 걸음 한 걸음을 끌고 가는데, 그 한 걸음 속에다가 평생 기량을 갖다가 다 거기다 쏟으라 그말이여.

젖 먹던 힘, 아주 젖 먹을 때의 힘까지 다해서 한 걸음 한 걸음을 이를 악물고 끌어 올려라 이거여.

 

그렇게 해 가지고 저 위에 끌어 올릴라고 끌어 올릴라고 해도 그 무거운 쇠로 만든 밑 빠진 배가 바닥에 아주 가라앉아 버렸을 텐데, 그 무거운 배를 바람과 물을 (거슬러) 끌어 올리는데 아무리 끌어 올릴라고 해도 까딱도 안해, 까딱도 허거나 말거나 또 있는 힘을 다해서 끌어 올리는 거여.

그래 가지고 힘줄이 끊어지고 다리뼈가 부러졌을 때에 바람이 갖다가 반대 방향으로 불어 주고, 흐르던 물이 꺼꾸로 흘러 주면서 그렇게 까딱도 안하던 그 쇠배가 바람결 따라 물결 따라 수르르르~ 허니 움직이기 시작한 거와 같이.

 

그렇게 화두를 들려고 해도 화두가 영 간절하게 들리지를 않고, 그렇게 화두를 들고 애를 쓰지만 순수하게 들리는 때는 잠깐이고 금방 번뇌와 망상이 뒤죽박죽이 되고, 그러다 보면 어느새 또 잠이 와 가지고 그 눈 뚜깽이는 천근만근 무겁게 눈 뚜깽이는 내려 눌리고, 머리 골치는 그 잠이 오는 잠을 억지로 잠을 안 잘려고 눈을 뒤집어 뜨고 그냥 막 참고 정신을 차릴려고 하다 보면은 골이 더럭더럭 아프고,

시간은 영 10분이 지나가기를 한 시간만큼 그렇게도 시간이 지루하고 안 넘어가고, 다리는 저리고 허리는 아프고 몸은 몸비듬을 틀어서 몸이 아주 주리(周牢)를 튼 것처럼 괴롭고 아, 이런다 그말이여.

 

그렇지만, 옛날 사람은 입었던 저고리를 벗어서 땅바닥을 치고, 깔고 앉았던 방석을 들어서 방바닥을 치면서 통곡을 하고 '이거 조주가 무자(無字) 화두를 내 가지고 내 신세를 이렇게 망친다'고 아주 고인(古人)을 갖다가 원망을 하기도 하고 그랬다고 그럽니다마는, 오죽 답답하고 답답하면 그렇게 방바닥을 치면서 고인을 한탄을 했겠습니까.

 

그러나 그것도 잠시 어리석은 생각이고, 그러거나 말거나 한 걸음도 물러서지 아니하고 한 생각도 물러슬 겨를이 없이, 다시 또 정신을 가다듬어서 심호흡을 하면서 화두를 들고 또 화두를 들고,

정 혼침(昏沈)이 와 가지고 몸이 괴로울 때에는 조용허니 일어나서 밖에 가서 한 5분, 이렇게 동서(東西)로 왔다갔다 포행(布行)을 하면서 화두를 들면, 그 몸이 지루하고 골치 아프고 그랬던 것이 간 곳이 없이 다시 시원해지면 또 다시 와서 정진을 하고 이렇게 해서 하루 하루를 알뜰하게 이렇게 단속을 해 나간다면,

 

반드시 그 무거웠던 밑 없는 쇠로 만든 배가 까딱도 안하던 것이 바람이 방향을 바꾸고 물이 방향을 바꿔서 흐를 때 처럼, 화두가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어서 화두를 들려고 안해도 저절로 들어지고, 앉으나 서나 누우나 밥을 먹을 때나, 눈으로 산을 보나 땅을 보나 귀로 무슨 소리를 듣거나 화두의 그 의단(疑團)이 순수무잡(純粹無雜)하게 독로(獨露)해서 행주좌와와 어묵동정 간에 일부러 딴생각을 좀 할려고 해도 딴생각이 안 일어나. 화두를 들지 않아도 저절로 들어져 갖고 있는 때가 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화두를 타파(打破)해서 자기 면목(面目)을 보게 될 소식이 가까와진 증거인 것입니다.

 

그렇게 순수무잡한 경계가 와도 조금도 기뻐하는 마음을 내지 말고, 빨리 깨달았으면 하는 생각도 내지 말고, 이럴 때에 어떤 선지식(善知識)이 나를 툭! 터지게 좀 해줬으면 그런 생각도 내지 말고, 그럴 때일수록 오히려 조급한 생각을 내지 말고, 어떠한 생각도 내지 말고, 다못 그 순수무잡한 의단을 관조(觀照)해 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반드시 그러한 경계가 올 것이고 그런 경계가 왔을 때에 지혜스럽게 정진을 단속해 나가면 결정코 화두를 타파해서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금년 계해년 삼동안거가 그러한 한 철이 되도록 각별히 노력을 해 주시기를 부탁을 드립니다.

 

 

도안종래불용선(到岸從來不用船)하고  탄연대도투장안(坦然大道透長安)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요연원불인타오(了然元不因他悟)하고  면목분명총일반(面目分明總一般)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도안종래불용선(到岸從來不用船)하고, 저 언덕 저 깨달음의 언덕에 이르는 데에는 본래 배를 타고 가는 것이 아니여.

우리가 눈으로 보는 저 강물, 강을 건너서 저 언덕으로 가는 데에는 목선이나 똑딱선이나 무슨 배를 타던지 배를 타고 건너가지만, 우리의 생사(生死)를 건너서 깨달음의 저 언덕으로 가는 데에는 무슨 그러한 배를 타고 가는 것이 아니다.

 

탄연대도투장안(坦然大道透長安)이다. 탄연(坦然)히 큰 길이 있어서 어디서든지 장안(長安)으로 길이 똑바로 뚫려 있는 것이다 그말이여.

동서남북 어디에서든지, 기쁠 때나 슬플 때나 괴로울 때나 앉었을 때나 서 있을 때나 언제 어디서 무엇을 하던지, 어떠한 생각을 하던지 간에, 바로 그 자리에서 깨달음의 길에는 일직선으로 시간도 걸리지 않고 그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대도(大道)가 뚫려져 있다 그말이거든.

 

요연원불인타오(了然元不因他悟)여. 그 길이 요연(了然)해서 원래 다른 것을 인(因)해서 깨닫는 것이 아니여.

 

부처를 인해서 부처가 깨달라 주는 것도 아니요, 조사가 깨달라 주는 것도 아니고 원래 시간과 공간으로 거리가 없이 바로 길이 직선으로 뚫려져 있어서 면목분명총일반(面目分明總一般)이여. 그 면목(面目)이 분명(分明)하다 말이여.

바로 무엇을 볼 때, 무슨 소리를 들을 때 촉목보리(觸目菩提)여. 눈으로 뭣을 탁! 보면 보는 그 찰나에 분명하거든. 그것이 면목분명한 것이 총일반(總一般)이여. 모두가 다 일반(一般)이다 그말이여.

 

 

백일기도에 동참하신 보살님네는 설사 이 결제에 참석을 못 하시고 댁에서 사신다 하더라도 백일기도에 동참했으면 이 삼동안거에 방부를 붙인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니 가정에서 생활하시면서 항시 꼭 이 용화사 선방에 계신 거와 같은 그러한 마음, 이 법당에 계신 그러한 마음으로 생활 속에서 한 생각 한 생각을 단속하고 생활 자체가 정진이 되고 생활 자체가 기도가 되도록 그러한 마음가짐으로 한 철을 지내신다면 모든 업장(業障)이 바로 거기에서 다 소멸(消滅)이 되시고, 업장이 소멸이 되면 자연히 여러분의 크고 작은 모든 소원도 성취가 되실 것입니다.(41분33초~58분20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실참실오(實參實悟) ; 

 

[참고 ❶] 『조계진각국사어록(曹溪眞覺國師語錄)』 「서답(書答)」 ‘답노상서(答盧尙書 노상서에게 답함)’에서.

所以古德云 路途之樂 終未到家 見解入微 不名見道 參須實參 悟須實悟 閰羅大王 不怕多語 若要實參實悟 須是從前坐禪處得底 經敎上得底 古人語錄上得底 宗師口頭下得底 有滋味寶悟處 一時掃向他方世界 好字細看

 

그러므로 옛 스님은 ‘길의 즐거움은 종내 집에 이르지 못하게 하며, 보고 알아 미세한 데 들어가는 것은 도를 보았다 할 수 없습니다. 참구는 진실한 참구이어야 하고 깨달음도 진실한 깨달음이어야 합니다. 염라대왕은 많은 말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만일 알차게 참구하여 진실로 깨달고자 하면, 종전에 좌선(坐禪)해서 얻은 것과 경전에서 얻은 것과 고인의 어록에서 얻은 것과 종사의 입을 통해 얻은 것 등에서 자미(滋味)있고 소중히 여긴 깨달았던 경계를, 한꺼번에 다른 세계에 쓸어 버리고 자세하게 살펴야 좋을 것입니다’ 하였습니다.

 

[참고 ❷] 『고봉화상선요(高峰和尙禪要)』 26. 「시중(示衆)」에서

若論實參實悟 正如八十公(翁?)公 向逆風逆水裏 牽一隻無底鐵船相似 不問上與不上 徹與不徹 直須心心無間 念念無虧 一步一步 盡平生伎倆睚(厓?)將去 睚到著脚 不得處 筋斷骨折時 驀然水轉風回 卽是到家消息 卽今莫有到家底麼 (卓柱杖一下 云) 十萬八千

 

만일 실답게 정진을 하고 실답게 깨닫는 것을 말하자면 마치 80세의 늙은이가 바람을 거스르고 물살을 거슬러서 한 척의 밑 없는 쇠배를 끄는 것과 같으니, 올라가고 올라가지 못함과 도달하고 도달하지 못함을 묻지 말고, 곧 마음 마음이 끊임없이, 생각 생각이 이지러짐이 없이 한 걸음 한 걸음에 평생의 힘을 다하여 끝까지 밀고 나아가야 한다.

밀어서 다리를 붙일 수 없는(더이상 나아갈 곳이 없는) 곳과 힘줄이 끊어지고 뼈가 부러질 때 이르르면 별안간 물살과 바람의 방향이 바뀌는데 이것이 바로 집에 이르른 소식이다.

지금 집에 이르른 이가 있느냐? (주장자로 한 번 치고 말하기를) 십만(十萬) 팔천리(八千里)로다.

 

[참고 ❸] 『백운화상어록(白雲和尙語錄)』 상권 ‘흥성사입원소설(興聖寺入院小說)’에서.

若也眞實參學者 參須實參 悟須實悟 始得 且作麽生是實參實悟耶 於二六時中 四威儀內 以生死大事爲念 離心意識 參出凡聖路 學以無心無爲 綿密養之 常常無念 常常不昧 了無依倚 到冥然地 自然合道 不見古人云 無心方見本來人

 

만약 진실한 참학자(參學者)라면 참구는 반드시 진실한 참구이어야 하고 깨달음도 진실한 깨달음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무엇이 진실한 참구이며 진실한 깨달음인가?

하루 열두 시간과 사위의(四威儀) 가운데서 생사의 큰 일을 생각하되, 심의식(心意識)을 떠나 참구하여 범성(凡聖)의 길을 벗어나고 무심(無心)과 무위(無爲)를 배우고 그것을 면밀히 길러 언제나 무념(無念)하고 항상 어둡지 않아, 마침내 기댈 곳이 다 사라지고 명연(冥然)한 자리에 이르면 자연히 도에 합할 것이다. 고인이 ‘무심(無心)이어야 비로소 본래인(本來人)을 본다’라는 말을 모르는가?

 

 

 

 

---------------------

 

*'실다웁게 정진을 하고 실다웁게 깨닫는 것은 마치 팔십(八十) 고령에 할아버지, 그 노인이 바람을 거슬르고 물을 거슬르면서 한 척의 배, 한 척의 밑 없는 쇠로 만든 배를 끌고 올라간 거와 같혀'

[참고] 『고봉화상선요(高峰和尙禪要)』 26. 「시중(示衆)」에서

若論實參實悟 正如八十公公 向逆風逆水裏 牽一隻無底鐵船相似 不問上與不上 徹與不徹 直須心心無間 念念無虧 一步一步 盡平生伎倆睚(厓?)將去 睚到著脚 不得處 筋斷骨折時 驀然水轉風回 卽是到家消息 卽今莫有到家底麼 (卓柱杖一下 云) 十萬八千

 

만일 실답게 정진을 하고 실답게 깨닫는 것을 말하자면 마치 80세의 늙은이가 바람을 거스르고 물살을 거슬러서 한 척의 밑 없는 쇠배를 끄는 것과 같으니, 올라가고 올라가지 못함과 도달하고 도달하지 못함을 묻지 말고, 곧 마음 마음이 끊임없이, 생각 생각이 이지러짐이 없이 한 걸음 한 걸음에 평생의 힘을 다하여 끝까지 밀고 나아가야 한다.

밀어서 다리를 붙일 수 없는(더이상 나아갈 곳이 없는) 곳과 힘줄이 끊어지고 뼈가 부러질 때 이르르면 별안간 물살과 바람의 방향이 바뀌는데 이것이 바로 집에 이르른 소식이다.

지금 집에 이르른 이가 있느냐? (주장자로 한 번 치고 말하기를) 십만(十萬) 팔천리(八千里)로다.

*실참실오(實參實悟) ; 실답게 참구(參究)하고 실답게 깨달음. 실참(實參), 실답게 참구(參究)한다는 것은 공안(화두)을 이론으로 분석하고 따지는 것이 아닌 선지식의 지도 아래 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것을 말한다. 참(參)은 참선(參禪) 또는 참구(參究).

다만 그 꽉 맥힌 의심으로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고, 의단이 더이상 간절(懇切)할 수가 없고, 더이상 커질 수가 없고, 더이상 순일무잡(純一無雜)할 수가 없어 가지고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어 그놈을 타파(打破)할 때에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는 것이다.

*본참화두(本參話頭) ; 본참공안(本參公案).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장사(壯士 장壯하다·굳세다·씩씩하다 장/선비·사내·남자 사) ; 기개와 힘이 아주 굳센[壯] 사람[士].

*혈기 방장하다(血氣方壯-- 피 혈/기운 기/바야흐로·이제 한창 방/굳세다·씩씩하다·크다·성盛하다 장) ; 혈기(血氣, 힘을 쓰고 활동하게 하는 원기)가 바야흐로[方] 왕성하다[壯].

*기진맥진(氣盡脈盡 기운 기/다할 진/맥 맥/다할 진) ; 스스로 몸을 가누지 못할 정도로 기력(氣力)이나 맥(脈)이 다함[盡].

*애당초(-當初) ; ‘당초(當初, 일의 맨 처음)’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주리(周牢)를 틀다 ; 주리 틀다. 예전에, 죄인을 심문할 때 주리(죄인의 두 다리를 한데 묶고 다리 사이에 두 개의 긴 막대기를 끼워 비틀던 형벌)의 형벌을 주다.

*혼침(昏沈 어두울 혼/잠길 침) ; ①정신이 미혹(迷惑)하고 흐리멍덩함. ②좌선할 때 정신이 맑지 못하여 잠에 빠지거나 무기공(無記空)에 떨어진 상태.

*포행(布行) ; 참선(參禪)을 하다가 잠시 방선(放禪)을 하여 몸을 푸는 뜻으로 자신의 본참화두를 들면서 조용히 뜰을 걷는 일.

*타성일편(打成一片) : ①‘쳐서 한 조각(덩어리)을 이룬다’. 참선할 때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화두가 들려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일체처 일체시에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疑心)만이 독로(獨露)한 순수무잡(純粹無雜) 경계.

②차별대립을 여읜 경지. 이분법적이고 상대적인 것이 융화 · 용해되어 하나가 되는 것.

*의단(疑團 의심할 의/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독로(獨露 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홀로[獨] 드러나다[露].

*화두(話頭)를 타파(打破) ;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스승)으로부터 화두•공안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그 화두(話頭)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 하지 아니하고, 오직 꽉 막힌 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을 타파하여 확철대오(廓徹大悟)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고] 〇화두라 하는 것은 무엇이냐? 공안(公案)이라고도 말하는데, 화두는 깨달음에 이르는 관문이요, 관문을 여는 열쇠인 것입니다.

 

화두의 생명은 의심입니다. 그 화두(話頭)에 대한 의심(疑心)을 관조(觀照)해 나가는 것, 알 수 없는 그리고 꽉 맥힌 의심으로 그 화두를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모든 번뇌와 망상과 사량심이 거기에서 끊어지는 것이고,

계속 그 의심을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더이상 그 의심이 간절할 수가 없고, 더이상 의심이 커질 수 없고, 더이상 깊을 수 없는 간절한 의심으로 내 가슴속이 가득차고, 온 세계가 가득차는 경지에 도달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 경지에 이르면 화두를 의식적으로 들지 않어도 저절로 들려져 있게 되는 것입니다. 밥을 먹을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똥을 눌 때에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차를 탈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이렇게 해서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들려진 단계. 심지어는 잠을 잘 때에는 꿈속에서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게끔 되는 것입니다.

 

이런 상태로 6, 7일이 지나면 어떠한 찰나(刹那)에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큰항아리에다가 물을 가뜩 담아놓고 그 항아리를 큰돌로 내려치면은 그 항아리가 바싹 깨지면서 물이 터져 나오듯이, 그렇게 화두를 타파(打破)하고, ‘참나’를 깨닫게 되고, 불교의 진리를 깨닫게 되고, 우주의 진리를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52분12초~54분46초) [ 참선법 A, 송담스님(No.088) ]

 

〇이뭣고? 이것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렇게 의심을 해 나가되, '이런 것인가? 저런 것인가?'하고 이론적으로 더듬어 들어가는 것이 아닙니다. 다못 '이···뭣고······?' 이렇게만 공부를 지어나가야 됩니다. 여기에 자기의 지식을 동원해서도 안되고, 경전에 있는 말씀을 끌어 들여서 '아하! 이런 것이로구나!' 이렇게 생각해 들어가서도 안됩니다.

 

공안은 이 우주세계에 가득차 있는 것이지마는 문헌에 오른, 과거에 고인(古人)들이 사용한 화두가 천칠백인데, 이 ‘이뭣고?’ 화두 하나만을 열심히 해 나가면 이 한 문제 해결함으로 해서 천칠백공안이 일시(一時)에 타파가 되는 것입니다.

화두가 많다고 해서 이 화두 조금 해 보고, 안되면 또 저 화두 좀 해 보고, 이래서는 못쓰는 것입니다. 화두 자체에 가서 좋고 나쁜 것이 있는 것이 아니고 오직 한 화두 철저히 해 나가면 일체 공안을 일시에 타파하는 것입니다.(76분34초~78분22초) [ 참선법 A, 송담스님(No.088)]

*선지식(善知識) ; ①부처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좋은 지도자. 훌륭한 지도자. 바르게 이끄는 사람. ②좋은 벗. 마음의 벗. 선우(善友).

*본래면목(本來面目 밑 본/올 래/낯 면/눈 목) ; ①자기의 본래(本來) 모습(面目). ②자신이 본디부터 지니고 있는, 천연 그대로의 심성(心性). 부처의 성품.

본지풍광(本地風光), 본지고향(本地故鄉), 본분전지(本分田地), 고가전지(故家田地), 천진면목(天眞面目), 법성(法性), 실상(實相), 보리(菩提), 부모에게서 낳기 전 면목(父母未生前面目), 부모에게서 낳기 전 소식(父母未生前消息) 등이 모두 같은 맥락에서 쓰이는 말이다.

*(게송) '도안종래불용선(到岸從來不用船)~' ; 『금강경오가해」 제25. 화무소화분(化無所化分) 종경 스님 게송 참고.

*장안(長安) ; ①중국 산시 성(山西省) 시안 시(西安市)의 옛 이름. 전한(前漢)과 당나라의 수도로 역사상 이름난 국제도시였다. ②수도(首都)라는 뜻으로 '서울(한 나라의 중앙 정부가 있는 곳)'을 이르는 말.

*탄연(坦然 평탄할•뚜렷할 탄/그럴•명백할 연) ; 훤한 모양. 마음이 가라앉아 편안하고 고요한 모양.

*요연(了然 밝을 요/그럴•명백할 연) ; ①분명(分明)한 모양(模樣). ②명백(明白)한 모양(模樣).

*촉목보리(觸目菩提) ; 눈에 접촉 되는 것, 일체가 그대로 보리(菩提, 깨달음)이다 라는 뜻.

*일반(一般) ; ①전체에 두루 해당되는 것. ②서로 다를 바가 없는 마찬가지의 상태.

*업장(業障) ; 전생(前生)이나 금생(今生)에 행동•말•마음(신구의,身口意)으로 지은 악업(惡業)으로 인하여 이 세상에서 장애(障礙)가 생기는 것.

*업장소멸(業障消滅) ; 전생(前生)이나 금생(今生)에 행동·말·마음(신구의,身口意)으로 지은 악업(惡業)으로 인하여 이 세상에서 생긴 장애[業障]가 사라져 없어짐[消滅]. 죄업소멸(罪業消滅).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600 개가 넘는 ‘(참선) 법문’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 있습니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천육백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