ㅂ/발심2019. 9. 14. 09:07

포구발심(怖懼發心) (세등선원No.58)—아육왕(阿育王)의 동생, 7일 임금 노릇 | 생사는 호흡지간에 있다.

 

*포구발심(怖懼發心 두려워할 포/두려워할 구/일어날 발/마음 심) : 끝없이 되풀이되는 육도윤회(六途輪廻)에서 받을 생사(生死)가 정말 무섭구나! 그 생사의 고통을 매우 두려워[怖懼]하여, 두려운 마음으로 생사를 벗어나는 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菩提心]을 일으킴[發].

 

*발심(發心) ; ①위없는 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菩提心]을 일으킴[發]. ②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초발의(初發意), 신발의(新發意), 신발심(新發心), 초심(初心), 발의(發意) 등이라고도 한다. 갖추어서 발기보리심(發起菩提心),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

보리심은 모든 부처님이 부처님이 될 수 있었던 바탕이 되는 종자이고 청정한 법이 자라날 수 있는 좋은 밭이기 때문에 , 이 마음을 발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면 속히 위없는 보리를 증득한다.

 

(9분 50초)

 

[법문] 송담스님(세등선원No.58)—을축년 동안거 해제 법어(86.01.17) (세등58)

 

여러분이 잘 아시는 바와 같이, 부처님이 제자를 데리고 어디를 가시는데, 어린아이가 길에서 소꿉장난을 하는데 모래로 이렇게 성을 쌓고 길을 트고 해서, 부처님이 지나가시니까 길을 떠억 비켜 드리면서 ‘부처님 이 길로 지나가시옵소서’

자기가 그렇게 정성스럽게 모다 소꿉장난하면서 길을 닦고 모다 해 가지고 그 깨끗이 만들어 놓은 길로 부처님을 가시게 했다 그말이여.

 

부처님이 그 아이를 보시고 ‘너는 백년 뒤에 전륜성왕(轉輪聖王)이 되겠구나’ 이렇게 수기(授記)를 주셨는데,

백년 뒤에 아쇼카 왕, 아육왕(阿育王)이라고도 하고, 그 아육왕으로 탄생을 해 가지고 그 어려서는 매우 포악(暴惡)하고 그래서 그 부왕마마로부터서 미움을 샀었는데.

 

저 변방에 난리가 일어나서 그래서 그걸 갖다가 막으라고 아무 무기도 주지 아니하고, 그래가지고 거기를 보냈는데.

‘가서 싸우다가 차라리 죽어버리는 것이 좋겠다. 저놈을 살려두면은 자기가 죽은 뒤라도 형제간에 반드시 저놈이 그 형을 죽이던지 동생을 죽이던지 해 가지고 난리를 일으킬 것이다’해 가지고, 부왕(父王)의 마음에는 가서 싸우다가 죽기를 은근히 바래고서 그걸 보냈는데, 어떻게 용맹스럽던지 가 가지고 다 때려죽이고 그래가지고 그 난리를 평정을 했어.

 

그래가지고 거기 있는데 얼마 있다가 그 부왕이 승하(昇遐)를 했어. 해 가지고 그 큰아들이, 태자가 왕이 되어가지고 있는데.

부왕이 승하했다는 말을 듣고는 군사를 몰고 와 가지고 그 형, 태자로서 왕이 된 형을 죽이고, 그 동복형제(同腹兄弟) · 이복형제(異腹兄弟)를 백 명 가량을 다 죽이고, 모다 그 반대하는 신하들 충신들도 다 때려죽이고, 그래가지고는 자기가 왕이 되었습니다.

 

마치 그 우리나라 수양 대군(首陽大君)이 그렇게 충신을 많이 죽이고 조카를 모다 그렇게 한 역사가 있습니다마는.

그렇게 사람을 많이 죽였는데, 어느 스님의 법문을 듣고 그리고 거기서 발심(發心)을 해 가지고는 대참회(大懺悔)를 하고서 아주 정치를 꼭 불법(佛法)에 의해서, 부처님의 정신에 입각해 가지고 나라를 잘 다스렸습니다. 그래가지고 인도를 통합을 한 전륜성왕이 되었습니다.

 

그 아쇼카왕이 부처님께서 탄생하신 네팔(Nepal) 나라에 큰 수십 미터 되는 돌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 위에다가 돌로 사자를 만들어서 딱 안치를 하고, 그래가지고 부처님 탄생하신 기념비를 거기다 세우고, ‘부처님이 탄생하신 그 지방의 모든 백성들에게 세금을 면제해 줘라’한 그런 탑을 세운 것이 지금도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 아육왕(阿育王)에 동생이 있는데, 그 동생은 불법(佛法)을 믿지를 아니해. 믿지를 아니하고.

 

하루는 그 동생이랑 모다 저 산으로 놀이를 나갔는데, 그 노루 · 염소 모다 그런 것들이 교미(交尾)를 한 것을 보고서 그 형인 아육왕한테,

‘출가한 스님네들은 어떻게 독신 생활을 그렇게 할 수가 있을까요? 저런 짐승도 저렇게 모다 교미를 하고, 사람으로 태어나서 모다 남녀관계, 결혼을 해 가지고 자식을 낳고 모다 살고 한데, 출가한 스님네는 과연 어떻게 그렇게 청춘을 다 버리고 저렇게 참 일생을 독신 생활을 할까요?’

 

그러니까 거기에 대해서는 대답을 하지 아니하고, ‘어떻게 해야 이 사람을 발심을 해서 참으로 불법을 믿게 할 수가 있을까?’하고 연구한 끝에,

‘내가 7일 동안을 너에게 왕위(王位)를 내가 너한테 밀어주니, 7일 동안을 니 하고 싶은 대로 임금 노릇을 해라. 먹고 싶은 대로 먹고, 궁녀들도 니가 데리고 놀고 싶은 대로 놀고, 어떠한 권리도 니 마음대로 부려라. 단, 7일 후에는 내가 너를 왕위를 빼앗고 그 다음에 너는 사형(死刑)에 처하겠다’

 

그래서 왕관과 옥새(玉璽)를 다 건너 주고 왕관을 딱 씌워서 그래가지고 모든 신하들에게도 그 새 왕한테 다 충성을 다하도록 명령을 내리고 그랬는데.

 

하루 동안을 맘대로 먹고, 그 상감마마가 누리는 모든 복수용(福受用)을 하는데 하루가 지나면, ‘이제 하루가 지냈습니다. 앞으로 엿새가 남았습니다’ 날마다 그렇게 보고를 신하를 시켜서 합니다.

또 하루를 그렇게 또 술과 계집과 모든 영화(榮華)를 호강을 하고 하루를 지냈는데, ‘이틀이 지나고 앞으로 닷새가 남았습니다’ 아! 매일 그렇게 큰소리로 인자 조회 때 외치는데,

 

그 말 한마디가 그냥 뼈골에 사무쳐 가지고 오싹오싹 전율이 일어나고, 도대체 저녁에 잠도 잘 안 오고, 아무리 맛있는 것을 먹어도 맛있는 중을 모르고, 그 아름다운 궁녀들이 옆에 와서 모다 시중을 들고 춤을 추고 모다 그래도 아무 재미가 없어.

내가 지금 임금 노릇은 하기는 하나 그런 권리도 자기한테는 재미가 없고, 영화도 소용이 없고, 7일 후에 죽을 일을 생각하니, 참 하루하루 죽을 날이 가까워 오니 정말 아름다운 기집이 옆에 있어도 아무 감흥이 없고, 그래가지고 7일이 딱! 되었습니다.

 

아육왕이 ‘그래 어떻든고? 7일 동안 왕 노릇을 하니 재미가 어떻든고? 음식은 맛이 있었든가?’

‘별로 음식 맛을 몰랐습니다’

 

‘그러면 예쁜 궁녀들이 그렇게 시중을 들었으니 재미가 어떻든고?’

‘아무 재미가 없었습니다.

 

‘거 보게. 출가한 스님네들은 「죽을 사(死)」자를 이마에다 쓰고, 생사(生死)가 호흡지간(呼吸之間)에 있는 것을 뼈아프게 느끼고서 한 생각 한 생각을 죽음과 싸워서 그 생사해탈(生死解脫) 할려고 한 그 가행정진(加行精進) · 용맹정진(勇猛精進)을 하고 사는데, 무슨 거기에 색심(色心)이 동(動)하겠는가?’

 

‘예. 과연 알겠습니다. 출가한 스님네들이 청춘을 버리고, 명예와 권리를 버리고, 인생에 모든 오욕락(五欲樂)을 버리고 그 도를 닦아가는 스님네 그 거룩한 뜻을 제가 잘 알았습니다. 제가 출가하도록 허락을 해 주십시오’

‘좋다’

 

그래가지고 머리를 깎고 출가를 해서 어떻게 용맹정진을 해 가지고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증득을 했던 것입니다.(10분8초~19분58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전륜성왕(轉輪聖王) ; 산스크리트어 cakravarti-rāja 인도 신화에서, 칠보(七寶)를 갖추고 정법(正法)으로 수미산(須彌山)의 사방에 있는 대륙을 다스리는 왕.

32상(相:신체의 특징)·7보(寶)를 갖추고, 무력에 의하지 않고 정법에 의해 세계를 정복·지배한다고 한다.

하늘로부터 받은 윤보(輪寶)를 굴려 모든 장애를 물리친다고 함. 윤보에는 금·은·동·철의 네 가지가 있는데, 금륜보(金輪寶)를 지닌 금륜왕(金輪王)은 네 대륙을 다스리고, 은륜보(銀輪寶)를 지닌 은륜왕(銀輪王)은 세 대륙을, 동륜보(銅輪寶)를 지닌 동륜왕(銅輪王)은 두 대륙을, 철륜보(鐵輪寶)를 지닌 철륜왕(鐵輪王)은 한 대륙을 다스린다고 함.

전통적으로 인도 마우리아왕조의 아쇼카왕[阿育王](BC 3세기)을 세속의 전륜성왕이라고도 말한다.

*수기(授記) ; 부처님이 불법에 귀의한 중생에게 어느 시기, 어느 국토에서 어떤 이름의 부처로 태어날 것이며, 그 수명은 얼마나 될 것이라는 것 등을 낱낱이 제시하면서, 미래세의 언젠가는 반드시 부처가 될 것이라고 알려 주는 것을 말한다. 또는 부처님이 중생에게 기별(記別)을 주는 것을 말한다.

*아육왕(阿育王) ; 산스크리트어 aśoka 팔리어 asoka의 음사. 무우(無憂)라고 번역.

찬드라굽타(candragupta)가 마가다국(magadha國) 난다(nanda) 왕조를 무너뜨리고 세운 마우리야(maurya) 왕조의 제3대 왕으로 인도 남단부를 제외한 전 인도를 통일함. 재위 기원전 270년경-230년경.

 

즉위 8년에 인도 북부 동해안의 뱅골만에 위치한 - 오늘날 오릿사주의 대부분 - 깔링가국과 전쟁을 벌여 승리하였으나, 전쟁으로 인한 사람들의 살육, 사망, 이주의 대 참상을 매우 괴로워하고 비통하게 여겨, ‘무력의 정복’을 버리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근본으로 비폭력과 정의에 기초한 ‘다르마(法)의 정복’으로 전환하였다.

아육왕의 주선으로 도읍지인 화씨성(華氏城)의 아육승가람(阿育僧伽藍)에서 천여 명의 비구들이 제3차 결집(結集)을 행하여, 경(經)·율(律)·논(論)의 삼장(三藏)을 정리함.

 

불교에 귀의하여 수많은 탑과 사원을 세우고, 수많은 사절들을 인도 전역에 파견하여 불교를 전파함. 특히, 자신의 아들 마힌다(mahinda)와 딸 상가밋타(saṅghamittā)를 스리랑카에 파견하여 그곳에 불교를 전함. 왕은 자신의 뜻과 행적을 널리 알리기 위해 암벽(바위)에 또는 석주(石柱 돌기둥)에 칙령(勅令)을 새겨 세웠다. 왕이 죽은 후, 마우리야 왕조는 서서히 분열되어 기원전 180년경에 멸망함.

*승하(昇遐 오를 승/멀 하) ; 임금이나 존귀한 사람이 세상을 떠남을 높여 이르던 말.

*수양 대군(首陽大君) ; 조선 제7대 왕 세조(世祖)의 왕자 시절의 군호(君號).

*발심(發心) ; ①위없는 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菩提心]을 일으킴[發]. ②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초발의(初發意), 신발의(新發意), 신발심(新發心), 초심(初心), 발의(發意) 등이라고도 한다. 갖추어서 발기보리심(發起菩提心),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

보리심은 모든 부처님이 부처님이 될 수 있었던 바탕이 되는 종자이고 청정한 법이 자라날 수 있는 좋은 밭이기 때문에 , 이 마음을 발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면 속히 위없는 보리를 증득한다.

*참회(懺悔 뉘우칠 참/뉘우칠 회) ; ①자기의 잘못에 대하여 깨닫고 깊이 뉘우치며, 다시는 같은 잘못을 짓지 않겠다고 결심함. ②신이나 부처님 또는 대중 앞에서 자기의 죄를 뉘우치고 용서를 구함.

[참고] 『선가귀감』 (용화선원刊) p156~157 참고. (가로판 p163~164)

有罪則懺悔하고  發業則慚愧하면  有丈夫氣象이요,  又改過自新하면  罪隨心滅이니라.

허물이 있거든[有罪] 곧 참회하고, 잘못한 일이 있으면[發業] 곧 부끄러워할 줄 알면[慚愧] 대장부의 기상이 있다 할 것이요, 또한 허물을 고쳐 스스로 새롭게 하면, 그 죄업은 마음을 따라 없어지느니라.

 

(註解) 懺悔者는  懺其前愆이요  悔其後過라.  慚愧者는  慚責於內하고  愧發於外라.  然이나 心本空寂이라  罪業이  無寄니라

참회(懺悔)란 먼저 지은 허물을 뉘우치고, 뒷날에는 다시 짓지 않겠다고 맹세하는 것이다. 부끄러워한다[慚愧]는 것은 안으로 자신을 꾸짖고, 밖으로는 자기의 허물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은 본래 비어 고요한 것이라, 죄업이 붙어 있을 곳이 없는 것이다.

*불법(佛法) ; 부처님이 깨달은 진리(法). 부처님의 교법(敎法). 부처님이 설한 법. 부처님의 가르침.

*'부처님 탄생하신 기념비를 거기다 세우고' ; 룸비니(Lumbinī)는 불교의 창시자인 고타마 싯다르타(Gotama Siddhārtha), 즉 석가모니(釋迦牟尼, Śākyamuni)가 탄생한 곳으로 네팔 남동부 테라이(Terai) 지방, 바이라와(Bhairawa)의 서방에 있다. 석가족(샤카족)의 도읍 카필라바스투의 유적이 약 16km 서쪽에 있다.

 

이 부처님의 탄생지 ‘룸비니’는 19세게 말까지만 해도 분명하게 알려지지 않았던 중, 1896년 독일의 고고학자 앨로이스 휘러(Alois Anton Führer)가 오늘날의 네팔 테라이 지역에 있는 옛 사원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울창한 숲에 버려져 있는 아쇼카왕 석주(石柱)를 발견했다.

 

석주에 새겨진 내용은, ‘자비로운 삐야다시 왕(아쇼카 왕의 다른 이름)은 왕위에 오른지 20년에 이곳을 방문하고 참배하였다. 왜냐하면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Śākyamuni Buddha)께서 이곳에서 탄생하셨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주위에 돌담을 쌓고 돌기둥(石柱)을 세우게 했다.

부처님께서 여기 룸비니 마을에서 탄생하셨기 때문에 이 마을에 세금을 면제하였고, 단지 생산의 8분의 1만 내도록 하였다.’ 이로써 부처님의 탄생지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참고] 아쇼카왕은 부처님이 열반하신지 약 2백년 후, 인도 마우리야 왕조의 제3대 왕으로서 기원전 269년 경에 즉위하여 36년간 인도 남단부를 제외한 전 인도를 통치하였는데,

즉위 8년(B.C. 262)에 인도 북부 동해안의 뱅골만에 위치한—오늘날 오릿사주의 대부분—깔링가국과 전쟁을 벌여 승리하였으나, 전쟁으로 인한 사람들의 살육, 사망, 이주의 대 참상을 매우 괴로워하고 비통하게 여겨, 그가 ‘무력의 정복’을 버리고 ‘다르마(法)의 정복’으로 전환하는 이정표가 된다.

 

[아쇼카의 '다르마(法)' 개념은 직접적인 불교의 특징적 용어들을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핵심은 윤리적인 바른 삶 ①바른 인간관계 : 웃어른 · 이웃에 대한 존경, 수행자에 관대함, 노예나 종의 바른 처우, 모든 교단의 화합과 비난 금지. ②계행과 바른 삶 : 살생금지, 동물 희생제 금지, 적게 소비. ③다르마의 수행과 백성의 복지 : 출가자나 재가자 모두 7가지의 경전을 듣고 명상하도록 함, 보시와 복지.

곧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고 실천하는 결실을 통해 모든 사람이 현세와 내세의 모든 이익과 행복을 얻기 바라는 부처님의 ‘다르마(法)’를 근본으로 한다.]

 

이 다르마의 내용을 널리 알리기 위해 암벽(바위)에 또는 석주(石柱 돌기둥)에 칙령(勅令)을 새겨 세웠다. 그 가운데 하나가 아쇼카 왕이 즉위 20년이 되던 해, B.C. 250년 무렵에 룸비니를 방문하고 기념하기 위해 세운 룸비니 석주(石柱)이다.

*교미(交尾) ; 동물의 암컷과 수컷이 생식을 위해 성적(性的)인 관계를 맺음.

*왕위(王位) ; 임금의 자리.

*옥새(玉璽 옥 옥/도장 새) ; 임금의 도장.

*복수용(福受用) ; 복을 받아 씀.

*영화(榮華) ; 몸이 귀하게 되어 이름이 세상에 드러나고 빛남.

*생사재호흡지간(生死在呼吸之間) ; ‘생사(生死)가 한 호흡지간(呼吸之間)에 있다.’ 생사라 하는 것은 멀리 잡을 것이 아니라 하루도 멀고, 한끼도 멀고, 한 호흡 사이에 있다고 하는 것. 그렇게 무상하고 기약할 수 없는 것이 우리의 생사인 것이다.

*호흡지간(呼吸之間) ; 한 번 내쉬고[呼] 들이쉬고[吸] 할 사이[間]라는 뜻으로, 아주 짧은 시간을 이르는 말.

[참고]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제38장’

佛問沙門 人命在幾間 對曰數曰間 佛言 子未知道 復問一沙門 人命在幾間 對曰飯食間 佛言 子未知道 復問一沙門 人命在幾間 對曰呼吸間 佛言 善哉子知道矣

 

부처님께서 사문에게 물으셨다. “사람의 목숨이 얼마 사이에 있는가?” 대답하기를 “며칠 사이에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너는 아직 도를 모르는구나”

다시 한 사문에게 물으셨다. “사람의 목숨이 얼마 사이에 있는가?” 대답하기를 “밥 먹을 사이에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너도 아직 도를 모르는구나”

다시 한 사문에게 물으셨다. “사람의 목숨이 얼마 사이에 있는가?” 대답하기를 “호흡 사이에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하다. 너는 도를 아는구나”

*생사해탈(生死解脫) ; 생사(生死)를 떠나 깨달음의 세계에 드는 것.

*가행정진(加行精進) ; 별도의 노력을 기울여서 하는 정진. 어떤 일정한 기간에 좌선(坐禪)의 시간을 늘리고, 수면도 매우 단축하며 정진하는 것.

*용맹정진(勇猛精進) ; 두려움을 모르며 기운차고 씩씩한 그리고 견고한 의지로 한순간도 불방일(不放逸)하는, 열심으로 노력하는 정진.

*색심(色心) ; 색욕(色慾 성적 대상에 대하여 일어나는 욕구)이 일어나는 마음.

*동(動)하다 ; (사람이나 마음, 욕구 따위가)강하게 일어나다.

*오욕(五欲,五慾,五欲樂) ; ①중생의 참된 마음을 더럽히는 색,소리,향기,맛,감촉(色聲香味觸)에 대한 감관적 욕망. 또는 그것을 향락(享樂)하는 것. 총괄하여 세속적인 인간의 욕망. ②불도를 닦는 데 장애가 되는 다섯 가지 욕심. 재물(財物), 색사(色事), 음식(飮食), 명예(名譽), 수면(睡眠)을 이른다.

*아라한과(阿羅漢果) ; 아라한(모든 번뇌를 완전히 끊어 열반을 성취한 성자)의 깨달음의 경지. 곧 소승 불교의 궁극에 이른 성자의 지위로서, 성문 사과(聲聞四果 - 수다원·사다함·아나함·아라한)의 가장 윗자리이다.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