ㅅ/사바세계2019. 6. 28. 13:37

*사바세계(娑婆世界) ; 고뇌를 참고 견디지 않으면 안되는 괴로움이 많은 이 세계. 현실의 세계. 인토(忍土) · 감인토(堪忍土) · 인계(忍界)라고 한역.

석가모니 부처님이 나타나 중생들을 교화하는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가 모두 사바세계이다.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 줄여서 삼천세계(三千世界)라고도 함. 온갖 세계. 수없이 많은 세계. 하나의 우주 전체. 다할 수 없이 넓은 우주. 하나의 삼천세계(三千世界)가 하나의 부처님이 교화하는 범위라 한다.

 

(15분 31초)

 

[법문] 송담스님(No.793)—2018년 동안거 결제(2018. 11.22)(용793)

 

탐착몽중일립미(貪着夢中一粒米)타가  실각금대만겁량(失却金臺萬劫糧)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무상찰나실난측(無常刹那實難測)이라  호불맹성급회두(胡不猛省急回頭)오

나무~아미타불~

 

탐착몽중일립미(貪着夢中一粒米)타가, 꿈속에 한 알갱이 쌀에 탐착하다가,

실각금대만겁량(失却金臺萬劫糧)이다. 금선대에 만겁 동안 먹고도 남을 양식을 잃어버리는구나.

 

무상찰나(無常刹那)라 실난측(實難測)이여, 시간은 잠시도 머꾸지 않고 똑딱똑딱 시계가 가는 쪽쪽 우리는 죽음을 향해서 가고 있는 것입니다. 이 무상(無常) 속에서 한 알갱이 쌀에 탐착(貪着)해.

명예와 지위와 부귀와 권리는 다 인생 살아가는데 다 그런 것을 가지고 살아가고 그것 때문에 울고 웃고 재판도 하고 그러다가 한 생각이 뚝 그치면 벌써 염라대왕(閻羅大王) 앞에 끌려가게 되는 것입니다. 아무도 그것을 면할 도리가 없습니다.

 

그 무상하고 허망한 세상에 우리는 비록 태어났지마는 불법을 믿고 최상승법(最上乘法)인 ‘이뭣고?’를 열심히 하면 염라대왕 앞에 가더라도 두려울 것이 없습니다.

‘이뭣고?’ 열심히 하다 보면 그것이 바로 이 중생의 몸으로써 부처님 되는 길이 거기에 있으니.

 

염라대왕 앞에 언젠가는 우리는 가게 되는데, “네가 뭣을 하다가 왔느냐?”

“‘이뭣고?’를 하다 왔습니다”

 

“‘이뭣고?’가 무엇이냐?”

“‘이뭣고?’는 이 육체 속에 영원한 부처님이 살아 계시는데, 그 자성 부처님을 찾는 공부가 바로 ‘이뭣고?’입니다”

 

“그래서 ‘이뭣고?’를 해서 네가 무엇을 얻었느냐?”

“얻은 것은 별로 없습니다마는, 생사 속에서 영원을 사는 길이 있다고 하는 것을 믿고 생사를 별로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너는 죽어서 내 앞에 왔지 않느냐?”

“내가 죄를 지었으면은 지옥에 보낼 것이고, 좋은 일을 했으면 천당에 보내주시던지 알아서 하십시오”

 

염라대왕이 껄껄 웃으면서 “너는 어디를 가고 싶으냐?”

“도솔천 내원궁(兜率天內院宮)에 가고 싶습니다”

 

“도솔천 내원궁은 왜 갈려고 그러냐?”

“거기에는 미륵(彌勒) 부처님이라고 하는 위대한 부처님이 계시는데, 그 부처님 계신 세계로 가고 싶습니다”

 

“그래, 너는 지옥은 안 가겠다”

염라대왕이 껄껄 웃으면서 “여봐라! 이 사람을 도솔천 내원궁으로 안내를 해라”

 

이것은 우스개 소리도 아니고 소설도 아니고, 송담(松潭)이 여러분께 꼭 해 드리고 싶어서 이 말씀을 해 드린 것입니다.(박수)

 

왜 이 말씀을 여러분께 이렇게 말씀을 드리냐 하면은 이것이 바로 불법이요, 최상승법이요, 무상 속에서 영원을 사는 길이 여기에 있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슬플 때도 ‘이뭣고?’ 기쁠 때도 ‘이뭣고?’ 누가 나를 험담을 하고 욕을 할 때에도 속상할 것이 아니라 ‘이뭣고?’

이렇게 살아가면 이 사바세계(娑婆世界)는 무상하고 허망하고 나쁜 곳이 아니라 참나를 찾는 좋은 수행 도량인 것입니다. 천당보다도 더 좋은 곳인 것입니다.

 

천당에는 마음껏 하고 싶은 대로 다 되고 좋을 것 같지마는 거기에 별로 재미가 없는 것입니다.

슬플 때 슬프기도 하고, 기쁠 때 기쁘기도 하고, 속상할 때 속을 상해도 그냥 그러고 말면 별로 뜻이 없으나, 그 속에서 ‘이뭣고?’해서 내가 부처님 되는 길을 가는 것이기 때문에 이 사바세계는 내가 성불하는 수도장이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우리는 이 세상에 태어나서 불법을 믿고, 이 용화선원에 와서 생사 없는 활구참선법을 듣게 되었으니 저와 여러분과는 금생에 처음 만난 것이 아니라 옛날부터서, 저 전생부터서 이렇게 최상승법을 믿고 같이 수행해 온 도반(道伴)들이기 때문에 금생에 이렇게 만나서 내가 이렇게 여러분께 이런 말씀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제 말씀을 웃고 그냥 지나치지 말고, 앉아서도 ‘이뭣고?’ 서서도 ‘이뭣고?’ 속이 상할 때도 ‘이뭣고?’ 슬플 때도 ‘이뭣고?’

‘행주좌와 어묵동정, 일체처 일체시가 바로 참나를 찾는 수행 도량이다’ 이렇게 생각하고 그렇게 인생을 살아가면 이 사바세계는 그렇게 나쁜 곳이 아닌 것입니다. 정말 살맛이 있는 곳이고, 바로 여기가 내가 성불(成佛)할 수 있는 수도장이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 정말 사람은 이 생사 속에, 이 무상한 생사 속에서 사는 존재이기는 하나 다행히 우리는 불법을 믿고, 최상승법인 참선을 믿고 참선을 열심히 하다 보면 무상 속에서 영원을 사는 길이 거기에 있고.

 

비록 우리가 밥 먹고 똥 누고 울고 웃고 이렇게 살아가는 하찮은 중생이라고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최상승법을 믿고 최상승법에 의해서 참나를 찾는 정말 귀한 수행자인 것입니다.

자기를 귀한 수행자로서 살아가느냐, 하찮은 중생으로서 탐진치 삼독으로 살아가느냐 하는 것은 절대로 여러분의 권한인 것이고.

 

여러분이 활구참선을 믿고 수행하면 소중한 수행자가 되는 거고, 참선법을 믿지 않고 그럭저럭 살다 보면 생사윤회(生死輪廻) 속에서 울다 웃다가 내생에는 어디로 가겠습니까?

 

염라대왕 앞에 가서 "사바세계에서 무엇을 하고 왔느냐?"

"별로 하는 것이 없습니다"

 

"그럴 수가 있느냐? 무엇인가 했지 않느냐?"

아무리 생각해도 재산을 모아나 봤자, 관 속에다가 돈을 가뜩 담아 가지고 가 봤자 염라대왕이 알아주지도 않습니다. 좋은 옷을 입고 가 봤자 소용이 없습니다.

 

여러분이 ‘이뭣고?’를 열심히 해 놓으면 마지막 숨 거둘 때도 ‘이뭣고?’하면서 숨을 거두고, 관 속에 들어가서도 ‘이뭣고?’를 하고. 염라대왕 앞에 가도 “저는 사바세계에 있으면서 ‘이뭣고?’만 하고 왔습니다”

 

“‘이뭣고?’를 해서 무엇을 얻었느냐?”

“얻은 것은 없으나 무상 속에서 영원을 사는 길이 있다고 하는 것을 믿게 되었습니다”

 

“너는 어디를 가고 싶으냐?”

“도솔천 내원궁이 좋다고 하지마는 다시 사람으로 태어나서 ‘이뭣고?’를 하고 싶습니다”

 

염라대왕이 껄껄 웃으면서 “그러면 사람 몸으로 가서 인도환생(人道還生)을 하라” 염라대왕이 틀림없이 그럴 것입니다.

 

내가 이 말씀을 여러분께 이렇게 하는 것은 여러분이 믿으면 다행이고, 믿지 않으면 어찌해 볼 수가 없으나 내 생각에는 여러분은 반드시 믿고 ‘이뭣고?’를 열심히 하시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이뭣고?’를 열심히 하실 각오를 하신 분은 손을 한번 들어보세요.(박수)

 

감사합니다.

우리는 ‘이뭣고?’를 열심히 하면은 이 세상에 원망이라는 것이 없어지고 남을 미워할 사람도 없고, 일체처 일체시가 바로 참나를 찾는 내가 성불할 수 있는 수도장이 되는 것이니 이런 좋은 법이 다시 또 어디가 있겠습니까.

 

이 세상은 시계가 똑딱똑딱하는 것이 바로 시간이 흘러가는 것인데 시간이 흘러가면 봄이 여름이 되고, 여름이 가을이 되고, 가을이 되면 또 겨울이 되고, 겨울이 되면 끝이 아니라 또 새봄이 돌아오는 것입니다. 이것이 무상하다고 하면 무상하나 얼마나 여름만 있고 가을이 없고, 가을만 있고 겨울이 없고, 겨울만 있고 봄이 없다면은 무슨 재미가 있겠습니까.

웃기도 하고 속이 상하기도 하고 슬프기도 하고 이 사바세계는 그런 것인데 그러한 속에서 최상승법인 참나를 찾는 ‘이뭣고?’를 하는 사람은 무상 속에서 영원을 사는 그런 길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슬프지 않습니다.

 

우리는 좋은 일을 당해도 ‘이뭣고?’ 슬픈 일을 당해도 ‘이뭣고?’ 속이 상할 때도 ‘이뭣고?’하면 이 사바세계야말로 정말 살맛 있는 좋은 세계인 것입니다.

 

여러분은 아까 손을 들고 전부 다 이 산승이 하는 말을 믿어 주신다고 생각이 됩니다.

사바세계는 정말 영원한 세계가 아니고 무상한 세계지마는 정법(正法)을 믿고 ‘이뭣고?’를 한 사람은 사바세계야말로 정말 살맛 있는 좋은 수도장이요, 모든 사람은 다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다 좋은 생사해탈하는 도반이 되는 것입니다.

 

말이 한이 없습니다. 더 말을 많이 하고 싶습니다마는 말을 너무하면은 귀가 입맛이 없다고 할 것 같아서 말을 줄이고자 합니다.

내가 정말 하고 싶은 말은 말로다 다 할 수가 없고, 내가 말로써 할 수 없는 진짜 하고 싶은 말을 이 주장자로 하여금 주장자(拄杖子)한테 맡기고 내려가고자 합니다.(24분52초~40분22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탐착몽중일립미~’ ; 성철스님 ‘납자십게(衲子十偈)’에서 ‘회두(回頭)’ 게송 참고.

*무상(無常) ; 모든 현상은 계속하여 나고 없어지고 변하여 그대로인 것이 없음. 온갖 것들이 변해가며 조금도 머물러 있지 않는 것. 변해감. 덧없음. 영원성이 없는 것.

세상의 모든 사물이나 현상들이 무수한 원인(因)과 조건(緣)의 상호 관계를 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그 자체 독립적인 것은 하나도 없고, 인연(因緣)이 다하면 소멸되어 항상함[常]이 없다[無].

*탐착(貪着) ; ①만족할 줄 모르고 탐하고 집착함. 탐하고 구하는 것. 욕심부려 집착하는 것. 집착하는 것. 욕심부리는 것. 욕심에 사로잡혀 헤어나지 못함. 대상에 들러붙어서 떠나지 못하는 것. ②깊이 마음에 두는 것.

갈애(渴愛), 애착(愛著 愛着), 염착(染著), 집착(執着), 탐애(貪愛), 탐욕(貪欲)이라고도 한다.

*염라대왕(閻羅大王) : 염마왕(閻魔王). 염라왕(閻羅王). 명후(冥侯). 사후세계의 지배자로, 망자(亡者 죽은 사람)를 재판하는 자. 죽어서 지옥에 떨어진 인간의 생전에 행한 선악(善惡)을 심판하여 벌은 주는 왕.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간화선(看話禪) ; 화(話)는 화두(話頭)의 준말이다. 간화(看話)는 ‘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을 본다[看]’는 말로써,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이 화두를 관(觀)해서, 화두를 통해서 확철대오하는 간화선을 전강 조실스님과 송담스님께서는 ‘최상승법(最上乘法)’ ‘활구참선(活句參禪)’이라고 말씀하신다.

*이뭣고(是甚麼 시심마) : ‘이뭣고? 화두’는 천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어떤 일이 일어난 그 자리)를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 ‘이것이 무엇인고?’ 이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 ‘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는 일곱 자(字)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이, 뭣, 고’ 석 자(字)이다. ‘이뭣고?(이뭐꼬)'는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그 뜻은 그 속에 다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을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해 왔다.

*부처님 ; ‘부처’에 해당하는 산스크리트어, 팔리어는 buddha이다. 이 buddha의 온전한 음사어는 불타(佛陀·佛馱), 부도(浮圖·浮屠), 부타(浮陀), 부두(浮頭), 발타(勃陀·馞陀), 몰타(沒駄) 등이 있다. 각자(覺者), 지자(知者), 각(覺)으로 한역. 불타(佛陀)라는 말이 순우리말로 ‘부텨’라고 읽히고 이 말이 점차 변하여 ‘부처’가 되었다. 보통 경칭어미를 붙여 ‘부처님’이라 한다.

궁극적인 진리를 깨달은 사람이라는 뜻이며, 가장 크고 높고 참된 이치를 자기가 깨치고[自覺] 남들까지 깨치게 하여[覺他], 그 지혜와 복이 끝없이 원만하고 이치와 일에 두루 걸림없고[覺行圓滿], 등정각(等正覺)을 성취한 이를 말한다. 그 참 이치를 가르쳐서 누구나 부처가 되고, 어디나 밝고 깨끗하고 평등하고 싸움 없는 세상이 되게 하는 것이 부처님의 가르치심 곧 불교(佛敎)다.

*도솔천내원궁(兜率天內院宮) ; 도솔천(兜率天)은 욕계(欲界) 육천(六天)의 넷째 하늘로 불교의 우주관에 따르면 우주의 중심은 수미산(須彌山)이며, 그 꼭대기에서 12만 유순(由旬) 위에 도솔천이 있는데 이곳은 내원(內院)과 외원(外院)으로 구별되어 있다.

 

내원은 내원궁(內院宮)으로 불리기도 하며 석가모니가 보살일 당시에 머무르면서 지상에 내려갈 때를 기다렸던 곳이며, 오늘날에는 미래불인 미륵보살(彌勒菩薩)이 일생보처보살(一生補處菩薩)로서 여기에 있으면서 하늘나라 사람들을 제도하며 남섬부주에 하생(下生)하기를 기다리고 있는 곳이고, 외원은 수많은 천인(天人)들이 오욕(五欲)을 충족시키며 즐거움을 누리고 있는 곳이다. 도솔(兜率)의 뜻은 지족(知足).

 

이 보살이 불교의 33천 중 도솔천에 머무는 이유는 중생을 구제하려는 마음이 사라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 도솔천은 아래로는 사천왕(四天王) · 도리천(忉利天) · 야마천(夜摩天)이 욕정(欲情)에 잠겨 있고, 위로는 화락천(化樂天) ·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이 들뜬 마음이 많은데 비해 도솔천은 잠기지도 들뜨지도 않으면서 오욕락(五慾樂)에 만족한 마음을 냄으로, 다음에 성불할 보처(補處)보살이 머문다고 한다.

도솔천의 수명은 4천 세라 하고, 도솔천의 하루는 인간의 4백 세라 하였으니, 도솔천의 수명을 인간 수명으로 환산하면 인간의 5억 7천 6백만 년에 해당하지만(4천 x 3백 6십, 1년 x 4백 = 5억 7천 6백만), 고대의 기수법(記數法)에 따르면 57억 6천만 년이라고 한다.

 

도솔천에 왕생할 수 있는 인연은 ①끊임없이 정진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자. ②탑을 깨끗이 하고 좋은 향과 아름다운 꽃을 공양한 자. ③여러 가지 삼매(三昧)로써 깊은 선정(禪定)을 닦은 자. ④경전을 독송하는 자. ⑤번뇌를 끊지는 못하였지만 지극한 마음으로 미륵을 염불하는 자. ⑥팔계(八戒)를 받고 청정한 행을 익히며 사홍서원을 잊지 않는 자. ⑦널리 복업(福業)을 닦는 자. ⑧계를 어기고 악을 범하였어도 미륵보살의 자비로운 이름을 듣고 정성껏 참회하는 자. ⑨미륵보살의 이름을 듣고 그 형상을 만들어 향과 꽃, 깃발로 장식하고 예배하는 자 등이다.

 

*일생보처보살(一生補處菩薩) : 오직 한 번만 생사(生死)에 관련되고, 일생을 마치면 다음에는 부처님이 될 수 있는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보살.

*일생보처(一生補處) : 일생(一生)은 '한 번 난다'는 뜻이니, 한 번 다른 지위에 난 뒤면 부처님의 지위에 오른다는 뜻. 보처(補處)는 후보(候補)의 자리[處]라는 뜻.

*미륵불(彌勒佛) : [범] Maitreya 대승보살, 또는 매달려야(梅呾麗耶), 매달례야(昧怛隷野)。번역하여 자씨(慈氏)。 이름은 아일다(阿逸多) 무승(無勝) 막승(莫勝)이라 번역.

인도 바라나국의 바라문 집에 태어나 석가모니의 교화를 받고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아, 도솔천에 올라가 있으면서 지금 그 하늘에서 천인(天人)들을 교화하고,

석가모니 입멸후 56억 7천만 년을 지나 다시 이 사바세계에 출현, 하생(下生)하여 화림원(華林園) 안의 용화수(龍華樹) 아래에서 성불(成佛)하고 3회의 설법으로써 석가모니의 교화에서 빠진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고 한다. 이 법회를 용화삼회(龍華三會)라 한다.

도솔천에서의 생을 마치면 인간으로 태어나 성불하여 석가모니불의 자리[處]를 보충(補充)한다는 뜻으로 보처(補處)의 미륵이라 하며, 현겁(賢劫) 천 불의 제5불(佛).

*성불(成佛 이룰 성/부처 불) ; ①세상의 모든 번뇌를 끊고 해탈하여 불과(佛果)를 얻음. 곧 부처가 되는 일을 이르는 말이다. ②석존이 붓다가야에서 깨달음을 연 것. ③올바른 깨달음을 얻은 것. 혹은 분명하게 완전히 깨달은 것이라는 뜻.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본참공안]를 받아서,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천칠백 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도반(道伴 깨닫다·도리·근본·불교 도/반려·동반자·벗 반) ; 함께 불도(佛道 부처님이 성취하신 최상의 깨달음)를 수행하는 벗. 불법(佛法)을 닦으면서 사귄 벗. 도려(道侶) · 도우(道友) · 동행(同行) 등과 같은 말.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한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탐(貪) ; 자기의 뜻에 잘 맞는 사물에 집착하는 번뇌이다. 육번뇌[六煩惱—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의 여섯 가지 근본 번뇌]의 하나.

*진(瞋) ; 자기의 마음에 맞지 않는 것에 대하여 분하게 여겨 몸과 마음이 편안하지 못하게 되는 번뇌이다. 육번뇌[六煩惱—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의 여섯 가지 근본 번뇌]의 하나.

*치(癡) ; 현상이나 사물의 도리를 이해하지 못하여 올바른 판단을 하지 못하는 번뇌를 이른다. 육번뇌[六煩惱—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의 여섯 가지 근본 번뇌]의 하나.

*삼독(三毒) ; 사람의 착한 마음(善根)을 해치는 세 가지 번뇌. 욕심·성냄·어리석음(貪瞋癡) 따위를 독(毒)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만(慢) ; 남을 업신여기고 자신을 높이는 마음 작용.

*의(疑) ; 인과(因果)의 진리를 의심하는 마음 작용.

*악견(惡見) ; 올바르지 않은 견해. 그릇된 견해.

*생사윤회(生死輪廻 날 생/죽을 사/바퀴 윤/빙빙돌 회) : 사람이 어리석음(無明)으로 인한 번뇌와 업에 의하여 삼계육도(三界六道)에서 났다가(生) 죽고(死) 났다가 죽는 것이 바퀴(輪)가 돌듯이(廻) 반복함. 육도윤회(六途輪廻).

*인도환생(人道還生) ; 인간이 사는 세계로 다시 태어남.

*정법(正法) ; ①올바른 진리. ②올바른 진리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 ③부처님의 가르침이 올바르게 세상에 행해지는 기간.

*주장자(拄杖子 버틸 주/지팡이 장/접미사 자) ; 수행승들이 좌선(坐禪)할 때나 설법(說法)할 때에 지니는 지팡이.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