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업2018. 9. 14. 06:42

*업(業) ; 업(業)은 행위(行爲)이다. 우리의 행위, 행동에 의해 일어나는 일종의 세력(勢力) 또는 형성력(形成力)을 말한다. 그리고 이 세력에 의해 하나의 행위는 반드시 그 때가 이르면 그에 상응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〇업의 종류 ; (1)중생이 행하는 모든 행위를 신구의(身口意)로 나누어, ①몸으로 행하는 모든 행위를 신업(身業) ②입(口)을 통해 말로 하는 행위를 구업(口業) ③생각으로 짓는 모든 것을 의업(意業)이라 한다.

이 3가지 업(業)을 신·구·의 삼업(三業)이라 하는데, 삼업(三業)은 결국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우리의 일상생활’이다

 

(2)업에 의하여 과보(果報)를 받는 시기에 따라 ①금생(今生 : 지금 살고 있는 생)에 업을 지어 금생에 과보를 받는 순현업(順現業) ②금생에 업을 지어 다음 생에 받는 순생업(順生業) ③금생에 업을 지어 삼생(三生) 후에 받는 순후업(順後業)이 있다.

위의 삼시업(三時業)은 갚음을 받는 시기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정업(定業)이라 하고, 여기에 대해서 시기가 정해져 있지 않은 것을 부정업(不定業)이라 한다.

 

(3)업의 성질(性質)에 따라 ①선심(善心)에 의해서 일어나는 선업(善業)과, ②악심(惡心)에 의해서 일어나는 불선업(不善業, 악업(惡業))과, ③선악(善惡) 어떤 것도 아닌 무기심(無記心)에 의해서 일어나는 무기업(無記業)의 셋을 삼성업(三性業)이라고 한다. 그 과보도 선업은 좋은 과보를 받고, 악업은 고(苦)의 과보를 받는다.

 

(6분 46초)

 

[법문] 송담스님(No.524)—94년 동안거결제 중 보살선방에서 하신 법문(94.02.06)(용524)

 

사주(四柱)를 옛날에 봤는데, 자기의 그동안에 살아온 모든 것이 사주대로 되어 갔는데 앞으로도 그 사주대로 되어 갈 것인가? 그러한 질문을 하신 분이 있는데, 사주를 아마 잘 보는 사람한테 본 것 같습니다.

그렇게 사주나 관상이나 잘 보는 사람한테 보면 맞을 수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지나간 것이 맞았으니까 앞으로도 맞을 것이다. 그러니 모든 것은 그냥 사주대로 살 수 밖에는 없다’ 이렇게 생각할 필요는 없고.

 

과거는 맞았어도—맞거나 안 맞거나 간에 우리가 살아가는 방법은 바른 사상과 바른 신심(信心)으로 자기에게 주어진 모든 것을 최선을 다해서 여법(如法)하게 살아가면서 그 속에서 항상 화두(話頭)를 들고 살아가는 것이여.

사주에 뭐라고 써졌거나 간에—죽는다고 써졌건, 뭐 손재수(損財數)가 있다고 하건, 그걸 낱낱이 손재수가 있다고 했으니까 미리서부터 손재수 있을 것을 기다리고 있을 필요도 없는 거고, 그날 죽는다고 해서 죽을 폭을 대고 그럴 필요가 없어.

 

죽고 사는 것이나 흥하고 망한 것이나 모든 것은 그때그때 그냥 맡겨 두고, 자기에게 주어진 일을 최선을 다해서 열심히 하는 거여. 내일 죽는다 하더라도 오늘 할 일을 오늘 해야 하는 거고 그렇지, 죽는다고 했다 해 가지고 자기의 할 일을 안 하고 놔 둘 수는 없는 거거든.

그래서 ‘배우는 데에는 영원히 살 것처럼 오늘을 배워야 하는 거고, 또 살아가는 것은 내일 죽을 것처럼 오늘을 살아가야 한다’ 그런 격언도 있는데.

 

죽고 사는 거, 흥하고 망하고 하는 것은 과거에 지은 업(業)과 금생에 자기가 어떻게 하고 있는가, 그 두 가지가 합해져 가지고 하루하루가 전개되는 거여.

전적으로 과거에 지은 대로만 다 되는 것은 아니여. 과거에 지은 것도 도저히 피할 수 없지마는, 금생에 자기가 어떻게 노력을 하느냐 그것에 따라서 달라지는 거여.

 

‘부처님도 그 지은 업을 피할 수가 없다’ 그것이 부처님 3불능(三不能) 중에 한 가지라고 하지마는, 우리도 역시 우리가 지은 것은 지은 대로 받지 안 받는 것은 아니나, 받을 때의 그 마음가짐이 다른 거여. 안 받을라고 피하는 것이 아니고 받을 때 받되, 받을 때의 그 마음가짐이 대단히 중요한 거야.

 

그것이 성현(聖賢)과 범부(凡夫)의 차이가 거기에 있는 거고, 정법(正法)을 믿고 참선(參禪)을 하는 사람과 안 한 사람의 차이가 거기에 있는 거여.

피하려고 한다고 되는 것은 아니여. 여법하게 수행을 쌓은 사람은 받되, 받을 때에 그 마음 경지가 다른 거다 그말이여.

 

수행을 안 쌓은 사람은 일을 당하면 당황하게 되고 겁을 먹고 삿된 방법으로 이렇게 억지로 피하려다가 오히려 큰 재앙을 만나게 되고 그런 것이다 그말이여.

받을 때 자기가 지어서 받는 것은 느긋한 마음으로 받되, 그 받을 때 본심이 변하지 아니하고 바른 궤도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법하게 최선을 다해서 살아가면, 그냥 그것이 올바르게 살아가는 길이요 방법이다.

 

‘윤회(輪廻)라고 하는 것이 왜 생기냐’하는데, 윤회라고 하는 것은 우주 질서입니다. 모든 것이 원인이 있어 가지고 어떤 결과가 나타난 것은 우주 법계(法界)의 질서여, 법칙이여.

누가 그렇게 어떤 신이 있거나 어떤 절대자가 있어 가지고 그렇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우주 법계의 여법한 질서여 그게. 그래서 누구도 그것을 거역할 수가 없는 거라 말이여.

 

그래서 팥 심은 데 팥 나고, 콩 심은 데 콩 나는 거야. 팥을 심어 놓고 거기서 콩이 나기를 바란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거든.

착한 선(善)을 하면은 낙(樂)의 과보(果報)를 받고, 악한 짓을 하면은 고통의 과보를 받는 것은 우주의 질서여.

 

부처님이 그렇게 만들은 것도 아니고 무슨 하느님이 그렇게 만든 것이 아니라, 되어 가는 질서가 그렇게 되어 있는 거야. 물이 높은 데에서 낮은 데로 흘러가는 거와 마찬가지고, 봄이 오면 꽃이 핀 거와 마찬가지고.

겨울이 오면 추운 것이 누가 그렇게 만든 것이 아니여. 그냥 그렇게 자연의 질서여, 그것이.

 

그러기 때문에 우주 법계의 법칙이기 때문에 그 법칙을 잘 이해하면 자기가 마음가짐을 어떻게 해야 하고, 행동을 어떻게 해야 하고, 모든 생활을 어떻게 해야 한다고 하는 것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11분5초~18분14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업(業) : [범] karma [파] Kamma 음을 따라 갈마(羯磨)라고 하며, 「짓다(作)」의 뜻이다。중생들이 몸[身]으로나 말[口]로나 뜻[意]으로 짓는 온갖 움직임(動作)을 업이라 한다。개인은 이 업으로 말미암아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모든 운명과 육도(六道)의 윤회(輪廻)를 받게 되고, 여러 중생이 같이 짓는 공업(共業)으로 인하여 사회와 국가와 세계가 건설되고 진행되며 쇠퇴하거나 파멸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 처음에는 악업(惡業)을 짓지 말고 선업만 지으라고 가르치다가, 필경에는 악과 선에서도 다 뛰어나고, 죄와 복에 함께 얽매이지 말아서 온갖 국집과 애착을 다 버리도록 하여, 부처님의 말씀에까지라도 걸리지 말라고 하신 것이다.

 

 

---------------------

 

*사주(四柱) ; 사람이 태어난 연월일시(年月日時)의 네 간지(干支). 또는 이에 근거하여 사람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알아보는 방법.

*신심(信心) : ①‘내가 바로 부처다’ 따라서 부처는 밖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요, 일체처 일체시에 언제나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주인공, 이 소소영령한 바로 이놈에 즉해서 화두를 거각함으로써 거기에서 자성불(自性佛)을 철견을 해야 한다는 믿음.

②‘올바르게 열심히 참선을 하면 나도 깨달을 수 있다’는 믿음. 진리에 대한 확신.

③‘내가 바로 부처다’라는 믿음. 그러기 때문에 ‘끊어야 할 생사도 없고, 버려야 할 번뇌도 없다’고 하는 믿음.

*여법(如法 같을·같게 할·따를·좇을 여/ 부처님의 가르침·불도佛道 법) ; 부처님의 가르침에 맞음.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손재수(損財數 덜 손/재물 재/운명·운수 수) ; 돈이나 값나가는 물건 따위[財物]를 잃을[損] 운수(運數).

*죽을 폭을 대다 ; 죽는 쪽으로 형편이나 처지를 생각하다(맞추다).

*삼불능(三不能) ; 당나라 숭악(崇嶽)의 원규(元珪)가 부처님의 3능(三能)과 3불능(三不能)을 세웠다.

(1) 3능(三能) - 부처님의 3가지 능한 것.

①일체 상(相)이 공(空)해서 만법을 아는 지혜를 이루는 것. ②모든 중생의 성품을 다 알고, 억겁(億劫)의 모든 일을 막힘이 없이 다 아는 것. ③한량없는 중생(무량중생)을 제도하는 것.

(2) 3불능(三不能) - 부처님의 3가지 능치 못한 것.

①무량겁으로부터서 지은 정업(定業)은 멸하지 못함. ②인연없는 중생을 제도하지 못함. ③무량중생을 제도하실 수는 있으나 중생계를 다 제도하지 못함.

*성현(聖賢) ; 성인(聖人)과 현인(賢人)을 아울러 이르는 말.

*범부(凡夫 무릇•보통 범/남편•사내 부) ; 번뇌(煩惱)에 얽매여 생사(生死)를 초월하지 못하는 사람. 이생(異生) 또는 이생범부(異生凡夫)라고도 한다.

*정법(正法) ; ①올바른 진리. ②올바른 진리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 ③부처님의 가르침이 올바르게 세상에 행해지는 기간.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한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윤회(輪廻) ; ①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는 것과 같이, 중생이 번뇌와 업(業)에 의하여 삼계 육도(三界六道)의 생사(生死) 세계를 그치지 아니하고 돌고 도는 일. ②어떤 사물이 일련의 변화 과정을 단계에 따라 차례로 밟아 가거나 되풀이함.

*법계(法界) ; ①모든 현상, 전우주. ②있는 그대로의 참모습. ③진리의 세계.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