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원의마(心猿意馬) (No.593)—(게송)四時循環暖復寒 獼猴深戀六華村 耳聲眼色曾無暇 念念那知是死門 | 한 생각 한 생각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것이 죽음을 향해서 걸어가고 있는 것.

 

*심원의마(心猿意馬) ; 마음[心]이라는 원숭이[猿]와 생각[意]이라는 말[馬]. 의마심원(意馬心猿).

마음과 생각이 제멋대로 대상(對象)을 향해 항상 동요하고 고요하지 못한 모양이 질주하여 달리는 말[馬]과 쉼 없이 움직이고 조잘대는 원숭이[猿]와 흡사하기 때문에 생긴 비유이다. 일정하지 않게 예측불허로 변화하는 생각을 나타낸다.

 

(5분 20초)

 

[법문] 송담스님(No.593)—1997년 정축년 하안거 해제 (용593)

 

사시순환난부한(四時循環暖復寒)헌디  미후심련육화촌(獼猴深戀六華村)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이성안색증무하(가)(耳聲眼色曾無暇)헌데  염념나지시사문(念念那知是死門)이리오

나무~아미타불~

 

사시순환난부한(四時循環暖復寒)이다. 춘하추동 사시(四時)가 돌고 돌아서 따뜻하다가 또 다시 추워지고, 추워졌다가 다시 또 따뜻해지고, 그게 사시가 돌고 도는 가운데에,

미후심련육화촌(獼猴深戀六華村)이다. 원숭이는 깊이 육화촌(六華村)을 그리워하더라.

 

원숭이는 계절 따라서 맛있는 열매가 여는 계절을 그리워할 것이다 그말이지.

꽃이, 여섯 가지의 아름다운 꽃이 피고 지고 하면 거기에는 맛있는 과일이 열렸다가 또 익어 가니까 육화촌(六華村)을 항상 그렇게 깊이 그리워한다 그말이여.

 

이성안색증무하(가)(耳聲眼色曾無暇)여. 귀로 소리를 듣고 눈으로 온갖 색상을 보는데 틈이 없어.

이 말은 아까 원숭이가, 산에서 사는 원숭이로 여러분은 알아들으셨었는지 모르는데, 이 원숭이는 '마음에 원숭이'를 말하는 거여.

 

우리의 '마음'을 원숭이에다가 비유하고, 우리의 '뜻'을 말에다가 비유해서 '심원의마(心猿意馬)'라고 고인(古人)네들이 비유해서 그렇게 말씀을 하시는 건데,

우리의 마음이라는 것이, 팔식(八識)이 원숭이처럼 잠시도 가만히 있지 아니하고 올라갔다 내려갔다 뛰었다가 내려갔다 이 나무 저 나무로 건너다니면서 온갖 수선을 피고, 저는 운동을 하느라 그러는지 그렇게 설쳐대는 것이 마치 우리의 마음이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를 통해서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을 반연(攀緣)해가지고 잠시도 쉴 사이 없이 시간과 공간에 얽매이지 않고 나부대는 우리의 마음에 원숭이가 마치 그와 같다.

 

그 눈과 코와 귀와 혀와 몸뚱이를 통해서 우리의 팔식(八識)이 놀아나는, 그 한 생각 한 생각 일어났다 꺼졌다 희로애락과 흥망성쇠 속에 우리의 마음의 원숭이가 육근(六根)을 통해서 놀아나는 그 한 생각 한 생각이 바로 '죽음을 향해서 걸어가고 있는 것'을 누가 알거나 그말이여.(처음~5분36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사시순환난부한(四時循環暖復寒)~’ ; 중봉명본 스님의 『천목중봉화상광록(天目中峯和尙廣錄)』 제30권 '警世二十二首' 게송 참고.

*심원의마(心猿意馬) ; 마음[心]이라는 원숭이[猿]와 생각[意]이라는 말[馬]. 의마심원(意馬心猿).

마음과 생각이 제멋대로 대상(對象)을 향해 항상 동요하고 고요하지 못한 모양이 질주하여 달리는 말[馬]과 쉼 없이 움직이고 조잘대는 원숭이[猿]와 흡사하기 때문에 생긴 비유이다. 일정하지 않게 예측불허로 변화하는 생각을 나타낸다.

*팔식(八識) ; 유식설(唯識說)에서 분류한 8가지 마음 작용.

인간의 모든 마음 활동을 8가지로 분류한 것이 8식(八識)이다. 곧,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말나식(末那識)·아뢰야식(阿賴耶識).

8식(八識) 가운데 앞의 5가지 식(識), 곧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을 전5식(前五識)이라 하고, 그리고 第六 意識(제6의식), 第七 末那識(제7말나식), 第八 阿賴耶識(제8아뢰야식)이라 한다.

 

〇전오식(前五識) ; 팔식(八識) 가운데 앞의 다섯 가지 식(識). 곧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을 말한다.

①안식(眼識). 시각 기관〔眼〕으로 시각 대상〔色〕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②이식(耳識). 청각 기관〔耳〕으로 청각 대상〔聲〕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③비식(鼻識). 후각 기관〔鼻〕으로 후각 대상〔香〕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④설식(舌識). 미각 기관〔舌〕으로 미각 대상〔味〕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⑤신식(身識). 촉각 기관〔身〕으로 촉각 대상〔觸〕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〇의식(意識) ; 팔식(八識) 가운데 제6 의식을 말한다. 육식(六識)의 하나.

①의식 기능[意]으로 의식 내용[法]을 식별, 인식하는 마음 작용. ②알고 사고하는 마음. 생각하는 마음. 의식은 과거, 미래에의 대상에 대해서도 작용한다. 즉 과거를 추억하고 미래를 예상할 수가 있다.

6식설(六識說)에서는 의식(意識)이 근본이 되어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 전5식(前五識)을 통괄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식을 심왕(心王)이라고도 한다.

제6 의식은 흔히 '마음'이라고 부르는 존재인데, 그 단계를 셋으로 나누면 첫째 제6 의식, 둘째가 제7 말나식, 셋째가 제8 아뢰야식이다.

 

〇말나식(末那識) ; 말나(末那)는 [산스크리트어] manas의 음사로, 의(意)라고 번역. 식(識)은 산스크리트어 vijñāna의 번역. 제6식(第六識)인 의식(意識)과 구별하기 위해서 의(意)라 하지 않고 말나(末那)라고 한다. 8식설(八識說)에서 마음을 이루고 있다고 보는 8식(八識: 8가지의 식) 가운데 하나로 제7식(第七識), 제7말나식(第七末那識) 또는 말나(末那)라고도 한다.

 

말나식은 제6식의 밑에서 조절하는 강한 자의식(自意識)으로, 아뢰야식(阿賴耶識)을 끊임없이 자아(自我)라고 오인하여 집착하고, 아뢰야식과 육식(六識)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여 끊임없이 육식이 일어나게 하는 마음 작용으로, 항상 아치(我痴)·아견(我見)·아만(我慢)·아애(我愛)의 네 번뇌와 함께 일어난다. 제8아뢰야식에 저장된 종자(種子)를 이끌어 내어 인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생각과 생각이 끊임없이 일어나게 하는 마음 작용.

 

〇아뢰야식(阿賴耶識) ; 8식설(八識說)에서 팔식(八識) 가운데 여덟 번째인 아뢰야식(阿賴耶識)을 말함. 과거의 인식, 경험, 행위, 학습 등에 의해 형성된 인상(印象)이나 잠재력, 곧 종자(種子)를 저장하고, 육근(六根)의 지각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근원적인 심층의식.
아뢰야(阿賴耶)는 산스크리트어 ālaya의 음사로, 진(眞)과 망(妄)이 함께 있다고 하여 진망화합식(眞妄和合識)이라고도 하며, 본래 깨끗한 것이 드러나 있지 않고 감추어져 있다고 하여 장식(藏識)이라고도 한다.

 

*반연(攀緣 잡을·매달릴·의지할 반/인연 연) ; ①마음이 대상경계에 의지해 움직임(작용을 일으키는 것). 대상에 의해 일어나는 마음의 혼란. ②인식함. ③인식 대상. ④얽매임. 집착함. ⑤인연에 끌림.

*육근(六根) ; 육식(六識)이 경계[六境]를 인식하는 경우 그 소의(所依)가 되는 여섯 개의 뿌리. 대경(對境)을 인식하게 하는 근원적 요소. 곧 심신을 작용하는 여섯 가지 감각기관으로서, 눈(眼根) · 귀(耳根) · 코(鼻根) · 혀(舌根) · 몸(身根) · 뜻(意根)의 총칭이다.

산스크리트어 ṣaḍ-indriya 근(根)은 기관 · 기능을 뜻함. 육입(六入), 육처(六處), 육적(六賊), 육문(六門)이라고도 한다.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600 개가 넘는 ‘(참선) 법문’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 있습니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600 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