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아만2016. 1. 14. 16:57

아만(我慢) (No.653)—‘참문수의제아만(參問須冝除我慢)~’ 부휴 선사(浮休禪師)의 게송.


*아만(我慢 /거만할·게으를 ) ; 스스로를 높여서 잘난 체하고, 남을 업신여기는 마음.

 오온(五蘊) 일시적 화합에 지나지 않는 신체에 불변하는 자아가 있다는 그릇된 견해에서 일어나는 교만. 자아가 실재한다는 교만. 자신을 높이고 남을 업신여김. 자신을 과대 평가함.

안으로 자아를 대상으로 삼아[攀緣] 집착하는 말나식(末那識) 가지 번뇌[我癡我見我愛我慢] 하나.

(2분 54초)

[법문] 송담스님(No.653)—2001(신사년) 하안거결제 법회(01.5.8)(용653)


참문수의제아만(參問須冝除我慢)하고 수행지합거탐진(修行只合去貪嗔)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수문훼예여풍과(雖聞毁譽如風過)하면 만사무심도자신(萬事無心道自新)하리라

나무~아미타불~


참문수의제아만(參問須冝除我慢)이다. 참선을 하고 도를 묻는 데에는 모름지기 마땅히 아만심(我慢心) 꺾어 버려라.

수행지합거탐진(修行只合去貪嗔)이다. 수행하는 데에는 다못 탐심과 진심을 버려야 것이다.


아만심을 가지기 때문에 주장을 하게 되고, 탐심과 진심을 가지기 때문에 닦는데 막대한 장애가 일어나는 것이지. 출가해서 도를 닦고 선방에 와서 참선하는 데는 무슨 아만심을 것이 있으며 무슨 탐심과 진심을 것이 있느냐 이것입니다.


수문훼예여풍과(雖聞毁譽如風過).

누가 나를 잘한다고 칭찬을 하거나, 나를 잘못한다고 핀잔을 주거나, 그까짓 것은 봄바람이 귓전에 스쳐가듯이 그냥 내싸두어 버리면 된다 그말이여.

그렇게 해서 일체처 일체 경계, 팔풍경계(八風境界) 무심(無心) 버리면 () 거기서 나날이 새로와질 것이다(萬事無心道自新). 부휴 선사(浮休禪師) 게송이었습니다.(2913~326)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참문수의제아만(參問須冝除我慢)~’ ; [부휴당대사집(浮休堂大師集)] ‘(상인(上人)에게(贈峻上人)’ 참고.

*()마땅하다,마땅히~하여야 한다. 宜와 동자(同字).

*()부수다,비방하다,헐뜯다나를 보는 데서 나를 비방하는 .

*()기리다,찬양하다,명예.   —나를 보는 데서 나를 칭찬하는 .

*아만심(我慢心) ; 자신을 뽐내며 남을 업신 여기는 교만(驕慢) 마음.

*내싸두다 ; ‘내버리다 사투리.

*팔풍(八風) : 팔경(八境). 팔풍경계(八風境界). 팔풍은 세상에서 사랑하거나 미워하는 바로서 능히 사람의 마음을 흔들어서 움직이게 하므로 팔풍(八風)이라 <몽산법어 p155, 용화선원刊>

이쇠(利衰 이로울 /약할 ) : 뜻에 맞고() 뜻에 어기는 ().

예훼( 기릴 /비방할 ) : 안보는 데서 나를 찬미하는 (), 안보는 데서 나를 비방하는 ().

칭기(稱譏 일컬을 /나무랄 ) : 면전에서 찬미하는 (), 면전에서 비방하는 ().

고락(苦樂 괴로울 /즐거울 ) : 몸과 마음을 괴롭히는 (), 몸과 마음을 즐겁게 해주는 ().

[참고] 팔풍, 팔세법(八世法, attha lokadhamma) : 세간(世間, 중생의 세계) 특유의 여덟가지 어려움. 이득과 손실(利衰), 좋은 평판과 나쁜 평판(), 칭찬과 비난(稱譏), 고통과 행복(苦樂)<칠각지 p57, 고요한소리刊팔풍경계를 요약하면 결국 역순경계(逆順境界).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