ㅂ/발우공양2020. 4. 14. 17:41

발우공양(No.602)—버려지는 먹을만한 음식이 8조 원 / 음식을 함부로 하게 되면 복(福)이 달아납니다 / 가정에서도 부페식으로 식사를 하도록.

 

*발우공양(鉢盂供養) ; 스님들이 쓰는 밥그릇을 발우(鉢盂)라고 하여, 발우공양은 ‘스님들이 하는 식사’를 말한다. 발우공양을 할 때 《소심경(小心經)》이라는 경전을 외운다.

 

이 공양은 단순히 밥을 먹는 것이 아니라, 모든 중생이 깨달아 신과 인간의 공양 받기를 원하는 ‘하발게(下鉢偈)’,

부처님 일생의 중요한 4대 성지를 생각하는 ‘회발게(回鉢偈),

보시하는 사람, 보시받는 사람, 보시하는 물건, 삼륜(三輪)이 공적함을 생각하는 ‘전발게(展鉢偈)’

 

그리고 위로는 부처님, 성인 아래로는 일체 중생 모두에게 공양을 올린다는 ‘봉반게(奉飯偈)’

음식이 우리 앞에 오기까지 수많은 사람들의 노고를 생각하며, 이 음식을 약으로 알아 도업을 이루고자 하는 ‘오관게(五觀偈)’

 

그리고 생반게(生飯偈), 정식게(淨食偈), 삼시게(三匙偈), 절수게(絶水偈), 해탈주(解脫呪)를 하면서 모든 중생과 함께 고통을 벗어나 무상도(無上道)를 이루겠다는 서원을 다짐하며 공양하는 수행 의식이다.

 

(11분 1초)

 

[법문] 송담스님(No.602)—1998년 2월 첫째일요법회(98.02.01) (용602)

 

내가 오늘 그만 내려가고 싶은데 하나를 더 말씀을 하고 싶은 것은, 생활 식품 쓰레기가 우리나라에 쓰레기로, 먹을 수 있는 것을 버리는 것을 돈으로 따지면은 8조 원어치가 버려진다고 그럽니다.

이것은 정부에서 통계를 내가지고 발표한 것이기 때문에 아마 거짓말이 아닐 것입니다. 1년 동안 음식 쓰레기로 나가는, 버려지는 먹을만한 음식이 8조 원이라고 하니 엄청난 것입니다, 이것은.

 

그래서 이 음식을 함부로 해가지고 버리게 되면 어떠한 일이 일어나냐 하면은 첫째, 가정적으로 돈을 낭비한 것이 되는 것이고. 낭비를 안 하면 그것이 절약이 되니까 경제적으로 저축이 되는 것이고.

 

그다음에 자연을 더럽히지 않게 됩니다.

음식 쓰레기를 버려가지고 그놈이 썩어 문드러져서 나가면 강물이 오염이 되고, 강물이 오염이 되면은 그 강에 살고 있는 많은 생태가 다 죽게 되는 것입니다. 그 썩은 물이 바다로 내려가면 어패류가 다 병들고 죽게 되는 것입니다.

그것을 사람이 사다 먹으면 암이 걸리고 360골절(骨節)과 오장육부의 온갖 병이 거기서 다 또 생기는 것입니다. 각자 자기네들이 버려가지고 그 독(毒)이 자기로 돌아오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음식을 함부로 하게 되면 복(福)이 달아납니다.

음식을 함부로 버리면, 옛날에는 함부로 버리면은 "복(福) 달아난다" 어른들이 그랬습니다.

복이 달아난단 말은, '자기의 복이 없어진다'는 것입니다.

 

음식을—모든 물건도 다 마찬가지지마는—사람이 먹음으로 해서 생명(生命)을 유지해 나가는 건데, 그러한 생명과 직결되는 음식을 함부로 버리게 되면 머지않아서 그 사람은 빌어먹어야 마땅한 팔자(八字)를 타고 나는 것입니다. 금생에도 망할 수밖에는 없는 거고.

 

내 이런 고약한 말을 해서 미안한데, 하다 보니까 내가 조끔 흥분이 됩니다.

음식을 함부로 버리면은 정말 금생에도 재산상으로도 손해가 막심하지만, 일생 동안 먹고살고 내생(來生)에까지 먹고살 복(福)까지 달아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러면 어떻게 하면 되느냐?

물건을 살 때 필요한 만큼 사고, 또 사다가 냉장고다 이렇게 보관하더라도 먹을 만큼 요리를 하고,

먹을 때에 잔뜩 갖다놓고 그냥 이 사람이 퍼다 먹고 이 사람이 집어다 먹고, 입에 들어갔던 놈으로 그 도로 그리하고 침하고 범벅을 해서 먹고 남으면 막 갖다버리고 그럴 것이 아니라, 부페(buffet)식을 하라 이거지요.

 

절에서는 발우공양(鉢盂供養)을 하기 때문에 많이씩 이래 담아서—쭉 두 가지면 두 가지, 세 가지면 세 가지—갖다 놓으면 거기에 있는 저분(젓가락)으로 덜어서 각자 이렇게 놓고 또 다음으로...

발우공양을 해 보신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그것이 현대화 된 것이 부페식입니다.

 

부페식을 해서 그걸 큰 그릇에다가 끼니 먹을 만큼 장만해서 갖다놓고, 각자 그 접시면 접시, 그릇이면 그릇에다가 거기에 있는 숟갈이나 거기에 있는 저분으로 이렇게 각자 먹을 만큼 덜어서 먹고,

조금 모자라면 거기에 있는 젓가락으로—자기의 먹던 거로 빨아먹으면서 계속 들랑거리지 말고—거기에 있는 저분으로 이렇게 또 덜어서 먹고.

그러고 남은 반찬은 전혀 침이 섞여 있지 않는 깨끗한 반찬이니까 그것을 잘 덮어서 두었다 다음 끼니에 먹어도 좋고.

 

먹고 난 뒤에 식사시간 조끔 늦게 온 사람도 그걸 먹어도, 먹고 남은 찌끄래기를 먹는 것이 아니라 깨끗한 음식을 먹게 되는 것이고, 또 그다음 거진 먹었을 때 손님이 오더라도 그릇하고 저분 수저만 가져오면 거기서 또 덜어 먹어도 상관이 없는 것입니다.

 

그런데 마구잽이 그 하다보면은 그 감기 든 사람이 하면은 감기가 온 집안 식구한테 전염이 될 것이고, 폐결핵을 앓는 사람이 그 음식을 같이 먹게 되면은 그 폐균이 다 옮기게 될 것이고, 에이즈가 걸린 사람이 있으면 그런 병이 또 전염이 되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위생적으로도 가정에서, 절에서 하듯이 발우공양을 떠억 하기는 조끔 사실은 어려울 것입니다마는, 부페식은 충분히 하고도 남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것은 특별한 기술도 필요 없는 거고, 저 고급식당에 가서 부페식 하신 분은 다 아시겠습니다마는—그것도 욕심 많은 사람은 좋은 음식 본 김에 잔뜩 먹는다고 잔뜩 퍼다가 먹고 삼분의 일도 못 먹고 갖다 버리고 온 사람이 있다고 들었습니다마는.

이거 부페식을 해도 꼭 먹을 만큼만, 좀 '아, 저것은 맛있겄다' 싶어도 그럴수록에 조금만큼만 갖다 먹고 그거 정 부족하면 다시 또 덜어다 먹고 이런 식으로 해서, 그렇게 먹고는 남은 그릇은 숭늉 넣어서 이렇게 잘 가셔서 먹고 또 한번 더 가셔서 먹고, 설거지 해봤자 별로 찌끄래기가 나오지 않도록 어른들이 먼저 시범을 보이시고.

 

애기들도 다 그렇게 먹고 난 밥그릇이, 국그릇 밥그릇이 깨끗하도록 이렇게 딱 하면 설거지하기도 대단히 좋을 것이고 수돗물도 적게 들어갈 것이고, 거기서 내려가는 하수도 물도 깨끗한 물이 내려가게 될 것이니 한강 물이 깨끗해질 것입니다.

한강 물이 깨끗해지면은 서해(西海)나 또 이 낙동강 물이 깨끗해지면 남해(南海) 모다 그런 영산강 물이 다 깨끗해질 것입니다.

 

이것은 국책(國策)으로 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이것이 이런 식생활(食生活)부터서 이렇게 깨끗이 먹고 위생적으로 먹고 아껴 먹고, 이렇게 하면 낭비하라고 해도 낭비 안 합니다. 허영을 부리라고 해도 허영을 안 할 것입니다.

 

이것은 별일도 아니고 불법(佛法)도 아닌 것 같지마는, 이 속에 불법(佛法)이 들어있습니다.

인간을 바로 만드는 것이고, 인간의 생활을 올바르게 하는 것이 어찌 불법(佛法)과 관계가 없겠습니까?

 

송담(松潭)의 말이 '과연 그렇다'고 생각하시면 박수 한번 더 치세요. (대중이 박수)

됐습니다.

 

오늘부터서 우리도 그것을 해야겠다고 생각하시면은 손을 한번 들어보세요.

감사합니다. (대중이 박수)

 

 

아금지차길상수(我今持此吉祥水)를  관주일체대중정(灌注一切大衆頂)하니

진로열뇌실소재(塵勞熱惱悉消除)하야  자타조속법왕위(自他早續法王位)니라

나무~아미타불~

 

아금지차길상수(我今持此吉祥水)를, 내 지금 이 길상수(吉祥水)를 가지고,

관주일체대중정(灌注一切大衆頂)하니, 여러 대중 형제자매 도반들에게 이 길상수를 쏟아서 노놔드리니,

 

진로(塵勞)와 열뇌(熱惱)가 다 깨끗해져서, 자타조속법왕위(自他早續法王位) 하여지이다.

"모두가, 우리 모두가 부처님의 위(位), 법왕(法王)의 위(位)를 다 전승(傳承) 받게 되어지이다" 하는 축원의 말씀을 드렸습니다.

 

이 길상수(吉祥水)는, 부처님의 법(法)에 의해서 저의 입을 통해서 여러분에게 일러드리는 이 말씀을 길상수에다가 비유한 게송입니다.(1시간16분18초~1시간27분21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발우공양(鉢盂供養) ; 스님들이 쓰는 밥그릇을 발우(鉢盂)라고 하여, 발우공양은 ‘스님들이 하는 식사’를 말한다. 발우공양을 할 때 《소심경(小心經)》이라는 경전을 외운다.

이 공양은 단순히 밥을 먹는 것이 아니라, 모든 중생이 깨달아 신과 인간의 공양 받기를 원하는 ‘하발게(下鉢偈)’, 부처님 일생의 중요한 4대 성지를 생각하는 ‘회발게(回鉢偈), 보시하는 사람, 보시받는 사람, 보시하는 물건, 삼륜(三輪)이 공적함을 생각하는 ‘전발게(展鉢偈)’

그리고 위로는 부처님, 성인 아래로는 일체 중생 모두에게 공양을 올린다는 ‘봉반게(奉飯偈)’ 음식이 우리 앞에 오기까지 수많은 사람들의 노고를 생각하며, 이 음식을 약으로 알아 도업을 이루고자 하는 ‘오관게(五觀偈)’

그리고 생반게(生飯偈), 정식게(淨食偈), 삼시게(三匙偈), 절수게(絶水偈), 해탈주(解脫呪)를 하면서 모든 중생과 함께 고통을 벗어나 무상도(無上道)를 이루겠다는 서원을 다짐하며 공양하는 수행 의식이다.

*저분 ; '젓가락'의 사투리.

*찌끄래기 ; ‘찌꺼기’의 사투리.

*진로(塵勞 티끌·속세 진/근심할 로) ; ①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노여움이나 욕망 따위의 망념(妄念), 마음의 티끌. 번뇌(煩惱)를 말한다. 중생의 마음을 더럽히고 생사에 유전(流轉 끊임없이 이어짐)시켜 피로하게 하는 것. ②생사(生死). 생사윤회(生死輪廻).

*열뇌(熱惱) ; 매우 심한 괴로움. 몹시 심한 고뇌(苦惱)에 핍박되어 몸과 마음이 활활 불타오르는[熱] 것.

*법왕(法王) ; 부처님을 찬탄하는 말. 왕(王)은 가장 수승하고 자재하다는 뜻. 부처님은 법문(法門)의 주인이며 중생을 교화함에 자유자재한 묘용(妙用)이 있으므로 이렇게 이름.

 

Posted by 닥공닥정
ㅂ/발우공양2019. 4. 23. 13:44

*발우공양(鉢盂供養) ; 스님들이 쓰는 밥그릇을 발우(鉢盂)라고 하여, 발우공양은 ‘스님들이 하는 식사’를 말한다. 발우공양을 할 때 《소심경(小心經)》이라는 경전을 외운다.

 

이 공양은 단순히 밥을 먹는 것이 아니라, 모든 중생이 깨달아 신과 인간의 공양 받기를 원하는 ‘하발게(下鉢偈)’,

부처님 일생의 중요한 4대 성지를 생각하는 ‘회발게(回鉢偈),

보시하는 사람, 보시받는 사람, 보시하는 물건, 삼륜(三輪)이 공적함을 생각하는 ‘전발게(展鉢偈)’

 

그리고 위로는 부처님, 성인 아래로는 일체 중생 모두에게 공양을 올린다는 ‘봉반게(奉飯偈)’

음식이 우리 앞에 오기까지 수많은 사람들의 노고를 생각하며, 이 음식을 약으로 알아 도업을 이루고자 하는 ‘오관게(五觀偈)’

 

그리고 생반게(生飯偈), 정식게(淨食偈), 삼시게(三匙偈), 절수게(絶水偈), 해탈주(解脫呪)를 하면서 모든 중생과 함께 고통을 벗어나 무상도(無上道)를 이루겠다는 서원을 다짐하며 공양하는 수행 의식이다.

 

(7분 3초)

 

[법문] 송담스님(세등선원No.41)—임술년 동안거 결제 법어(82.10.17)(세등41)

 

선방(禪房)에 발우공양(鉢盂供養)을 하면, 선방이나 강원이나 발우공양만 하면 쫓기는 사람처럼 막 국에다 반찬에다 밥에다가서 비벼 가지고 그냥, 당장 난리라도 몰아온 것처럼 그냥 후닥닥 긁어 넣는데, 그래 가지고 먹고 나면 가슴이 쓰리고, 트림이 나오고, 소화가 안되고.

 

금년에 반야선원이나 이 세등선원 대중은 특별히 주의할 것이 공양(供養)을 잘 씹어서, 한 숟가락을 입에다 떠 넣으면, 밥만 떠 넣고 반찬은 아직은 넣지 아니한 채 50번을 씹어.

50번을 씹은 다음에 그때사 반찬을 집어 넣고 한 20번을 씹어. 그래 가지고 최소한도로 7~80번을 씹어 가지고 따악 삼키라 그말이여. 그렇게 삼키고 또 국을 한 숟갈 떠먹어.

 

또 맨밥을 떠 넣고 한 50번을 씹다가, 완전히 입안에서 밥이 미음(米飮)이 되도록 씹어 가지고 거기다 또 반찬을 또 집어 넣고 한 2~30번을 씹어. 그리고는 그놈을 삼키고 또 국 한 번을 떠먹어.

이렇게 해서 최소한도로 30분간에 걸쳐서 공양을 하라. 먹는 시간만 한 30분을 잡으라.

 

밥 먹는 것도 정진인데, 빨리 밥 먹고 참선(參禪) 할라고?

그것은 벌써 정신이 틀려 버린 거여. 밥 먹은 것은 정진이 아닌 걸로 생각하는 사람이거든. 그래서 빨리 밥을 먹고 소화가 안되고, 그런데다 또 무슨 간식을 하고 무슨... 일평생을 끌끌.

 

그 사람은 정진을 바로 할 줄 모르는 사람이여. 선방을 몇십 년을 당겨도 그 사람은 벌써 공부할 줄 모르는 사람이다. 밥도 제대로 먹을 줄 모르는 사람이 무슨 참선을 하냐 그말이여.

 

밥이 그것이 이 몸뚱이, 법당을 잘 간수하는 그 불사(佛事)인데,

첫째, 그 법당을 잘 간수해야 부처님을 잘 모시게 되는 것인데, 법당 하나를 잘 간수를 못한 사람이 무슨 부처님을 옳게 모실 수가 있겠느냐.

 

입승(立繩) 스님이 단단히 알아서 죽비(竹篦)를 천천히 치고.

첫째, 어간(御間)에 앉은 구참 스님들이 느긋하게 공양을 들어야 돼. 그래야 저 탁자(卓子) 밑에서 그 진지를 하는 대중, 진지하고 들어가서 밥을 먹고 또 숭늉을 돌려야 하고 그러니 시간이 없다 그말이여.

 

어간에서 일찌감치 먹고 쳐다보고 있으니 밥을 빨리 먹을 수밖에 없고, 그 빨리 먹어놓으니 소화가 안되고, 그리고 또 넉넉히 먹을 수도 없고 그러니 첫째, 어간에서 천천히 먹어줘야 그래야 그것이 자비고.

 

우리가 무슨 영양을 취할 것이 있느냐 그말이여. 밥이라도 잘 소화를 시켜야 하거든. 또 넉넉히 먹어줘야 하고. 그리고 간식을 안 하는 것이 좋아요.

밥을 넉넉히 잘 먹고, 그놈을 흡족하게 완전히 흡수를 해서 뱃속이 편안해야 화두(話頭)가 잘 들리지, 소화가 안되면은 영 호흡도 잘 안되고 화두도 잘 안 들립니다. 소화가 안되면은 또 영양을 흡수를 못하기 때문에 건강도 좋지를 못하는 것이고.

 

그러한 근본적이고도 가장 중요한 일이 전국 남녀를 막론하고 선방에서 제대로 그것이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니 나는 30여 년을 겪어봐서 너무나도 이 평범한 일이, 가장 기본적인 일이 잘못되어 가지고 선객(禪客)들의 건강이 좋지 못한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말씀을 하는 것이니까 깊이 명심을 해서 이것을 실천을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공양을 그렇게 50번을 씹는 동안에 무엇을 생각할거냐 그말이여. 그때 화두(話頭)를 들어 보라 그말이여. 혼침은, 누가 밥 먹다 조는 사람은 없거든. 그러니 혼침(昏沈)은 두려워할 것이 없고.

그 딱딱딱딱 씹으면서 화두를 떠억 그리고 그 알 수 없는 화두를 그놈을 관조를 하면서 공양을 들어 보라 말이여. 어떻게 신심이 저절로 나거든.

 

밥을 먹고 나면은 그 밥 먹는 시간이 정말 정진이 옳게 되어 가는 시간이여. 그 시간이 정진이 잘되고, 그때 먹은 그 밥이 소화가 잘되고 흡수가 잘되고 그래.

 

밥 먹을 때 제대로 정진을 할 줄 아는 사람이면 또 세수할 때도 해야 하거든. 여러분이 세수할 때 화두를 들어 봐. 양치질 할 때도 화두가 고대로 들어 있고, 세수를 할 때도 고대로 들어 있고, 목욕탕에 가서 목욕을 하면서도 화두가 고대로 들어 있도록 되어야 한다 그말이여.

변소에 가서 똥을 눌 때에도 화두가 터억 들어져 있고, 똥을 누고 나오면서 한 걸음 한 걸음 걸어 나오면서도 화두가 고대로 또 들어 있어야 될 것이다 그말이여.

 

잠을 잘 때 자리에 들어서도 화두가 터억 들어 있도록 되어야 한다 그말이여. 그래야 잠을 자면서 꿈에서도 화두가 들어질 것이 아니냐 그말이여.

설사 꿈에는 안 들어지더라도, 마지막 잠이 딱 들 때까지도 화두가 떠억 들어 있는 상태에서 잠이 들면, 그 이튿날 아침에 딱! 눈을 떴을 때 화두를 새로 들지 안 해도 엊저녁에 들었던 그 화두가 저절로 딱 들어 있어야 된다 그말이여.

 

이렇게 석 달을 지내 봐요. 정말 수행이란 것은 마땅히 이렇게 해야 할 것이고.(35분5초~42분6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선방(禪房) ; ①참선(參禪)하는 방. 큰방. 선실(禪室). ②선원(禪院).

‘선방에 간다’라는 말은 ‘참선하러 절에 간다’ 또는 ‘참선 수행에 들어간다’라는 표현이다.

*공양(供養) ; ①불(佛)•법(法)•승(僧)의 삼보(三寶)에 음식•옷•꽃•향 등을 바침. ②공경함. 찬탄함. 칭송함. 예배함. ③봉사함. ④절에서 음식을 먹는 일.

*미음(米飮 쌀 미/마실 음) ; 쌀이나 좁쌀에 물을 많이 넣고 푹 끓여 체에 밭친 걸쭉한 음식.

*참선(參禪) ; ①선(禪)의 수행을 하는 것.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이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한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불사(佛事) ; ①불법(佛法)을 알리는 일. 법회, 불공(佛供), 재(齋)의 봉행, 경전의 간행과 유통, 사찰의 중창과 전각 중수, 불상·탱화·불구(佛具)·가사(袈裟) 조성 등의, 불가(佛家)에서 행하는 모든 일을 가리킨다. ②부처님께서 중생을 교화(敎化)하시는 일.

*입승(立繩) ; 선원(禪院)에서 선원의 규율과 질서를 다스리는 직책, 또는 그 일을 맡은 스님.

*죽비(竹篦 대나무 죽/빗치개·통발 비) ; 예불이나 참선 정진할 때 이 죽비를 손바닥에 쳐서 소리를 내어 시작과 끝을 알리거나, 공양할 때 공양순서를 알리는데 쓰는 불교 용구.

*어간(御間 거느릴·다스릴 어/사이 간) ; 절의 법당이나 큰방 한복판에 있는 칸.

*탁자(卓子) ; ①물건을 올려놓기 위하여 책상 모양으로 만든 가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 ②불상(佛像) 앞에 붙박이로 만들어 두고, 공양물(供養物) · 다기(茶器) 따위를 차려 놓는 상.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화두(공안)에는 '이뭣고?' '판치생모' '무자' '정전백수자' 등이 있다.

*선객(禪客 참선 선/손님·사람 객) ; 참선 수행을 하는 사람.

*혼침(昏沈 어두울 혼/잠길 침) ; ①정신이 미혹(迷惑)하고 흐리멍덩함. ②좌선할 때 정신이 맑지 못하여 잠에 빠지거나 무기공(無記空)에 떨어진 상태.

 

Posted by 닥공닥정
ㅂ/발우공양2016. 4. 25. 08:42

발우공양(鉢盂供養) (No.480)—아귀들이 다른 게 아니고 우리의 선망부모 | 한 사람의 마음이 깨끗하면 법계(法界)가 청정하다.

 

*발우공양(鉢盂供養) ; 스님들이 쓰는 밥그릇을 발우(鉢盂)라고 하여, 발우공양은스님들이 하는 식사 말한다. 발우공양을 《소심경(小心經)》이라는 경전을 외운다.

 

공양은 단순히 밥을 먹는 것이 아니라, 모든 중생이 깨달아 신과 인간의 공양 받기를 원하는하발게(下鉢偈)’, 부처님 일생의 중요한 4 성지를 생각하는회발게(回鉢偈), 보시하는 사람, 보시받는 사람, 보시하는 물건, 삼륜(三輪) 공적함을 생각하는전발게(展鉢偈)’

그리고 위로는 부처님, 성인 아래로는 일체 중생 모두에게 공양을 올린다는봉반게(奉飯偈)’ 음식이 우리 앞에 오기까지 수많은 사람들의 노고를 생각하며, 음식을 약으로 알아 도업을 이루고자 하는오관게(五觀偈)’ 그리고 생반게(生飯偈), 정식게(淨食偈), 삼시게(三匙偈), 절수게(絶水偈), 해탈주(解脫呪) 하면서 모든 중생과 함께 고통을 벗어나 무상도(無上道) 이루겠다는 서원을 다짐하며 공양하는 수행 의식이다.

 

(7분 12초)

 

[법문] 송담스님(No.480)—92 9 첫째일요법회(92.09.06)(용480)

 

스님네나, 여러 선방에 방부(房付) 들이고 참선을 하는 보살님네나, 거사님네들은 발우공양(鉢盂供養) 해서 아시겠지만 발우대에 청수(淸水) 받아 가지고 공양(供養) 하고 나서 물로 자기가 먹은 밥그릇, 국그릇, 찬그릇을 이렇게 씻는데.

처음에는 숭늉으로 요렇게 해서(그릇들을 닦아서 닦은 물을) 먹고, 거의 깨끗해졌을 이제 맑은 [淸水] 요렇게 씻는데, 맑은 물로 씻을 때는 별로 찌끄러기가 없어야 하는 거예요.

맑은 물로 씻었는데 고춧가루다 찌끄러기가 많이 나오면 그분은 발우공양을 제대로 모르는 분이거든.

 

숭늉 받았을 숭늉으로 밥그릇도 이렇게 가시고, 국그릇도 물을 조금씩 가지고 이렇게 가시고, 찬그릇도 조금 씻어서 요렇게 가셔서 먹고그때는 손으로 뿍뿍 씻는 아니라, 저분에다가 무우 쪽이나 배추김치 쪼가리를 가지고 그놈으로 요렇게 젓가락으로 해서 요렇게 요렇게 마시는 거여.

그것을 모르는 분은 숭늉을 잔뜩 찬그릇에다가 울렁울렁 하니 가지고 그놈을 억지로 들어마시고.

 

그걸 숭늉 갖고도 씻어 가지고, 맑은 천수물을 부어 가지고 훌렁훌렁 가지고 텁텁하니 고춧가루, 김치이파리, 쪼가리 모다 그런 것이 있어 가지고는 마시자니 배가 부르고천수물(千手물) 받으러 오면 더러우면 받거든.

그래서 요렇게(천수통千手桶에 조용히) 부어서 찌끄러기가 나오면 그놈을 들어마시니, 손으로 저어서 것을 그것 먹기 싫어서 발우공양 한다는 분도 있는데.

사실은 더러울 것도 없는 거지만, 잘못 발우공양하는 법을 배워 가지고 하면 하나도 더러울 것도 없고.

 

그런데 발우공양 이야기를 하냐 하면은 3 전부터서 인도로 중국으로 한국으로 이렇게 오면서 스님네는 발우공양을 했다 그말이여.

발우공양을 하니 무엇이요새 설거지물이, 나는 공장 폐수로 인해서 강이 그렇게 오염이 대부분 그렇게 생각했는데, 생활로 인해서 가정에서 내려가는 설거지물, 비눗물 그런 것으로 인해서 강물이 그렇게 무섭게 오염이 된다고 하는 것을 뉴스를 통해서 봤습니다.

 

참선을 하는 사람은 설거지물이 버려봤자 하나도 강물이 오염될 것이 없어. 어떻게 강물 오염되지 말라고 그렇게 깨끗이 한 것이 아니고, 우리가 발우공양을 때에는 밖에 우리의 선망부모(先亡父母) 수억, 수백억의 아귀(餓鬼)들이 배가 고프고 목이 말라서 발우공양 하고 남은 천수물이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는 거여.

밥은 먹어. 떡도 먹고 아무 것도 먹어. 먹으면은아귀는 생긴 모습이 어떻게 생겼느냐 하면은 실낱 모가지에 배는 장구통 배아지거든. 목은 실처럼 가늘고 몸은 산처럼 이렇게 배가 크다 그말이여.

 

그러니 목이 가늘어서 먹을 수가 없어. 그런데 배는 크니 노상 배가 고플 밖에 없다. 오직 목구녁을 통하는 것은 발우공양하는 밖에는 먹을 것이 없어.

맹물은 먹어봤자 아무 곡기가 없고 그래도 발우공양하는 물은마을의 설거지물은 찌끄러기가 너무 많아서 목에 걸려서 먹고, 스님네가 발우공양한 물은 그래도 밥그릇을 씻은 물이기 때문에 쪼금은 곡기(穀氣) 있을 것이고, 찌끄러기가 전혀 없기 때문에 그것은 마음 놓고 먹을 수가 있어서 겨우 갈증을 면하고 기갈을 면한다 그말이여.

 

아귀들이 다른 아니고 우리의 선망부모여. 우리의 선망부모가 탐진치(貪瞋癡) 삼독(三毒) 빠져 가지고 도를 닦았기 때문에 본의 아니게 그런 아귀가 되어 가지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아귀의 그래도 기갈을 면하게 해주기 위해서 발우공양 때에는 천수물을 깨끗이 해서 버리고, 그래도 조그만한 것이 나오면 그것을 별도로 먹느니 애당초에 나오게 하는 것이 좋다 이거거든.

그래도 본의 아니게 나왔다고 해도 그것을 버려서 아귀의 목에 걸리게 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버릴 때는 없고 그러니까 자기가 처분하는 것이여.

 

생각 단속해서 생사윤회에서 해탈하고 나아가서는 일체 중생을 제도하는 원력(願力)으로 살아가는 우리의 정법을 믿는 법보재자, 불자들.

설거지물 하나라도 그렇게 함부로 버리지 않고 깨끗이 해서 설거지물을 처리하는 것을 보면, 불법을 믿고 바르게 수행을 나간다면 하천이고 산천이고 오염이 되지를 않을 것입니다.

 

아무리 부처님 열반하신 3 아니라 5 , 3 년이 지난다 해도 말세라고 수가 없을 것입니다왜그러냐? 『한 사람의 마음이 깨끗하면 법계(法界) 청정하다』 원각경에.

사람 사람의 마음이 깨끗해지면 세계가 마음이 깨끗해지고, 깨끗한 마음을 가진 사람이 누구를 해치며, 누구를 죽이며 무슨 죄악을 범할 것이냐 그말이여.(4456~527)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방부(房付) 들이다 ; 수행자가 절에 머물며 공부할 것을 인사드리고 허락을 구해 결제(結制) 참가하다.

*발우대 ; 절에서 쓰는 스님의 공양(식사) 그릇. 나무나 놋쇠 따위로 대접처럼 만드는데, 나무에는 안팎에 () 한다. 발우(鉢盂)ㆍ바리때ㆍ바릿대 · 응기(應器)ㆍ응량기(應量器)라고도 한다.

응량기(應量器) 법에 응하는 또는 1명의 식량에 마땅한 그릇이니 먹을 만큼의 분량을 담는 그릇이고, 남의 공양을 받기에 마땅한 수행과 덕을 갖춘 성현(聖賢) 사용하는 그릇이란 뜻이다.

*청수(淸水) ; 맑고 깨끗한 .

*공양(供養) ; ①불()•()•() 삼보(三寶) 음식 등을 바침. ②공경함. 찬탄함. 칭송함. 예배함. ③봉사함. ④스님들의 식사.

*저분 ; ‘젓가락 사투리.

*천수물(千手물) ; 청수(淸水). 절에서 스님들이 식사(발우공양) , 발우(鉢盂) 씻는(씻은) . 물을 모은 천수통(千手桶, 청수통, 퇴수통) 공양방 가운데 두고 절수게(節水偈) 외우는데, 공양방 가운데 천장에 붙여 놓은 천수다라니(千手陀羅尼, 신묘장구대다라니) 선명하게 비칠 정도로 깨끗하므로 천수물이라 한다.

절수게(節水偈) 발우 씻은 물은(我此洗鉢水) 하늘나라 감로수의 맛과 같다(如天甘露味) 아귀들에게 베푸니(施與餓鬼衆) 받아 마셔 모두 배불러지이다(皆令得飽滿)’

천수물을 굶주림과 기갈에 고통 받는 아귀들에게 베푸는데, 찌꺼기가 있으면 아귀의 바늘구멍만한 목구멍에 걸려 고통을 일으키므로, 천수통에 부을 맑은 물만 붓고, 남은 찌꺼기는 자신이 마신다.

*천수통(千手桶) ; 절에서 스님들이 식사(발우공양) , 발우(鉢盂) 씻은 물을 거두는 동이. 청수통, 퇴수통이라고도 한다.

*선망부모(先亡父母) ; 금생에 돌아가신 부모 뿐만 아니라 과거 우리의 모든 부모.

[참고] 1984(갑자년) 칠석차례(No.243) 송담 스님 법문에서.

선망부모는 사람의 선망부모가 나의 선망부모와 같은 것입니다.

영가(靈駕) 수천만 몸을 바꾸면서 나의 조상이 되었다, 김씨네 조상으로 태어났다가, 박씨네 조상으로 태어났다가, 이씨네 조상으로 태어났다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부모가 바로 사람의 부모고, 사람의 부모가 부모여서, 부모를 소중히 아는 사람은 바로 다른 노인들을 소중히 여기게 되고, 자식이 사랑스런 사람은 다른집 아기들도 아껴주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동체대비(同體大悲) 하는 것입니다.”

*아귀(餓鬼 굶주림·굶길 /귀신·아귀 ) ; 항상 굶주림과 갈증으로 과로워하는 귀신. 전생에 탐욕이나 질투가 많아, 악업을 지은 사람이 죽은 육도(六道) 하나인 아귀도(餓鬼道) 태어나 고통을 당한다.

아귀의 배는 산과 같이 크지만 목구멍은 바늘구멍만큼 작다. 먹을거리가 없어 항상 굶주림과 목마름의 고통에 있고, 우연히 먹을 것을 얻더라도 입에서 불이 나거나 먹을 것이 화염으로 변하여 고통 받는다.

*배아지 ; ‘(신체의 )’ 사투리.

*곡기(穀氣 곡식 /기운 ) ; 곡식의 기운.

*애당초(-當初) ; ‘당초(當初, 일의 처음)’ 강조하여 이르는 .

*원력(願力) : ()하는 바를 이루려는 의지. 본원력(本願力)•숙원력(宿願力)•대원업력(大願業力)•서원(誓願)•행원(行願)이라고도 한다.

*본원(本願) : 근본서원(根本誓願) 준말. 모든 불보살님들이 지난 세상에서 일으킨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 결정코 이루려는 맹세(서원). 본원에는 총원(總願) 별원(別願) 있다.

①총원(總願)--모든 불보살님들의 공통원, 사홍서원(四弘誓願).

중생무변서원도(衆生無邊誓願度) : 가없는 중생을 맹세코 건지리이다.

번뇌무진서원단(煩惱無盡誓願斷) : 끝없는 번뇌를 맹세코 끊으오리다.

법문무량서원학(法門無量誓願學) : 한없는 법문을 맹세코 배우리이다.

불도무상서원성(佛道無上誓願成) : 위없는 불도를 맹세코 이루리이다.

②별원(別願)--불보살님마다 중생제도의 인연에 따라 세운 (아미타불48, 약사여래12 등등). 별원은 사홍서원의 구체적 표현.

*법계(法界) ; ①모든 현상, 전우주. ②있는 그대로의 참모습. ③진리의 세계.

 

Posted by 닥공닥정
ㅂ/발우공양2016. 3. 6. 22:08

발우공양(鉢盂供養) (No.577)—(게송)一切不留還有見  了無可記尙存知  故家田地非親到  畵餠何曾療得饑 | 집에서도 부페(buffet)식으로 식사하도록.

 

*발우공양(鉢盂供養) ; 스님들이 쓰는 밥그릇을 발우(鉢盂)라고 하여, 발우공양은스님들이 하는 식사 말한다. 발우공양을 《소심경(小心經)》이라는 경전을 외운다.

 

공양은 단순히 밥을 먹는 것이 아니라, 모든 중생이 깨달아 신과 인간의 공양 받기를 원하는하발게(下鉢偈)’, 부처님 일생의 중요한 4 성지를 생각하는회발게(回鉢偈), 보시하는 사람, 보시받는 사람, 보시하는 물건, 삼륜(三輪) 공적함을 생각하는전발게(展鉢偈)’ 그리고 위로는 부처님과 성인, 아래로는 일체 중생 모두에게 공양을 올린다는봉반게(奉飯偈)’

음식이 우리 앞에 오기까지 수많은 사람들의 노고를 생각하며, 음식을 약으로 알아 도업을 이루고자 하는오관게(五觀偈)’ 그리고 생반게(生飯偈), 정식게(淨食偈), 삼시게(三匙偈), 절수게(絶水偈), 해탈주(解脫呪) 하면서 모든 중생과 함께 고통을 벗어나 무상도(無上道) 이루겠다는 서원을 다짐하며 공양하는 수행 의식이다.

 

(18분 47초)

 

[법문] 송담스님(No.577)—96 11 첫째일요법회(96.11.03)(용577)

 

일체불유환유견(一切不留還有見)이요  요무가기상존지(了無可記尙存知)니라

나무~아미타불~

고가전지비친도(故家田地非親到)하면  화병하증요득기(畵餠何曾療得饑)리요

나무~아미타불~

 

일체(一切) 불유(不留)라도 환유견(還有見)이다. ‘일체 모든 것을 자기는 가지고 있지 않다. 머무르지 않다해도머물 자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 하는 견해가 오히려 있는 것이고,

요무가기상존지(了無可記尙存知). ‘전혀 기약한 것이, 기약한 욕심이 없다 해도없다 하는 알음알이가 남아 있는 것이다 그말이여.

그것 생각이 없어’  ‘ 그것 전혀 생각이 없다 팔팔 잡아떼도전혀 생각이 없다 하는 생각이 있다 그거거든.

 

우리는 자기를 판단 점수를 매긴 데에는 후하고, 남을 점수 매길 때에는 아주 맵고 경향이 있습니다. 누구를 막론하고 그렇습니다.

자기는 후하게 점수를 매기고 관대하게 자기는 봐주고 적당하니 합리화 시켜서 자기의 잘못은 별로 잘못한 것이 아닌 것처럼 생각하고, 남이 잘못한 것은 아주 엄격하게 해서 조그만한 잘못한 것도 용납하지 않고 아주 죄를 지은 것처럼 몰아댑니다.

 

요새 한국도 사정(司正) 바람이라 해서 부정부패를 일소하기 위해서 굉장히 엄격하게 모두 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대단히 좋은 일이고, 나라를 만들고 세계에 으뜸가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서는 그런 엄격한 사정이 필요하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법으로만 엄격히 다스린다고 해서 나라가 정말 훌륭한 나라가 되리라고는 나는 기대하지 않습니다.

 

물론 국가에서는 법을 엄격히 해야 하고, 하기는 하되 국민 자신들이 스스로 자기를 사정(司正) 하고, 자기의 잘못을 참회하고, 과거의 잘못은 참회하고 앞으로는 그렇게 아니할 것을 스스로 자각(自覺)하고 맹세를 하면서 다스려 나가야지, 자각이 없이 국가에서 법만 엄격히 한다고 해서 그것은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관공리의 부정부패, 대소 기업가의 부정부패, 그러한 것도 대단히 중요하지만 산승(山僧) 정말 주장하고 싶은 것은 자연을 오염시키는 일인 것입니다.

 

강과 바다, 산과 우리 주변을 오염시키는 . 생활 쓰레기, 생활 폐수, 공장에서 나오는 쓰레기, 공장 폐수, 그리고 자동차에서 나오는 모든 매연, 그런 것들은 물론 법도 엄격하게 해야 하겠지마는,

이것은 사람 사람이 자각을 해서 있으면 생활 폐수를 줄이고, 생활 쓰레기를 줄이고, 바다에 가거나 산에 가거나 그것을 오염을 시키지 않도록 주의를 한다면 그것은 그렇게 크게 돈이 드는 것도 아니고, 크게 힘이 드는 것도 아닙니다.

 

오히려 그것을 자각해서 자발적으로 사람 사람, 집안 집안이 노력을 한다면은 개인적인 재산, 국가적인 재산도 몇십 조에 달하는 엄청난 경제적인 손실을 막을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장보는 것으로부터, 음식을 장만하는 것으로부터 장만한 음식을 적당하니 장만하고, 장만했으면 그것을 먹을 때에 상에다가 잔뜩 차려 놓고 그냥 먹고서 남은 것은 갖다가 버리는, 그렇게 하는 아니고, 절에서처럼 장만한 것을 식탁에다가 갖다 놓고 각자 그릇을 가지고 거기서 덜어다가 먹는 거거든.

숟가락과 젓가락을 그릇에다 꽂아 놓고 거기서 먹을 만큼 덜어다 먹고, 그것이 절에서는 발우공양(鉢盂供養) 하지마는 평식기(平食器)로서 부페(buffet)식으로 그렇게 먹는다면 흐르는 그것 때문에 요새 야단인데, 그것은 당장! 없어질 것입니다.

 

그리고 경제적으로 얼마나 손실을 막은 것이 되며, 뿐만 아니라 위생적으로도 대단히 좋은 방법입니다. 삼천 전에 부처님으로부터서 오늘날까지 절에서는 법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불법(佛法) 믿고, 불법을 좋아한다면은 오늘부터서라도 여러분 가정에 가서 부페식으로 식사를 하시기를 권고를 하는 것입니다.

 

3천만, 4천만 민족이 그렇게 하면 좋지마는 우선 우리 불법을 믿는 불교 신자들, 특히 법보가족 여러분들만이라도 우선적으로 하신다면, 그렇게 해서 친구한테도 권하고, 형제간한테도 권하고, 사돈네한테도 권하고, 이렇게 해서 이것이 요원(燎原) 불길처럼 번져 나간다면 우리의 강은 그렇게 오염이 되지 않고, 생활 쓰레기로 인해서 문제는 당장 없어질 것입니다. 여러분 가정에서 그렇게 하고.

식당에서도 잔뜩 상다리가 부러지도록 차려놓고, 끼적거려 놓고 일부 10분의 1 먹고 버리게 되니, 그것을 아깝다고 다음에 오는 손님한테 쓱쓱 가지고 내놓아도 그것이 못쓸 것이고, 그것을 쓰레기통에다가 아낌없이 버린다 하더라도 그것이 자연을 오염시키고, 결국은 나라를 갖다가 사람이 수가 없는 곳으로 만들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강물이 오염이 되고, 식수가 오염이 되고, 바닷물이 오염이 되면 우리는 무엇을 먹고살며, 우리의 후손들에게 나라 금수강산(錦繡江山) 그러한 사람이 없는 곳으로 만들어서 우리 후손한테 물려줄 것입니까?

 

우리도 금방 바꿔서 다시 땅에 태어날 확률이 많은 것입니다. 우리가 버린 쓰레기로 인해서, 생활 폐수로 인해서, 생활 쓰레기로 인해서, 우리가 나중에 태어나 봤자 기형아로 태어날 것이며, 병신(病身)으로 태어날 것입니다. 자업자득(自業自得)이요, 자작자수(自作自受)거든.

이러한 불을 보는 것보다도 확실한 것을 깨닫지를 못한다면 그러한 사람이 어떻게 확철대오를 수가 있겠습니까. 어떻게 문화 민족이 되며, 문화를 사랑하고 문화인이라고 자처할 수가 있는 것입니까.

 

자리에 모이신 여러분! 정말 댁에 돌아가시거든 부페식을 하고, 자기의 밥그릇과 찬그릇은 밥풀이 하나도 없이, 찬도 남은 것을 깨끗이 긁어서 잡수시고, 숭늉을 조금 넣어서 깨끗이 이렇게 가셔서 먹으면, 설거지할 맑은 물로 헹구기만 하지, 별로 씻을 것도 없을 것이다 그말이여.

그러니 설거지물이 흘러서 흘러서 강으로 하천으로 내려간다 해도 강물이 맑을 것이다 그말이여.

 

해인사나 통도사나 범어사, 대흥사, 천육백 전부터 절이 내려왔지마는, 지금 관광지가 되어가지고 관광객들이 와서 더럽히지, 스님네가 오래 살아 가지고 강물이 더러워지지 않았습니다.

 

자리에 모이신 분은 산승이 이렇게 여러 차례 걸쳐서 말씀을 했습니다. 오늘도 다시 말씀을 것은 신토불이(身土不二). 우리가 살고 있는 땅덩어리나, 우리의 몸뚱이나, 우리의 마음이 가지가 따로따로 있는 같지만 하나인 것입니다.

우리의 마음이 바로 몸뚱이이고, 마음과 몸뚱이가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땅덩어리인 것입니다. 우리가 그렇게 인연을 지어서 땅에 태어났고 땅에서 우리는 살고 있는 것이고, 우주법계도 또한 우리 마음에서 나와서 이렇게 벌어진 것이라고 부처님은 말씀을 하신 것입니다. 나도 역시 그렇게 믿습니다.

 

그렇다면은 우리의 마음을 깨끗이 해서 부처님을 만들고자 한다면, 우리의 몸도 십선계(十善戒) 지켜서 깨끗이 간직을 해야 하고, 나가서는 강산, 우리의 땅덩어리도 맑고 깨끗한 강토로 우리가 지켜나가고 유지해 나가야 것입니다.

 

말씀을 듣고 옳다고 생각하시고, 우선 부페식을 하겠다고 마음에 다짐을 가지신 분은 손을 한번 들어 보셔? 좋습니다!

남이 하고 하고 하는 것을 우선 따지시지 말고, 나부터 해야 하는 것입니다. 집에서 부페식으로 공양을 하시고 나면 기분이 좋을 것입니다. 나로 인해서 강물이 오염이 되지 않고, 바다가 오염이 되지 않을 것이니 그거 하나만 지키면 다른 것도 자연히 그렇게 하게 되는 것입니다.

 

나로 인해서 다른 사람을 좋게 해줘야 그것이 보살도(菩薩道) 불법(佛法)이지, 나로 인해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고 손해를 끼치는 일을 해서는 아니 되거든.

더군다나 나라가 남의 나라가 아니고 나라인데, 어찌 우리가 조그마한 하나를 주의(注意) 하면, 그리고 사람이 함으로써 사람이 하게 되고, 사람이 사람이 되고,

 

이뭣고?’ 열심히 하는 아니라, 우리의 몸과 우리가 살고 있는 땅도 길이 하나 일진대는, 자기 방에다가화장실에 가서 용변을 하고, 에이! 추우니까 나가지 말고 방에다가 그것을 가지고 그냥 방구석에다가 놔둔다면 그거 어떻게 되는 것입니까?

생활 폐수를 마구 버린 사람은 방안에서 아랫목에서 먹고, 윗목에서 누는 사람이나 마찬가지다 그말이여.

 

그러니까 우리는 그렇게 해서 정말 불법을 믿는 사람은 다르구나! 자기가 생각해도 흐뭇하고, 남이 보더라도 () 있도록 이렇게 한다면은, 불법이 죽어서 극락 가는 것이 목적이 아니고, 우리가 살고 있는 땅을 불국토(佛國土) 만들어 나가는 것이 우리의 최상승법(最上乘法) 것입니다.

 

우리의 마음은 바로 그것이 진여불성(眞如佛性)이고, 몸뚱이는 바로 육근(六根) 통해서 방광(放光) 하는 불신(佛身) 되는 것이고, 몸이 살고 있는 땅은 적광토(寂光土)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불법은 좋고, 최상승법은 불법 중에서도 가장 가깝게 우리는 그것을 느끼고, 그것을 행하고, 그것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고가전지비친도(故家田地非親到)하면, 옛집 전지(田地) 땅에옛집 땅이라 하는 것은 우리의 본분(本分), 진여(眞如) 불신(佛身) 말하는 것입니다. 부처님이 깨달으신 바로 , 조사와 선지식들이 깨달으신 바로 땅이 고가전지(故家田地) 것입니다.

고가전지에 몸소 경지에 이르지 않는다면, 화병하증요득기(畵餠何曾療得饑)이요, 그림으로 그려놓은 떡이 어찌 그것을 보기만 가지고 요기(療飢), 배고픈 것을 면할 수가 있겠느냐?

 

직접 떡을 먹어야지, 그림으로 그려놓은 떡을 가지고는 배가 부를 수가 없는 것처럼, 밤낮 경을 보고, 염불을 하고, 법회 때마다 법문을 듣고법문을 들을 때는 , 마음도 조용해지고 기쁜 마음으로 하지만, 집에 돌아가면 아무 소용없고 옛날과 마찬가지로 그렇게 산다면은 그것이 그림의 떡이나 마찬가지다 이거거든.

이것을 직접 마음으로 행하고, 몸으로 실천을 하고, 그렇게 해서 우리가 다같이참나 깨닫도록.(51~6947)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일체불유환유견~’ ; [신심명(信心銘) 벽의해(闢義解)] 중봉 명본선사(中峰 明本禪師) (명정 역주, 극락선원,2014) p205 참고. *(頻伽藏本)天目中峰和尚廣錄 卷第十二之下 信心銘闢義解下 게송 참고.

*사정(司正 맡을 /바를 ) ; 잘못된 일을 다스려 바로잡음.

*자각(自覺) ; ①자신의 형편이나 처지, 본분 따위를 스스로 깨달음. ②자기 자신을 의식하는 상태. ③자신의 생각과 언행에 대하여 그것이 진리성과 성실성이 있는지 자신을 반성하는 . [불교] 삼각(三覺) 하나. 스스로 깨달아 증득(證得) 알지 못함이 없는 또는 중생이 자신의 미망(迷忘)에서 벗어나 스스로 진리를 깨달음을 이른다.

*평식기(平食器) ; 평범한 식기. 평범한 그릇.

*뷔페(buffet) ; 여러 가지 음식을 식탁에 차려놓고 손님이 스스로 골라 덜어 먹도록 식당.

*요원(燎原 화톳불·태울·들불 /언덕· ) ; 불타고 있는 벌판.

*금수강산(錦繡江山 비단 /수놓을 / / ) ; 비단(緋緞) () 놓은 매우 아름다운 산천. 함경북도 북쪽 끝에서 제주도 남쪽 끝까지 3,000리가 되는 우리나라의 자연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자업자득(自業自得)자기[] 저지른 일의 결과[] 스스로[] 돌려받음[].

스스로 저지른 결과 뜻으로 많이 쓴다. 과거, 전생의 선악(善惡) 인연에 따라 뒷날 길흉화복(吉凶禍福) 갚음을 받게 된다는 뜻의 인과응보(因果應報)에도 자업자득의 뜻이 들어 있다자작자수(自作自受), 자업자박(自業自縛) 같은 뜻이다.

*십선계(十善戒) ; () () 마음()으로 짓는 10가지 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 망어(妄語), 기어(綺語), 악구(惡口), 양설(兩舌), 탐욕(貪慾), 진에(), 사견(邪見)— 짓지 않겠다고 결심함.

*십악(十惡) ; () () ()으로 짓는 가지 죄악.

〇몸()—①살생(殺生 살아 있는 생명을 죽임) ②투도(偸盜 남의 재물을 훔침) ③사음( 삿된 음행).

〇말()—④망어(妄語 거짓말이나 헛된 ) ⑤기어(綺語 진실이 없는, 교묘하게 꾸민 ) ⑥양설(兩舌 이간질하는 ) ⑦악구(惡口 남을 괴롭히는 나쁜 , ).

〇뜻()—⑧탐욕(貪欲 탐내어 그칠 모르는 욕심) ⑨진에( 성냄) 사견(邪見 그릇된 견해).

*보살도(菩薩道) ; ①보살의 수행. 보살이 자리이타(自利利他) 갖추어 깨달음에 이르는 . ②대승불교.

*주의(注意 물댈·마음을 쏟을 / ) ; ①마음에 새겨 두고 조심함. ②집중을 요하는 일이나 장소에 정신을 한데 모음. ③경고나 충고의 뜻으로 일깨움.

*아랫목 ; 구들을 놓아 불을 때서 난방을 하는 온돌방에서, 아궁이에 가까운 쪽의 방바닥. 불을 때면 먼저 데워지는 부분.

*웃목 ; 윗목. 구들을 놓아 불을 때서 난방을 하는 온돌방에서 위쪽 방바닥. 아궁이에서 멀고 굴뚝에 가까운 쪽이다.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진여(眞如) ; ①차별을 떠난,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 ②궁극적인 진리. ③모든 분별과 대립이 소멸된 마음 상태. 깨달음의 지혜. 부처의 성품. ④중생이 본디 갖추고 있는 청정한 성품.
*
불성(佛性) ; ①모든 중생이 본디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 부처가 있는 소질·가능성. ②부처 자체. 깨달음 자체.

*육근(六根) ; 육식(六識) 경계(六境) 인식하는 경우 소의(所依) 되는 여섯 개의 뿌리. 대경(對境) 인식하게 하는 근원적 요소. 심신을 작용하는 여섯 가지 감각기관으로서, (眼根(耳根(鼻根(舌根(身根(意根) 총칭이다.

산스크리트어 ṣaḍ-indriya () 기관·기능을 뜻함. 육입(六入), 육처(六處), 육적(六賊), 육문(六門)이라고도 한다.

*방광(放光) ; 빛을 . 또는 . ②부처님이 광명(光明 밝고 환한 ) .

*불신(佛身) ; 부처님의 육신. 부처님의 신체. 부처님 .

*적광토(寂光土) ; 상적광토(常寂光土). 상적광(常寂光). 법신불(法身佛) 머무르는[] 정토(淨土).

상적광토는 이상(理想) 현실(現實), (:) (:) 본래(本來:) 일체(一體) 세계로 그것은 여기와 저기, 차안(此岸) 피안(彼岸) 넘어 체득되는 참된 절대계(絕對界)이고, 상주(常住) 정토(淨土)이다.

*본분(本分 근원·마음·본성 /신분· ) ; 자신이 본래부터 지니고 있는, 천연 그대로의 심성(心性).

부처라, 중생이라하는 것은 꿈속에서 하는 말이다. 본래 어둡고 밝고 알고 모를 것이 없으며, 온갖 속박과 고통을 새로 끊을 것이 없고, 대자유(大自由)• 대해탈(大解脫) 비로소 얻는 것도 아니다. 누구나 본래부터 그대로 부처인 것이다. 그러므로 '근본 깨달음(本覺)'이라기도 하는데, ‘선가귀감첫구절에서 말한 '   일원상(一圓相)' 이것을 나타냄이다.

*요기(療飢 병고칠 / 굶주릴 ) ; 적은 양의 음식으로 시장기(시장氣, 배가 고픈 느낌) 면함.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