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일념삼천2018. 2. 20. 09:36

*일념삼천(一念三千) ; 일념삼천이란, 우리의 일념(一念) 가운데 삼천(三千)의 세계가 갖춰진다는 천태사상의 세계론이다.

 

[참고] 『마하지관(摩訶止觀)』 (隋天台智者大師說 | 門人灌頂記) 제5권(上)

夫一心具十法界 一法界又具十法界百法界 一界具三十種世間 百法界卽具三千種世間 此三千 在一念心 若無心而已 介爾有心卽具三千

 

일심이 십법계를 갖추고, 하나의 법계에는 또한 십법계를 갖추어 백법계가 되며, 백법계 중 하나의 법계가 각각 30종류의 세간(五陰 · 衆生 · 國土 등 3세간에 각각 十如是가 갖추어져 있어 30세간이 된다)을 갖추므로 백법계는 3천종의 세간(世間)을 갖춘다.

이 삼천세간이 한 생각하는 찰나의 마음에 달려 있다. 마음이 없다면 그만이지만 조금이라도 마음이 있다면 삼천세계를 갖춘다.

 

*십법계(十法界) ; 열 가지 법계. 십계(十界)라고도 한다. 세계를 중생의 미혹과 깨달음의 정도에 따라 10종으로 분류하여, 지옥 · 아귀 · 축생 · 수라 · 인간 · 하늘[天]의 미혹한 세계[迷界 : 六途]와 성문 · 연각 · 보살 · 불(佛)의 깨달음의 세계[悟界]로 나눈 것이다.

 

(5분 57초)

 

[법문] 송담스님(No.356)—88년 4월 첫째일요법회(1988.04.03)(용356)

 

한번 화두(話頭)를 타고, 불명(佛名)을 타고 화두를 타서 정진을 시작을 하면 귀로 모든 소리를 듣되 벙어리와 같고, 귀는 열려 있지마는 귀는 열려 있어서 무슨 소리가 들린다 하더라도 귀머거리와 같고, 입은 열려 있어서 부득이해서 무슨 말을 한다 하더라도 속으로는 아주 벙어리와 같이, 이렇게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어째서 귀머거리가 되고 벙어리가 되어야 허냐 하면, 들을 소리 다 듣고 거기에 온갖 분별을 다 내고, 입이 열려 있다고 해서 온갖 말참견 다 하고 온갖 잡담으로 세월을 보내고, 그래 가지고 그러면서 어느 겨를에 화두를 들며, 들다말다 귀로는 온갖 시비에 다 참견하고, 입으로는 온갖 시비 다 참견하고 그러면서 어떻게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될 수가 있겠느냐 그말이여.

 

신기하고도 묘한 것이 우리의 그 일념(一念) 속에는 십법계(十法界)가 갖추어져 있어. 그리고 일법계(一法界) 속에 또 다시 십법계가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일념(一念) 속에 백법계가 갖추어져 있는 것이 되는 것이여.

그런데 그 일법계 속에는 30종의 세간(世間)이 들어 있는데, 따라서 백법계에는 삼천 종의 세간이 들어 있다 그말이여.

 

결론적으로 일념 속에 삼천 가지의 세간이 들어 있다. 그러니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가 바로 일념 속에 들어 있다 그말이거든.

그 일념 속에 삼천대천세계가 들어 있는데 하루에 몇 생각이 일어나냐 그말이여.

 

눈뜨자마자 끝없는 생각이 일어났다가 얼마동안 딴 생각으로 이렇게 발전을 하다가 결국은 그 생각이 또 변해서 또 꺼지면은 꺼지자마자 또 따로 새 생각이 일어나고, 거의 단 1분 1초도 쉴 사이 없이 끊임없이 생각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데 그 생각 속에 삼천 가지, 삼천 종의 세간이 갖추어져서 같이 휘몰아친다 그말이여.

그렇게 살아오기를 무량겁을 살아왔으니 그 생각을 안 할려고 한다고 해서 안 해질 수가 없는 것이여.

 

공부를 올바르게 할 줄 모르는 사람은 그 생각을 안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 애를 쓰고, 그래도 생각이 일어나면은 짜증을 내고 그러는데.

그 생각을 없앨려고 한다고 해서 없어지는 것도 아니고, 누를라고 헌다고 해서 눌러지는 것도 아니고 무장 더 일어나는 것이여.

 

그 생각을 어떻게 다스려 나가야 하느냐?

‘이뭣고?’

 

좋은 생각이 일어나도 ‘이뭣고?’ 악한 생각이 일어나도 ‘이뭣고?’ 슬픈 생각이 일어나도 ‘이뭣고?’ 원망하는 생각이 일어나도 ‘이뭣고?’ 오직 ‘이뭣고?’

생각 일어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오직 ‘이뭣고?’ 빨리 챙기는 것에다가 정성을 쏟으라 그말이여.

 

하루를 그렇게 살고, 이틀을 그렇게 살고, 열흘을 그렇게 살아. 한 달 두 달을 해도 조금도 공부가 더 나아진 것 같지 않아. 석 달 열흘을 살아도 공부가 더 나아간 것 같지도 않아. 일 년, 이태, 삼 년을 한다고 해도 공부가 그렇게 썩 그렇게 순일하게 잘된 것 같지 않다 그말이여.

그래도 그 짜증을 낼 일도 아니고 또 포기를 해서도 안 된다 그말이여.

 

번뇌(煩惱)와 망상(妄想)이 일어나는 것이 너무나 당연한 것이지, 안 일어나는 것이 오히려 이상하다 그말이여.

 

당연한 것을 당연한 걸로 받아들이고 바르게 대처만 해나가면 될 것을 자꾸 그 일어난 것을 갖다가 성화를 내고 짜증을 내고 ‘내가 이 공부를 잘못해서 그런 것이 아니냐? 내가 참선을 헐 복이 없어서 그런 것이 아니냐?’하고 한탄을 하는데 그것은 아무 소용이 없는 일입니다.

 

자꾸 화두를 들어.(44분14초~50분11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불명(佛名) ; 법명(法名). ①출가하여 절에서 행자(行者)로서 일정 기간 동안 수행한 뒤, 계(戒)를 받을 때 스승이 지어 주는 이름. ②스님이 불법(佛法)에 귀의(歸依)한 남녀신자에게 지어 주는 이름.

[참고] 송담스님(No.470)—92년 4월 첫째 일요법회

불법(佛法)에의 깊은 인연으로, 발심(發心)해서 진리를 향해서 살아가는 부처님의 아들딸로 새로 태어났기 때문에 그런 의미로 불보살(佛菩薩)의 이름을 따서 불명으로 받는다. 더 철저히 말하면 그때마다 불명을 받을 수는 없지만, 참선 수행을 통해서 하루하루 새로 태어나야 하고 시간마다 새로 태어나야 한다.

*타성일편(打成一片) : ‘쳐서 한 조각을 이룬다’ 참선할 때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화두가 들려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일체처 일체시에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만이 독로(獨露)한 순수무잡(純粹無雜) 경계.

*일념삼천(一念三千) ; 일념삼천이란, 우리의 일념(一念) 가운데 삼천(三千)의 세계가 갖춰진다는 천태사상의 세계론이다.

[참고] 『마하지관(摩訶止觀)』 (隋天台智者大師說 | 門人灌頂記) 제5권(上)

夫一心具十法界 一法界又具十法界百法界 一界具三十種世間 百法界卽具三千種世間 此三千 在一念心 若無心而已 介爾有心卽具三千

 

일심이 십법계를 갖추고, 하나의 법계에는 또한 십법계를 갖추어 백법계가 되며, 백법계 중 하나의 법계가 각각 30종류의 세간(五陰 · 衆生 · 國土 등 3세간에 각각 十如是가 갖추어져 있어 30세간이 된다)을 갖추므로 백법계는 3천종의 세간(世間)을 갖춘다. 이 삼천세간이 한 생각하는 찰나의 마음에 달려 있다. 마음이 없다면 그만이지만 조금이라도 마음이 있다면 삼천세계를 갖춘다.

 

*일념(一念) ; 범부가 현실의 일상생활에서 일으키는 아주 미세한 미혹으로서 생각하는 마음을 뜻한다. 따라서 이 일념은 진여심(眞如心)이 아니라 중생심(衆生心)의 일념이다.

*십법계(十法界) ; 열 가지 법계. 십계(十界)라고도 한다. 세계를 중생의 미혹과 깨달음의 정도에 따라 10종으로 분류하여, 지옥 · 아귀 · 축생 · 수라 · 인간 · 하늘[天]의 미혹한 세계[迷界:六途]와 성문 · 연각 · 보살 · 불(佛)의 깨달음의 세계[悟界]로 나눈 것이다.

*십계호구(十界互具)란 십계 속에 또 각각 십계가 갖춰져 있다는 사상이다. 말하자면 인간계 가운데, 지옥계에서 부처님[佛]의 세계까지 내재해 있다는 것이다.

즉, 아무리 훌륭한 인간이라도 선한 마음과 악한 마음이 내재해 있고, 아무리 악한 사람이라도 악한 마음과 동시에 착한 마음이 있다는 뜻이다. 가능성으로서 모든 세계는 그 내면에 모든 다른 세계를 갖추고 있으며, 다만 그 많은 세계 가운데 인간 혹은 다른 한 세계가 현실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을 뿐이다.

*삼세간(三世間) ; 세 가지로 분류한 세간. 삼종세간(三種世間)이라고도 한다. 중생의 색과 마음 등 모든 법을 색수상행식(色受想行識), 오온이 이루는 세간인 오온세간(五蘊世間, 五陰世間)과 중생이 의탁하고 사는 국토인 국토세간(國土世間), 그리고 중생세간(衆生世間)은 오온으로 이루어진 가명의 중생들이 각각 차별된 특성을 가지는 세간을 가리킨다.

*세간(世間) ; (산스크리트어 loka) 세(世)는 파괴·변화, 간(間)은 가운데·간격을 뜻함.

① 변하면서 흘러가는 현상계. ② 생물들의 세계. ③ 생물들이 거주하는 자연 환경, 곧 산하대지. ④ 세상. 이 세상. 세속. ⑤ 산스크리트어 saṃsāra 미혹한 세계. ⑥ 육내입처(六內入處), 또는 십이처(十二處)를 말함.

*십여시(十如是) ; 제법의 실상을 상(相) · 성(性) · 체(體) · 역(力) · 작(作) · 인(因) · 연(緣) · 과(果) · 보(報) · 본말구경등(本末究竟等) 등 10가지 범주로 나타낸 것. 다르지 않으므로 여(如)라고 하며, 어긋남이 없으므로 시(是)라고 한다. 부처님의 세계에서 지옥까지의 10가지 세계[十法界] 각각에 십여시가 갖춰져 있다.

①여시상(如是相) : 표면에 나타난 모양. ②여시성(如是性) : 변함 없는 내면의 바탕. ③여시체(如是體) : 바탕과 모양을 갖추고 있는 주체. ④여시력(如是力) : 주체 내면에 잠재한 힘. ⑤여시작(如是作) : 내면적 힘이 밖으로 나타난 작용. 조작. ⑥여시인(如是因) : 작용에 필요한 직접적인 제일원인. ⑦여시연(如是緣) : 인(因)을 도와 과(果)를 낳게 하는 간접적인 보조 원인. ⑧여시과(如是果) : 인연으로 말미암아 맺어진 결과. ⑨여시보(如是報) : 과(果)에 의해 일어나는 갚음[報]. ⑩여시본말구경등(如是本末究竟等) : 상(相)부터 보(報)까지의 9여시(九如是)가 모두 동등한 실상이어서 궁극[究竟]에는 평등(等)하다는 뜻을 나타낸다.

 

삼천의 세계가 나오게 된 자리가 마음이 없다면 모르되 티끌만큼이라도 마음이 있다면 순간의 일념에도 반드시 삼천의 세계를 갖추며, 그 삼천의 세계가 그대로 미혹한 세계도 되고 깨달음의 세계도 된다는 것이 곧 일념삼천설(一念三千說)이다.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 줄여서 삼천세계(三千世界)라고도 함. 온갖 세계. 수없이 많은 세계. 하나의 우주 전체. 다할 수 없이 넓은 우주. 하나의 삼천세계(三千世界)가 하나의 부처님이 교화하는 범위라 한다.

*무장 ; ‘더욱, 한사코’의 사투리.

*이뭣고(是甚麼 시심마) : ‘이뭣고? 화두’는 천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어떤 일이 일어난 그 자리)를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 ‘이것이 무엇인고?’ 이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 ‘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는 일곱 자(字)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이, 뭣, 고’ 석 자(字)이다. ‘이뭣고?(이뭐꼬)'는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그 뜻은 그 속에 다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을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해 왔다.

*번뇌(煩惱 번거러울 번/괴로워할 뇌) ; ①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어지럽히고[煩亂, 煩勞, 煩擾] 괴롭혀 고뇌케[逼惱, 惱亂] 하므로 번뇌(煩惱)라 표현. 근원적 번뇌로서 탐냄(貪)•성냄(瞋)•어리석음(癡) 등이 있다.

②나라고 생각하는 사정에서 일어나는 나쁜 경향의 마음 작용. 곧 눈 앞의 고(苦)와 낙(樂)에 미(迷)하여 탐욕•진심(瞋心)•우치(愚癡)등에 의하여 마음에 동요를 일으켜 몸과 마음을 뇌란하는 정신 작용.

불교는 중생의 현실을 혹·업·고(惑·業·苦)의 삼도(三道)로 설명한다. 즉 번뇌[惑]에 의해 중생이 몸과 마음의 행위[身口意 三業]를 일으키게 되면, 이로써 3계 6도의 생사윤회에 속박되어 고통[苦]의 과보를 받게 된다.

*망상(妄想 망령될 망/생각 상) ; ①존재하지 않는 것을 존재하는 것으로 상정하고 집착하는 의식의 작용. 분별(分別), 망상분별(妄想分別), 허망분별(虛妄分別), 망상전도(妄想顚倒) 등으로도 한역한다. ②이치에 맞지 아니한 망령(妄靈)된 생각[想]을 함, 또는 그 생각. 잘못된 생각. 진실하지 않은 것을 진실하다고 잘못 생각하는 것.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