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공양(하는 법)2020. 2. 27. 18:48

공양(No.685)—선방을 외호하는 소임자는 음식 등, 모든 것에 대해서 정성을 다해서 잘 외호를 해 드려야 합니다 | 공양하는 법 | 入衆五法.

 

*공양(供養 이바지하다·받들다·모시다·바치다 공/기르다·공양하다 양) ; ①불(佛)•법(法)•승(僧)의 삼보(三寶)나 스승, 부모, 영가에 음식, 옷, 약, 꽃, 향 등을 바침.

②스님들의 식사를 공양이라 하는데, 이것은 스님들은 시주(施主)의 공양물로 생활하기에 공양을 올리는 이[施主]의 시은(施恩)을 상기하여 잊지 않게 하고자 함이다.

③신구의(身口意) 세 가지 방법으로 하는 공양으로 삼업공양(三業供養)이라 한다. 자세[身]를 낮추어서 삼가고 공경하는 예를 갖추는 공경, 입[口]으로 훌륭함을 기리는 찬탄, 오로지 마음[意]을 쏟는 존중이다.

 

(8분 5초)

 

[법문] 송담스님(No.685)—2004년 하안거결제 법문(04.06.02) (용685)

 

그 철에 소임자는 어쨌든지—여기에서 말한 소임은 첫째는 주지나 원장이요, 원주(院主)나 총무 · 교무 · 재무요 또는 공양주(供養主)나 채공(菜供)이나 별좌(別座)나 모다 이러한 이 선방을 외호(外護)하는 그런 소임자—정성을 다해서 음식에 대해서나, 모든 것에 대해서 진실로 마음에서 우러나서 정성을 다해서 신심으로 잘 외호를 해 드려야 할 것입니다.

 

'어째서 소임자만 그 무슨 빚이 져서 외호만 그렇게 잘해야 하냐?' 혹 그런 생각을 생각할는지 모르나, 현재 선방에서 방부를 들이고 정진하는 스님네는 과거에 다 그런 소임을 거쳐서 외호를 하다가 또 발심(發心)을 해서 선방에 나오셨을 것이고, 그러니 지금 소임을 보고 있는 스님도 앞으로 소임을 내놓고 걸망을 지고 나가면 또 선방 대중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소임자는 선방 정진 대중스님네를 그렇게 정성을 다해서 외호를 다 해야 하는 것이고, 그렇게 함으로써 선방 스님네가 정진을 잘 하시게 되어가지고 도업(道業)을 성취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선방 방부 들이고 정진하는 스님네는 어떻게 해야 하느냐?

죽이면 죽, 밥이면 밥, 국수면 국수, 만두면 만두, 찰밥이면 찰밥, 들어오는 대로 말없는 가운데에 화두(話頭)를 들고 정진하면서 잘 씹어서 과식(過食)하지 말 것이며, 속식(速食)하지 말 것이며, 적당하니 공양(供養)을 받아 가지고 잘 씹어서 그 공양이 소화가 잘되도록, 그래야 정진하는 데 지장이 없는 것입니다.

 

국수가 들어오면 좋아한다 해 가지고 몇 사람 몫을 옆구리가 퍼지고 목에다 손가락을 넣으면 묻어나올 정도로 그걸 먹어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먹고 나서는 끅끅 트림을 하고 소화제를 먹고 그것은 올바른 공양법이 아닙니다.

자기가 좋아하는 음식이 들어와도 찰밥이면 찰밥, 국수면 국수, 만두면 만두, 좋아하는 음식이 들어올수록에 팔부(八部)쯤만 받아. 조금 더 먹고 싶어도 적당한 선에서 먹고 그것도 잘 씹어서 먹고 뱃속이 편안해야 정진이 되는 것입니다.

 

뱃속이 불안해 가지고는 절대로 정진이 되지 않습니다. 끌끌거리고 트림이 올라오고, 트림이 나올라다 들어가고 뱃속이 부글부글 끓고 그래가지고 화장실을 노상 드나들고 그래 가지고서는 최상승법(最上乘法)에 의지해서 수행을 해 가지고 도업을 성취하려는 그런 지혜 있는 사람이라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이런 말씀은 유치원 학생들한테 한 말이지 최상승법을 닦는 대덕 스님네나 참선하신 그런 스님네께 해당사항이 아니라고 혹 그렇게 생각할는지 모르나, 산승도 일찍이 걸망(乞網)을 지고 다닌 때가 있었기 때문에 나 자신도 그렇고 옆에 모다 정진하는 스님네 하는 모습을 보고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이런 말씀을 하게 됩니다.

 

한마디로 말해서 걸망을 지고 선방에 다닌 스님네는 참 훌륭하고 거룩하고 뒤에다 대고도 절을 하고 싶고, 저절로 합장이 되고 전부 훌륭한 스님네인 것은 사실이나, 다른 어떤 면에서 보면 철이 하나도 안 났습니다. 금방 먹고 배탈 날 것을 전혀 생각지 않고 잔뜩 먹고, 그리고도 고생을 하고도 그다음에 또 국수를 보면 자제를 못합니다.

너무 천진하고 너무 단순해 가지고 아무도 말릴 수가 없습니다. 그러한 면이 선객(禪客) 스님네한테는 있는 것을 내가 너무나도 잘 알기 때문에 한 철 장애 없이 정진하시기를 바라는 뜻에서 이런 말씀을 드립니다.

 

공양(供養)을 잘 자셔야 정진이 되지, 과식하거나 속식하거나 무리하게 그렇게 잔뜩 먹고는 도저히 정진할 수가 없습니다. 하루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며칠씩 그 여독(餘毒)이 가기 때문에 음식에 대해서 조심을 하셔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공양주 · 채공은 말할 것도 없고, 원주 · 별좌 스님도 정성을 다해서 공양을 올려야 그 공양을 잡숫고 스님네가 배탈이 안 나지, 공양주나 별좌나 채공이나 원주 그런 스님네가 정성 없이 툴툴거리면서 불평불만으로 그럭저럭해서 공양을 올리면 그 공양을 잡숫고 배탈이 많이 나는 것입니다.

 

그래서 소임을 보신 스님네도 정성을 다해서 공양을 만들고 그리고 받들어야 하는 거고, 선방 스님네는 정말 그러한 정성을 다 잘 알아서 감사한 마음으로 말로써는 표현은 안 하더라도 적당량을 잘 저작(咀嚼)을 해서 잘 공양을 해야 그래서 배탈이 안 나고 정진을 잘하셔야 그래야 그 정진한 사람에 대한 보답이 되는 것입니다.

이런 말씀들이 『치문(緇門)』 소임장에 보면 소상히 적혀 있어서 여러분은 다 그것을 줄줄, 강원(講院)을 나오신 분은 다 외우고 계실 줄 압니다마는 외우면서도 실지로는 실천하기가 어렵거든요. 그래서 이런 말씀을 결제에 말씀을 드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한 가지 아까 이 「하심(下心)을 하고, 자비심(慈悲心)을 가지고, 공경심을 가지고, 차제(次第)를 알고, 불설여사(不說餘事) 하라」고 말씀을 했습니다마는. 절에 와서 특히 선방에 와서, 비구 선방에나 비구니 선방이나 보살선방(菩薩禪房)이나 전부가 해당이 되는 말입니다.(17분14초~25분18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원주(院主) ; 후원(後院, 절에서 부엌을 일컫는 말)을 책임지는 소임. 또는 그 일을 맡은 스님.

*공양주(供養主) ; 절에서 밥을 짓는 소임, 또는 그 일을 맡은 스님.

*채공(菜供) ; 절에서 반찬을 마련하는 소임, 또는 그 일을 맡은 스님.

*별좌(別座) ; 절에서 식사·의복·방석·이부자리 등을 담당하는 직책, 또는 그 일을 맡은 스님.

*외호(外護) ; 불법(佛法)을 세상에 널리 퍼뜨리는데 힘이 되도록 수행하는 사람을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신(身)·구(口)·의(意)를 보호하는 것을 내호(內護)라고 한다. 내호와 외호를 합하여 이호(二護)라고 한다.

*발심(發心) ; ①위없는 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菩提心]을 일으킴[發]. ②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초발의(初發意), 신발의(新發意), 신발심(新發心), 초심(初心), 발의(發意) 등이라고도 한다. 갖추어서 발기보리심(發起菩提心),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

보리심은 모든 부처님이 부처님이 될 수 있었던 바탕이 되는 종자이고 청정한 법이 자라날 수 있는 좋은 밭이기 때문에 , 이 마음을 발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면 속히 위없는 보리를 증득한다.

*도업(道業) ; 도(道)는 깨달음. 업(業)은 영위(營爲 : 일을 계획하여 꾸려 나감). 불도(佛道)의 수행. 진리의 실천.

*방부(房付)를 들이다 ; 수행자가 절에 머물며 공부할 것을 인사드리고 허락을 구해 결제(結制)에 참가하다.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화두(공안)에는 '이뭣고?' '판치생모' '무자' '정전백수자' 등이 있다.

*속식(速食) ; 음식을 빨리 먹음.

*공양(供養 이바지하다·받들다·모시다·바치다 공/기르다·공양하다 양) ; ①불(佛)•법(法)•승(僧)의 삼보(三寶)나 스승, 부모, 영가에 음식, 옷, 약, 꽃, 향 등을 바침. ②스님들의 식사를 공양이라 하는데, 이것은 스님들은 시주(施主)의 공양물로 생활하기에 공양을 올리는 이[施主]의 시은(施恩)을 상기하여 잊지 않게 하고자 함이다. ③신구의(身口意) 세 가지 방법으로 하는 공양으로 삼업공양(三業供養)이라 한다. 자세[身]를 낮추어서 삼가고 공경하는 예를 갖추는 공경, 입[口]으로 훌륭함을 기리는 찬탄, 오로지 마음[意]을 쏟는 존중이다.

*팔부(八部)쯤만 ; 보통 양의 80% 정도 만큼.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간화선(看話禪) ; 화(話)는 화두(話頭)의 준말이다. 간화(看話)는 ‘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을 본다[看]’는 말로써,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이 화두를 관(觀)해서, 화두를 통해서 확철대오하는 간화선을 전강 조실스님과 송담스님께서는 ‘최상승법(最上乘法)’ ‘활구참선(活句參禪)’이라고 말씀하신다.

*걸망(乞網 빌다·구걸하다 걸/그물·싸다 망) ; 망태기처럼 물건을 담아서 등에 질 수 있도록 만든 자루 모양의 큰 주머니(바랑). 또는 동냥할 때 매고 다니는 베낭(배낭背囊)을 말한다.

*선객(禪客 참선 선/손님·사람 객) ; 참선 수행을 하는 사람.

*여독(餘毒) ; 몸에 남아 있는 독기.

*저작(咀嚼 씹을 저/씹을 작) ; 음식물을 입에 넣고 씹음.

*치문(緇門 검다·검은 옷·스님 치/문·집안·문벌 문) ; 『치문경훈(緇門警訓)』 불문(佛門)에 처음 든 어린 사미(沙彌)가 공부하는데 경책(警策)과 교훈(敎訓)으로 삼을 만한 중국 역대 고승(高僧)들의 글을 모아 엮은 책.

치문(緇門)은 치의(緇衣 : 스님이 입는, 회색에 가까운 괴색의 색깔로 물들인 옷)를 입은 스님의 일문(一門)이라는 뜻으로 불문(佛門)을 말한다.

*강원(講院) ; 사찰에 설치되어 있는, 불전(佛典)을 공부하는 교육 기관. 사미과(沙彌科) · 사집과(四集科) · 사교과(四敎科) · 대교과(大敎科)의 네 과정으로 편성되어 있다.

*사미과(沙彌科) ; 우리나라 전통강원의 수학 과정 중 처음으로 배우는 과목이다. 『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 · 『사미율의(沙彌律儀)』 · 『치문경훈(緇門警訓)』 · 『선림보훈(禪林寶訓)』 등을 배운다.

*사집과(四集科) ; 우리나라 전통강원의 수학 과정 중 하나로 사미과(沙彌科)를 배우고 나서 수학하는 과정이다. 곧 규봉 종밀 스님의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都序』), 대혜 스님의 『대혜선사서장(大慧禪師書狀)』(『書狀』), 보조 지눌 스님의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節要』), 고봉 원묘 스님의 『고봉화상선요(高峰和尙禪要)』(『禪要』)를 말한다.

*사교과(四敎科) ; 조선 중기 이후, 우리나라 스님들이 불경이나 그에 대한 논설 따위를 강론하고 학습하는 곳인 강원(講院)의 수학 과정 중 하나로 사미과(沙彌科) · 사집과(四集科)에 이어 배우는 과정이다. 곧 『능엄경(楞嚴經)』, 『기신론(起信論)』, 『금강경(金剛經)』, 『원각경(圓覺經)』을 이른다.

*대교과(大敎科) ; 우리나라 전통강원의 수학 과정 중 하나로 사미과(沙彌科) · 사집과(四集科) · 사교과(四敎科)에 이어 『화엄경(華嚴經)』 · 『전등록(傳燈錄)』 · 『선문염송(禪門拈頌)』 등을 배운다.

*결제(結制 맺을 결/만들·법도 제) ; 참선 수행하는 안거(安居)에 들어감. 하안거는 음력 4월 15일에 결제하며, 동안거는 음력 10월 15일에 결제한다.

*「하심(下心)을 하고, 자비심(慈悲心)을 가지고, 공경심을 가지고, 차제(次第)를 알고, 불설여사(不說餘事) 하라」 ; 입중오법(入衆五法). 대중 생활을 하면서 명심하고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덕목. ①하의(下意), 하심(下心). ②자비심(慈悲心). ③공경(恭敬). ④지차제(知次第). ⑤불설여사(不說餘事).

 

[참고] 『미사색부화혜오분율(彌沙塞部和醯五分律)』 제19권 第三分之四 ‘자자법(自恣法)' (동국역경원)

優波離問佛 若比丘入僧中 應以幾法 佛言 應以五法 一下意 二慈心 三恭敬 四知次第坐處 五不論說餘事 復有五法 不應反抄衣 不應左右反抄衣 不應扠腰 不應覆頭 應恭敬僧

 

우파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비구가 승가에 들어가려면 몇 가지 법으로 해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다섯 가지 법으로 해야 하느니라. 하나는 뜻을 낮추는 것이고, 둘은 자비심을 내는 것이고, 셋은 공경하는 것이고, 넷은 차례대로 앉는 자리를 아는 것이고, 다섯은 다른 일을 논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다섯 가지 법이 있느니라. 옷을 걷어붙이지 않아야 하고, 좌우로 옷을 걷어붙이지 않아야 하고, 뒷짐을 지지 않아야 하고, 머리를 덮지 않아야 하고, 승가를 공경해야 하느니라"

*하심(下心) ; 자기 자신을 낮추고 남을 높이는 마음. 자기의 마음을 스스로 겸손하게 갖는 것.

*자비(慈悲) ; 자(慈)는 ‘우정•친애의 생각’라는 원의(原義)로, 남에게 즐거움을 준다는 뜻, 비(悲)는 ‘연민•동정’을 원의(原義)로, 남의 괴로움을 덜어준다는 뜻. 불•보살이 중생을 불쌍히 여겨 고통을 덜어 주고 안락하게 해주려는 마음.

*차제(次第) ; 차례(次例 여럿을 선후先後 관계로 하나씩 벌인 순서).

출가하여 스님으로서의 나이,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후 출가 생활을 한 햇수를 승납(승랍 僧臘) · 법랍(法臘)이라고 하는데, 스님은 세속을 벗어났으므로 절에서는 속세의 나이로 헤아리지 않고 승납이 많은지 적은지에 따라 장유(長幼)의 순서[차제(次第)]를 정하여 왔다.

*불설여사(不說餘事 아닐 불/말할 설/나머지·정식 이외의·다른 여/일 사) ; '자기 소임 이외의 일에 대해서 말을 하지 마라' 『미사색부화혜오분율(彌沙塞部和醯五分律)』 제19권 ‘자자법(自恣法)'에 나오는 대중 생활을 하면서 명심하고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덕목인 입중오법(入衆五法)의 하나.

이 불설여사(不說餘事)라 하는 것은 자기가 어떠한 소임을 가져서 소임의 자격으로써 대중을 위해서 부득이해서 말을 할 때는 모르지만, 그렇지 않는 일에 대해서는 일절 입을 벌리지 말라 이것입니다.

 

주지로서 또는 총무로서 또는 원주(院主)로서 당연히 그 소임을 수행해 나가는데 있어서 대중 스님한테 말씀을 드려야 할 일이 있을 수가 있습니다. 그런 때는 혹 모르지만 그렇지 않은 입장에서는 일절 말을 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좋은 일을 보나, 궂은 일을 보나 오직 자기에게 주어진 소임만을 묵묵히 성실히 수행하면서 그 속에서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를 들고 열심히 정진할 뿐인 것입니다.[송담스님(No.685)—2004년 하안거결제 법문]에서.

*비구(比丘) : [범] bhikṣu  [파] bhikkhu 파리어(巴利語)를 음대로 쓴 것이다。걸사(乞士) • 포마(怖魔) • 파악(破惡) • 제근(除饉) 등으로 번역한다。남자가 출가하여 중이 되어, 이십 세 이상 된 때에 2백5십 계 되는 비구계(比丘戒)를 받은 뒤에라야 비구라고 부른다.

비구에 다섯 가지 뜻이 있는데  1. 사유 재산을 모아 두지 않고 걸식하며 지내는 것。2. 번뇌 망상을 깨뜨려 버리는 것。3. 탐욕과 분노와 우치가 불붙는 번뇌의 집에서 뛰어나는 것。4. 부처님의 계율을 깨끗하게 지키는 것。5. 외도와 악마가 무서워하는 것 등이다.

*비구니(比丘尼) ; 출가하여 불교의 구족계(具足戒)인 348계(戒)를 받고 수행하는 여자 스님. 팔리어 bhikkuni  걸사녀(乞士女)라고도 한다.

*보살선방(菩薩禪房) ; 보살선원(菩薩禪院). 스님이 수행하는 선원과 같은 기간과 방식으로 보살님(신도)들이 정진 할 수 있는 선원. 용화선원에는 스님선원, 보살선원이 있고 또 매일 언제든지 와서 정진할 수 있는 시민선원이 있다.

 

Posted by 닥공닥정
ㄱ/공양(하는 법)2017. 6. 1. 11:30

*공양(供養) ; ①불(佛) · 법(法) · 승(僧)의 삼보(三寶)나 스승, 부모, 영가에 음식, 옷, 약, 꽃, 향 등을 바침.

②스님들의 식사를 공양이라 하는데, 이것은 스님들은 시주(施主)의 공양물로 생활하기에 공양을 올리는 이[施主]의 시은(施恩)을 상기하여 잊지 않게 하고자 함이다.

③신구의(身口意) 세 가지 방법으로 하는 공양으로 삼업공양(三業供養)이라 한다. 자세[身]를 낮추어서 삼가고 공경하는 예를 갖추는 공경, 입[口]으로 훌륭함을 기리는 찬탄, 오로지 마음[意]을 쏟는 존중이다.

 

(5분 37초)

 

[법문] 송담스님(세등선원No.34)—신유년 하안거 반결제 법어(81.05.29)(세등34)

 

밥을 먹을 때 한 숟갈 떠서 입에다 넣고 그것을 씹으면서 ‘이뭣고?’하며 화두(話頭)가 현전(現前)하도록 하면서 밥을 저작(咀嚼)을 하고,

한 오십 번 내지 팔십 번 저작을 해서 밥이 완전히 죽이 되도록 씹은 다음에 거기에다가 반찬을 또 집어넣고 또 한 이십 번 이렇게 씹어서 잘 섞어 가지고 삼키고.

 

또 밥을 한 숟갈 입에다 떠 넣어서 한 오육십 번, 칠팔십 번 잘 씹은 다음에 거기다 또 반찬을 집어넣고 또 한 이십 번 씹어서 삼키고, 그렇게 공양(供養)을 해 보면 공양을 하면서도 화두가 떠억 들리고, 화두가 들린 상태에서 공양을 할 수가 있다 그말이여.

 

그런데 도처(到處)에 선방을 보면 밥을 어떻게 빨리—국에다 말아서 반찬 넣어서 뚜적뚜적 섞어 가지고는 그냥 우물우물해서 꿀떡, 우물우물해서 꿀떡 삼키고는 그냥,

다른 사람보다도 행여나 뒤질새라 거뜬거뜬거뜬 그저 집어넣고는 먹고 나서 끅끅 트림을 해쌌고, 한동안 속이 더부룩허니 소화가 안되고 그래 가지고는 항시 그저 소화제를 먹어쌌고.

 

그런 데다가 무슨 간식거리가 생기면은 거기다 또 간식을 하고. 그래 가지고는 항시 그저 선방에 몇 철만 댕겼다 하면은 위장병이 안 생긴 사람이 거의 없다.

 

밥을 빨리 먹는다고 누가 상을 준 것도 아니고. 느긋한 마음으로 화두를 들고 공양하고, 공양하면서 화두를 놓치지 아니할 만큼 되어야 하거든!

밥만 들어왔다 하면은 허천난 거지 귀신이 붙은 것처럼 그저 막 우닥닥 때려넣고 화두는 어디 간 곳이 없고. 그래서는 수행인이라 할 것이 없어.

 

밥 먹으면서 화두가 들어지도록 그렇게 단속을 해 가고, 변소에 가서도 화두가 들어지도록 하고, 세수를 하러 가면서 화두를 들고 세수를 하면서도 화두가 들어지도록 하고,

일체처 일체시에,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화두가 여일(如一)하게 들어지도록 이렇게 잡드리를 해 가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해서 어찌 공부가 안될 것이냐 그말이여.

 

‘의심이 간절(懇切)하게 안 들린다’하지만 그렇게 다잽이를 하면 머지않아서 순일하게 되는 것이여.

 

그런 사람에게 무슨 시비가 있을 까닭이 없으며, 무슨 잡담이 할 겨를이 없는 것이며, 공부가 안될라야 안될 수가 없는 거여. 참! 그렇게 한철을 지내봐. 얼마나 기가 막힌가.

 

그렇게 공부를 아니하고 형식적으로 죽비 치면 돌아앉고, 돌아앉아서 죽비만 쳤다 하면은 그저 졸고, 방선 죽비만 쳤다 하면 그저 잡담하고 그저 이러쿵저러쿵 해쌌고, 그런 식으로 해 봤자 3년, 4년, 10년, 30년을 선방으로 돌아댕겨 봤자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이여.

 

 

우리가 과거에 무슨 깊은 인연을 맺어서 이렇게 한 지붕 밑에서 한솥밥을 먹으면서 이렇게 정진을 하며, 이렇게 최상승(最上乘) 공부를 하게 되었는가?

숙명통(宿命通)이 열리기 전에는 알 수가 없는 일이지만, 숙명통이 안 열렸다 하더라도 인과법(因果法)으로 미루어서 보면 숙명통으로 난 것이나 다름없이 짐작을 할 수가 있는 거여.

 

구체적으로는 알 수가 없지만 반드시 과거에 한 부처님 밑에서나, 같은 선지식(善知識) 밑에서 같이 공부한—한 생, 두 생이 아니라 여러 생을 그렇게 공부를 해왔기 때문에 금생에 또 우리가 이렇게 한 회상(會上)에서 이렇게 지내게 된 것이다. 그 인연이 깊고 깊은 것을 헤아릴 수가 없어.

 

이러한 좋은 그리고 깊은 인연이 반드시 견성성불(見性成佛) 할 수 있도록, 그러한 결과가 빠른 장래에 오도록 우리가 서로 밀고 잡아댕기면서, 앞에서 끌고 뒤에서 밀면서 공부를 알차게 해 나가야 할 것이다.(37분58초~43분35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현전(現前) ; 앞에 나타나 있음.

*저작(咀嚼 씹을 저/씹을 작) ; 음식물을 입에 넣고 씹음.

*도처(到處 이를 도/곳 처) ; 여러 곳.

*허천나다 ; ①(사람이)몹시 굶주리어 지나치게 음식을 탐하다. ②어떤 일에 염치없이 욕심을 부리다.

*여일(如一)하다 ; (사람의 언행이)처음부터 끝까지 꼭 같거나 변하지 아니하다.

*잡드리 ; ‘잡도리’의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간절(懇切 간절할·정성스런 간/정성스런·절박할 절) ; ①지성(至誠)스럽고 절실(切實)함. ②정성이나 마음 씀씀이가 더없이 정성스럽고 지극함. ③마음속에서 우러나와 바라는 정도가 매우 절실함.

*다잽이 ; 다잡이. 늦추었던 것을 바싹 잡아 죔.

*죽비(竹篦 대나무 죽/빗치개·통발 비) ; 예불이나 참선 정진할 때 이 죽비를 손바닥에 쳐서 소리를 내어 시작과 끝을 알리거나, 공양할 때 공양순서를 알리는데 쓰는 불교 용구.

*방선(放禪) ; 좌선을 하거나 불경을 읽는 시간이 다 되어 공부하던 것을 쉬는 일. 몸을 쉬는 가운데서도 마음은 항상 본참화두를 들고 있어야 한다.

*최상승(最上乘) ; 더할 나위 없는 뛰어난 교법. 최상의 가르침. 가장 뛰어난 가르침.

*숙명통(宿命通) : 수행으로 갖추게 되는 여섯 가지의 불가사의하고 자유 자재한 능력인 육신통(六神通)의 하나로, 나와 남의 전생을 아는 자유 자재한 능력.

*인과(因果) ; ①원인(原因)과 결과(結果). 현상을 생성시키는 것과 생성된 현상. ②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결과가 있고, 결과가 있으면 반드시 그 원인이 있다는 이치. ③선악의 행위에는 반드시 그 과보가 있다는 도리.

*선지식(善知識) ;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좋은 벗.

*회상(會上) ; ①대중이 모여서 설법을 듣는 법회. 또는 그 장소. ②대중들이 모여서 수행하는 공동체 및 그 장소.

‘회상(會上)’이란 말은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후, 영취산(靈鷲山)에서 제자들에게 설법을 하면서 함께 모인 것을 ‘영산회상(靈山會上)’이라 부른 데에서 유래한다.

*견성성불(見性成佛)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性]을 꿰뚫어 보아[見] 깨달아 부처가 됨[成佛].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