ㅂ/발심2018. 10. 12. 19:30

*발심(發心) ; ①위없는 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菩提心]을 일으킴[發]. ②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초발의(初發意), 신발의(新發意), 신발심(新發心), 초심(初心), 발의(發意) 등이라고도 한다. 갖추어서 발기보리심(發起菩提心),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

보리심은 모든 부처님이 부처님이 될 수 있었던 바탕이 되는 종자이고 청정한 법이 자라날 수 있는 좋은 밭이기 때문에 , 이 마음을 발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면 속히 위없는 보리를 증득한다.

 

(18분 55초)

 

[법문] 송담스님(No.434)—91년 2월 첫째 일요법회.(용434)

 

삼계지중분요요(三界之中紛擾擾)하되  지위무명불료절(只爲無明不了絶)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일념불생심징연(一念不生心澄然)하면  무거무래불생멸(無去無來不生滅)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삼계지중분요요(三界之中紛擾擾)하되  지위무명불료절(只爲無明不了絶)이라.

삼계(三界)가, 삼계 가운데가, 온 세계가 분요요(紛擾擾)여. 그 도처(到處)에서 싸움이 일어나고, 폭격을 하고, 사람이 죽고 불이 나고 집이 파괴가 되고 피비린내 나는 참, 그런 세상이 무엇 때문에 그렇게 시끄럽고 복잡하냐?

무명(無明)을 요달(了達)해 끊지를 못해서 그런 것이다.[只爲無明不了絶]

 

무명(無明).

탐진치(貪嗔癡) 삼독(三毒)이 무명으로부터 나온 것인데, 그 무명을 요달해 끊지를 못하기 때문에 그걸로 인해서 탐진치 삼독이 벌어지고, 그래 가지고 작은 싸움 큰 싸움, 온 나라와 나라의 싸움, 세계 전쟁이 순전히 한 사람 한 사람의 무명(無明) 때문에 그런 것이다.

 

그 한 생각 일념불생(一念不生), 한 생각 불생(不生), 나지 아니해서 마음이 깨끗해지면,[一念不生心澄然]

무거무래(無去無來)요, 갈 것도 없고 올 것도 없으며 생멸(生滅)이 없을 것이다.[無去無來不生滅]

 

그 한 생각 일어남으로 해서 이 몸뚱이도 이 세상에 받아서 태어났고, 무명(無明)의 업으로 인해서 이 몸뚱이를 받아 태어났고,

따라서 끝없이 끝없이 일어나는 탐진치 삼독 때문에 수없는 새로운 업(業)을 지으면서 바짝 마른 나무 섶에 기름을 부어서—불이 붙은 풀 섶, 나무 섶에 계속해서 기름을 부어서 잘 타게 만들어.

 

그래 가지고 나무만 타는 게 아니라 나무 주변에 있는 집도 타고 다른 사람도 타고, 마침내는 자기도 자기집도 타고, 자기 몸뚱이도 타고, 자기 생명도 잃게 된다 그거거든.

 

방금 전강 조실 스님의 녹음법문(錄音法門)을 통해서 그러한 훨훨 타고 있는 그 화택(火宅) 속에서 어떻게 하면 받아나기 어려운 이 몸뚱이 있을 때 해탈도(解脫道)를 증득하느냐?

오직 발심(發心)! 발심 하나를 철저히 함으로 해서 이 무상한 생로병사 속에서 해탈도를 증득하는 법을 간곡히 설해 주신 법문을 들었습니다.

 

부처님께서도 왕궁의 부귀를 버리시고 설산(雪山)에 들어가셔서 그 무서운 6년 고행을 하시고, 달마 스님도 소림굴(少林窟)에 들어가서 9년 동안을 묵무언(默無言)하시고 면벽관심(面壁觀心)을 하시고.

또 고인(古人)도 7개 포단(蒲團), 어떻게 좌선을 열심히 했던지 방석이 7개가 구녁이 맞구녁이 뚫어지도록 그렇게 정진을 한 예도 있고.

 

고인(古人)들, 다 근기(根機)가 수승한 고인네들도 그렇게 무섭게 정진을 해서 일대사(一大事) 문제를 요달했으니, 하물며 말세에 태어난 우리 하근기들은 그 몇 배를 더 노력을 하고 애를 쓰지 않겠느냐.

이런 요지에 조실 스님의 법문을 들었습니다.

 

정말 말로만 '말세(末世)다, 말세!' 밤낮 그 말세라고 하는 말을 우리는 들어오고 있습니다마는.

말세는 투쟁견고(鬪諍堅固)의 시대다. 투쟁, 싸움만이 치성하게 일어나는. 사람과 사람, 이웃과 이웃, 나라와 나라, 온통 싸움으로써 직업을 삼어. 싸움으로써 일을 삼는 그런 시대다.

 

과연 가정도 부모자식간에, 부부간에, 고부간에, 형제간에 사소한 일로 말다툼, 재산 갖고 싸우고. 사회에서도 당파가 있어 가지고 서로 싸우고, 업체들도 서로 자기 회사가 잘되기 위해서 싸우고. 한 나라가 둘로 갈라져서 싸우고, 이웃 나라와 이웃 나라가 싸우고, 경제적으로 싸우고, 종교적으로 싸우고, 이러한 투쟁견고의 시대에 말세를 당했습니다.

 

이러한 속에서 어떻게 하면 이 싸움에 휘말려 들어가지 않고 똑바로 자기 정신을 차리고, 우선 내가 바르게 살아가는 길을 찾고, 내 집안이 어떻게 바르게 살아가며, 이웃과 어떻게 살아가며 온 나라가 어떻게 하면 바르게 살아가는가? 그렇게 해서 온 세계가 어떻게 하면 평화적으로 살 수 있는가?

 

오직 여기에는 부처님의 법(法)에 따르는 것이 최선의 방책(方策)인 것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여러 가지 경전에 그러한 문제들에 대해서 매우 자상하게 모다 설하셨지만 여기에서 그걸 낱낱이 다 설명할 수가 없고. 그러한 모든 크고 작은 싸움, 갈등 알륵 속에서 간단하게 해결해 나가는 방법은 「나 자신을 다스리는 일」인 것입니다.

 

모든 싸움은 자기가 자기를 돌아보지 않고 자기가 자기를 다스리지 않고, 밤낮 모든 싸움 모든 원인을 다른 사람에게서 찾고, 다른 사람에게 몰아붙이고 다른 사람을 책망하는 데에서 크고 작은 싸움은 일어나는 것입니다.

 

"싸움은 싸움으로써 그치지 아니하고, 원망은 원망으로써 그치지 않는다"고 부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싸움은 상대를 이해하고 용서함으로써 싸움은 그치는 것이고, 자기 자신의 모든 책임을 자기에게서 찾고 자기를 반성함으로 해서 싸움은 끝나게 되는 것입니다.

 

 

내일은 입춘날입니다. 입춘이 오므로 해서 새해가 시작이 되는 것입니다. 양력으로는 오늘이 2월 4일이지만, 음력으로는 아직 섣달이지만 입춘이 드는 그날 그 시간으로부터 새해 신미년이 시작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내일 입춘기도 법요식이 있습니다마는, 새해를 맞이하는 오늘 이 경오년의 마지막 날을 기해서 우리는 정말 묵은해의 모든 것을 깨끗이 다 털어버리고 새해를 맞이할 준비를 해야 하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물론 집안에 모든 먼지를 털고 소제(掃除)를 하고 모다 그런 것도 중요한 일이지만, 또 몸도 깨끗이 씻고 그런 것도 중요한 일이지만, 마음! 마음을 새로 갖는 것입니다.

 

전강 조실 스님 법문에 「발심(發心) 하나를 철저히 해야 한다」 그 발심에 대해서 매우 강조해서 말씀을 하셨습니다마는.

 

'공부가 화두가 잘 안 들리고, 암만 정신을 좀 차려서 정진을 좀 착실히 하려고 마음을 먹어도 안되고, 화두가 순일하지 못하고, 의단(疑團)이 간절하지 못하고 자꾸 혼침이 오고 망상이 일어나고 영 공부가 제대로 안된다'고 많은 수좌(首座) 스님네나 또 보살님네들이 그런 것에 대해서 많이 호소를 하십니다마는 문제는 '발심을 철저히 못한 데에서 그런 것이다'

 

발심! 발심이 스스로 마음속에서 탁! 아주 일어나 버려야 하는 것입니다.

물론 발심의 동기는 친한 분이 참 억울하게 세상을 떠났다든지, 친구가 비참하게 죽었다든지, 어떤 그러한 것을 계기로 해서 무상(無常)을 철저히 깨닫고 발심을 하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조실 스님께서는 그 친한 친구가 그렇게 정신착란이 일어나 가지고 그래 가지고 미쳐서 돌아다니다가 결국은 죽게 되는 것을 보고 그렇게 무상을 철저히 깨닫고, 그래 가지고 어린 나이로 발심을 해서 17세 그 어린 나이로 선방에 나와 가지고 주야불철(晝夜不撤)하고 용맹정진(勇猛精進)을 하셔 가지고, 23세 때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셨는데.

 

그때 뿐만이 아니라 지금은 정말 아는 사람 가운데, 이웃에서 또는 한국 팔도 방방곡곡에서 온통 사람이 강도에게 죽고, 교통사고로 죽고, 비행기에서 떨어져서 죽고, 불타서 죽고 이렇게 해서 사람 죽는 것이 날이면 날마다 사람 죽는 그 소식을 접하게 됩니다.

그것이 남의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 또 사람 죽었구나’ 그 보통 느껴지겠지만.

 

그것이 자기 가족이요, 일가친척이요, 그러한 사람이 죽어도 ‘참 안되었다, 불쌍하다’ 그런 정도로만 생각하고 그냥 넘어간다. 그런데 그것이 어찌 남의 일이겠습니까?

우리 자신에게도 언제, 어떻게 그러한 사항이 일어날른지 모르는 것입니다.

 

꽃이 피었다가 지는 것을 보고도 무상을 깨달을 수도 있고, 나뭇잎이 시들어 떨어지는 것을 보고도 무상을 깨달을 수가 있고, 해가 서산에 지는 것을 보고도 깨달을 수가 있고.

우리는 똑바로 정신만 차리면 어떠한 상황에서도 발심할 수 있는 계기는 도처에 널려 있습니다.(처음~18분56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삼계지중분요요~' ; 『한산자시(寒山子詩)』에서 습득(拾得)의 시.

*삼계(三界) : [범] trayo-dhatavah 중생들이 살고 있는 세계를 세 가지로 나누는데,

①욕계(欲界 Kamadhatu) : 음욕(婬欲) • 식욕(食欲) • 재욕(財欲) 같은 탐욕이 많아서, 정신이 흐리고 마음이 험악하며, 순전히 물질에 속박되어 가장 둔탁한 중생들이 사는 낮은 세계.

②색계(色界 rupadhatu) : 욕계 위로 욕심은 매우 적으나 성내는 버릇이 남아 있어, 물질의 지배를 아주 벗어나지 못한 중생들이 사는 비교적 맑은 세계. 색(色)은 곧 물질이란 뜻이다.

③무색계(無色界 arupadhatu) : 맨 위층으로 탐욕과 성냄은 떨어져서 물질의 영향은 받지 않으나, ‘나(我)’를 버리지 못하여 정신상으로 걸림이 남아 있는 깨끗한 중생들이 사는 높은 세계.

 

이것을 흔히 땅으로부터 하늘까지 올라가면서 유형(有形)한 계층으로만 말하지마는, 실상은 입체적 공간이 아니라, 정신적인 세계의 구분(區分)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상(地上) 세계의 어떤 곳에도 탐(貪) • 진(瞋) • 치(痴) 등 삼독심(三毒心)의 경중(輕重)에 따라 삼계가 벌어져 있는 것이다.

*무명(無明) ; 모든 현상의 본성을 깨닫지 못하는 근본 번뇌. 사제(四諦)에 대한 무지로서, 모든 괴로움을 일으키는 근본 번뇌. 본디 청정한 마음의 본성을 가리고 있는 원초적 번뇌.

*탐(貪) ; 자기의 뜻에 잘 맞는 사물에 집착하는 번뇌이다. 육번뇌[六煩惱—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의 여섯 가지 근본 번뇌]의 하나.

*진(瞋) ; 자기의 마음에 맞지 않는 것에 대하여 분하게 여겨 몸과 마음이 편안하지 못하게 되는 번뇌이다. 육번뇌[六煩惱—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의 여섯 가지 근본 번뇌]의 하나.

*치(癡) ; 현상이나 사물의 도리를 이해하지 못하여 올바른 판단을 하지 못하는 번뇌를 이른다. 육번뇌[六煩惱—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의 여섯 가지 근본 번뇌]의 하나.

*삼독(三毒) ; 사람의 착한 마음(善根)을 해치는 세 가지 번뇌. 욕심·성냄·어리석음(貪瞋癡) 따위를 독(毒)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만(慢) ; 남을 업신여기고 자신을 높이는 마음 작용.

*의(疑) ; 인과(因果)의 진리를 의심하는 마음 작용.

*악견(惡見) ; 올바르지 않은 견해. 그릇된 견해.

*일념불생(一念不生) ; 경계를 당하여 마음이 일지 않은 것. 불생(不生).

[참고] 『선가귀감』 (용화선원刊) p84, p103 참고.

斷煩惱가 名二乘이요 煩惱不生이 名大涅槃이니라. (註解) 斷者는 能所也요 不生者는 無能所也니라.

 

번뇌를 끊는 것은 이승(二乘)이요, 번뇌가 나지 않는 것이 대열반(大涅槃)이니라. (주해) 끊는 것은 주체와 객체가 벌어짐이요, ‘나지 않는(不生) 것’은 주체도 객체도 없느니라.

 

見境心不起가 名不生이요 不生이 名無念이요 無念이 名解脫이니라. (註解) 戒也定也慧也가 擧一具三이요 不是單相이니라.

 

경계를 당하여 마음이 일지 않은 것을 ‘나지 않는다(不生)’고 이름하고, ‘나지 않는 것(不生)’을 무념(無念)이라 하며, 무념을 해탈(解脫)이라 하느니라. (주해) 계율이나 선정이나 지혜가, 하나를 들면 셋이 갖추어 있는 것이요, 홑으로 된 것이 아니니라.

 

[참고] 송담스님(No.410)—90년 2월 첫째일요법회, 신수기도회향, 입춘법회(90.02.04)

일종위배본심왕(一從違背本心王)하고  기입삼도역사생(幾入三途歷四生)고

금일척제번뇌염(今日滌除煩惱染)하니  수연의구자환향(隨緣依舊自還鄕)이로구나

 

일종위배본심왕(一從違背本心王)하고, 한번 본심왕(本心王)을 등지고 난 이후로, 기입삼도역사생(幾入三途歷四生)고. 몇 번이나 삼도와 사생을 지냈던가. 삼도에 들어가서 사생을 지냈던가. 삼도(三途)는 지옥·아귀·축생 삼도요. 사생(四生)은 태·란·습·화(胎卵濕化) 사생이요.

금일척제번뇌염(今日滌除煩惱染)하니, 오늘에사 모든 번뇌의 생각을 씻어 버리니, 수연의구자환향(隨緣依舊自還鄕)이로구나. 인연 따라서 옛을 의지해서 스스로 본고향(本故鄕)에 돌아가게 되었구나.

 

우리 모든 중생들이 원래는 다 비로자나(毘盧遮那) 법신불(法身佛)의 한 몸뚱이, 한 마음이여. 그런데 그 본심왕을 위배(違背)하고 거기서 배반을 하고 물러나왔다.

'한 생각' 동(動)하지 않았다면 영원토록 법왕(法王)과 같이 살 수가 있을 텐데 한 생각 동(動)해 가지고, 한 생각 삐끗 어긋져 가지고 거기서 떨어져 나와 가지고 육도윤회(六途輪廻)—지옥, 아귀, 삼악도(三惡途)를 몇 번이나 들어갔으며 태란습화 사생을 몇 번이나 겪었든가.

 

경오년 초삼일부터 오늘까지 칠일 기도를 마쳤습니다. 그리고 오늘 또 입춘일을 맞이했습니다. 그리고 2월 첫째 일요법회를 맞으셨습니다. 이 세 가지의 법회가 오늘 겹쳤습니다.

그동안 칠 일 동안 정성을 다해서 기도(祈禱)를 봉행하는 가운데 우리 사부대중의 마음은 참회(懺悔)를 하고, 기도를 하고, 발원(發願)을 하고 그래 가지고 모든 업장(業障)이 다 소멸이 되고, 번뇌의 생각—그 훨훨 타오르던 탐진치 삼독(三毒)의 번뇌염(煩惱染)이 깨끗이 씻어졌습니다.

 

번뇌(煩惱)가 나지 아니하면 그것이 무념(無念)이고, 무념이면 그것이 불생(不生)이여.

불생이면, 일념불생(一念不生) '한 생각 남이 없는 도리'를 봐 버리면 그것이 바로 본향(本鄕)으로 돌아가는 소식이더라.(처음~6분27초)

*면벽관심(面壁觀心) ; 벽(壁)을 향하여[面] 앉아 자신의 마음[心]을 관[觀]하여 그 본성을 밝히는 것. 좌선(坐禪)의 다른 이름.

*면벽(面壁) ; 좌선(坐禪)의 다른 이름. 벽을 향하여 좌선하는 것.

달마대사가 중국에 와서 양 무제(武帝)를 만나 문답하였으나 무제가 뜻을 알아차리지 못하여 마침내 물러나 양자강을 건너 위(魏)나라의 낙양으로 가서 숭산(嵩山) 소림사(少林寺)에 머물렀다. 경론을 강설하지도 않고, 불상에 절을 하지도 않으며 종일토록 말하지 않고 벽을 향하여 좌선하기 9년을 지냈다. 이를 '면벽구년(面壁九年)'이라 한다. 이로 말미암아 그 뒤부터 선승(禪僧)들이 선원에서 벽을 향하여 좌선하게 되었다.

이로부터 면벽은 단순히 좌선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경론 등 문자에 의한 가르침을 따르지 않고 자신의 마음을 관하여 깨달음을 얻는 선종의 수행법을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

*일대사(一大事) ; 매우 중요하거나 아주 큰 일. 삶과 죽음, 즉 생사(生死)의 일.

①부처님이 중생구제를 위해 세상에 나타난다고 하는 큰 일. 부처님이 세상에 나타나는 목적. ②가장 중요한 일이란 뜻. 수행의 목적. 깨달음을 얻는 것. 인간으로서의 완성.

『법화경』 방편품에 ‘諸佛世尊, 唯以一大事因緣故, 出現於世 모든 부처님은 오직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 때문에 세상에 출현한다’라고 한 것에서 유래. ‘부처님이 세상에 출현한 목적은 깨달음을 얻기까지의 과정을 보이고, 지혜를 발휘하여 모든 중생을 깨닫게 하고 구제하는 것’이다.

*알륵 ; 알력(軋轢 삐꺽거릴 알/수레바퀴가 쓸려 삐꺽거릴 력 : 수레바퀴가 삐꺽거린다는 뜻으로, 의견이나 입장이 서로 맞지 않아 충돌하는 것).

*의단(疑團 의심할 의/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의심(疑心) :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해 ‘알 수 없는 생각’에 콱 막히는 것.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또는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또는 ‘조주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바른 깨달음은 알 수 없는 의단, 알 수 없는 의심에 꽉 막힌 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수좌(首座) ; ①선원(禪院)에서 좌선하는 스님. ②수행 기간이 길고 덕이 높아, 모임에서 맨 윗자리에 앉는 스님. ③선원에서 좌선하는 스님들을 지도하고 단속하는 스님.

*용맹정진(勇猛精進) ; 두려움을 모르며 기운차고 씩씩한 그리고 견고한 의지로 한순간도 불방일(不放逸)하는, 열심으로 노력하는 정진.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을 깨달음.

 

Posted by 닥공닥정
ㅊ/출가2018. 10. 12. 19:12

*출가(出家) : '집[家]에서 나온다[出]'는 말이다. 가정 생활을 떠나서 수도와 포교를 전문으로 하기 위하여, 승려가 되는 것을 말함이다.

그러나 몸 출가(身出家)보다도, 탐욕과 분노와 어리석음 등 삼독(三毒)의 불이 늘 붙고 있는 번뇌 망상의 불집에서 뛰어나오는 마음 출가(心出家)를 하여야 한다.

 

[참고] 『선가귀감(禪家龜鑑)』 (용화선원刊) p132~133.

出家爲僧이  豈細事乎아.  非求安逸也며  非求溫飽也며  非求利名也라 爲生死也며  爲斷煩惱也며  爲續佛慧命也며  爲出三界度衆生也니라 

 

 출가하여 중이 되는 것이 어찌 작은 일이랴 !  몸의 안일을 구하려는 것도 아니고, 따뜻이 입고 배불리 먹으려는 것도 아니며, 명예와 재물을 구하려는 것도 아니다.

나고 죽음을 면하고, 번뇌를 끊으려는 것이며, 부처님의 지혜를 이으려는 것이며, 삼계에 뛰어나서 중생을 건지려는 것이니라.

 

(8분 32초)

 

[법문] 송담스님(No.246)—84년(갑자년) 추계산철결제 법문(84.08.27)(용246)

 

출가수도배(出家修道輩)여  재색최선금(財色最先禁)이니라

나무~아미타불~

군거수구신(群居須口愼)하고  독거요방심(獨居要防心)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출가(出家) 수도(修道)한 선객(禪客)들이여, 재색(財色)이 최선금(最先禁)이니라. 재물과 색이 가장 먼저 금(禁)할 것이니라.

 

출가(出家) 수도인(修道人)이라 하는 것은 문자 그대로 집을 나와서 머리를 깎고 먹물옷을 입은 스님네를 말하는 바지마는, 출가(出家)라고 하는 뜻이 넓게 본다면, 넓은 의미에서 출가를 해석을 한다면,

몸뚱이에 기준을 둘 것이 아니라 마음에다 기준을 두어야 더 옳다고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머리를 깎고 안 깎고, 먹물옷을 입고 안 입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마음에 도심을 발(發)하면, 도 닦을 마음을 내면 머리가 있고 속복을 입어도 그게 출가인(出家人)이고,

설사 머리를 깎고 먹물옷을 입었다 해도 도심(道心)이 없이 속심(俗心)이 가득차 있다면 그건 출가인이라고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몸도 출가하고 마음도 출가한 출가인도 있고, 몸도 마음도 속가에 있는 사람도 있고, 몸은 속가에 있으면서 마음은 출가한 사람도 있고, 이 네 가지로 출가 · 재가를 이렇게 설명을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몸이야 속가에 있건 산중에 가 있건, 도심(道心)을 내서 도를 닦아 가면 모두가 다 출가 수도인인데, 출가 수도인이 가장 주의할 것은 재물(財物)과 색(色)이다.

재물(財物)은 모든 재산이나, 명예나, 권리나, 먹을 것이나, 입을 것이나 이런 것들이 모두 재산에 해당이 되고, 색(色)이라 하는 것은 비단 남녀 간의 문제뿐만이 아니라 일체 색상(色相)을 통해서 마음에 욕심을 내면 그것이 다 색에 해당이 되는 것이다.

 

도 닦는데 그것을 금(禁)해야 한다 그랬는데, 그것을 멀리하고 금(禁)하는 것이 아니라—우리가 무량겁(無量劫)을 통해서 익히고 익힌 바라, 유심 · 무심을 통해서 항시 그것이 본의 아니게 우리의 눈에도 그것이 걸리고, 귀에도 걸리고, 코에도 걸리고, 입에도 걸리고, 몸에도 걸리고, 생각에도 그것이 걸려든다 그말이여.

걸려드는 그 찰나에 바로 그 생각을 버릴라고 하지 말고, 그 생각에 즉(卽)해서 화두(話頭)를 거각(擧却)을 한다면 이것이 바로 최상승법(最上乘法)을 실천하는 사람의 수행 방법이라 할 것입니다.

 

군거수구신(群居須口愼)이요, 여럿이 살 때에는 입을 조심을 해라.

 

혼자는 말을 못하는 것이고, 두 사람 세 사람 이상 열 사람, 스무 사람, 그게 인자 군거(群居)인데,

여러 사람이 모이면은 자연히 입이 벌어져서 말이 나오는데, 입을 벌려서 말을 하다 보면은 좋은 말보다도 쓸데없는 말을 많이 하고, 쓸데없는 말을 하면은 시비(是非)가 일어나서 내 속상하고 남의 속상하고 화두는 달아나 버리고, 그래 가지고 싸움이 일어나기 마련이니 그래서 입을 조심을 해라.

 

그 다음에는 혼자 있을 때에는 방심(放心)을 조심을 해라[獨居要防心]. 방심(放心)은 마음을 놓아 버리는 거여. 마음을 단속하는 것을 조심을 해라.

 

마음은 고삐 없는 소와 같애서 잠깐! 방심을 해버리면 이놈이 밭으로도 들어가고, 논으로도 들어가고, 곡식 밭에도 가고, 채소 밭에도 들어가서 다 그저 짓밟고 쥐어 뜯어먹고 해서 망가트려 버리는 거여.

우리의 마음, 고삐가 없는 소와 같아서 항시 단속을 하지 아니하면 눈 한번 깜박할 사이에 천리만리를 왔다갔다하고, 그저 갈 데 못 갈 데, 생각할 거 안 할 거, 볼 거 안 볼 거, 참 그것을 기록을 할 수가, 표현을 할 수가 없을 정도여.

 

그러다 보면은 1시간 2시간이 속절없이 지내가고 하루 이틀이 속절없이 지내가니 혼자 있을 때에는,

이 ‘혼자’라 하는 것은 육체적으로 자기 혼자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남이 모르는 자기 속에서 일어나는 그것을 여기서 ‘홀로 독(獨)’자 ‘혼자’라 이렇게 보면은 참선하는 사람은 그것이 더 해당을 하는 것입니다.

이미 생각이 얼굴로 나타나고 행동으로 나타나면은 이것이 인자 모든 사람이 보게 되니까 모든 사람과 함께 있는 것이고, 아직 그 생각이 말이나 얼굴이나 행동으로 표현이 되기 이전에 자기 혼자만 알 수 있는 그 겨우 가는 생각이 탁! 일어날 그 순간, 이것을 ‘혼자 있는 때’라고 말을 하는 것입니다.

 

그 혼자 있는 바로 그때를 탁! 돌이켜서 그 생각이 얼굴로 표현되기 전에, 말로 나타나기 전에, 행동으로 나타나기 이전에 '한 생각' 일어나자마자 바로 그때의 생각을 잘 단속을 해 버려. 그때 탁! 돌이켜서 화두를 들어버려야 할 것이다.

 

이렇게 단속을 하고 정진을 해 가시기를 거듭 당부를 하고 스스로 다짐하면서 반산림의 말씀을 맺고자 합니다.(55분42초~64분14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참고] 송담스님 법문(No.353)—88년 신수기도 회향(88.02.26)에서.(3분 21초)

 

〇출가(出家)라 하는 말은 말을 바꿔서 말하면 ‘크게 버리는 것’입니다. ‘크게 버리는 것’이 그것이 바로 출가인 것입니다.

 

출가에도 두 가지 뜻이 있고, 재가(在家)에도 두 가지 뜻이 있는데,

몸뚱이는 세속(世俗)에 있으면서 마음은 출가한—청신사(清信士) 청신녀(清信女)로서 비록 몸뚱이는 세속에 있으면서도 그 마음은 모든 탐진치(貪瞋癡) 삼독(三毒)을 다 버려 버리고, 청정한 신심으로 불법에 귀의(歸依)해서 항상 정법(正法)에 의지해서 도를 닦는 그런 분은 바로 몸뚱이는 세속에 있으면서도 마음은 출가한 분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또 몸뚱이는 출가했으면서도 마음은 속가(俗家)에 가 있는 그러한 출가도 있습니다.

비록 출가해서 염의(染衣)를 입고 머리는 깎았으되 마음이 완전히 오욕락(五欲樂)을 버리고, 탐진치 삼독을 버리고서 청정한 출가인으로서 사문(沙門)으로서 도를 닦지를 못하고, 몸뚱이는 절에 있으면서 마음속에 세속의 명리와 탐심을 버리지 못했다면 이것은 몸뚱이는 출가했으면서도 마음은 출가를 못한 것이라고 말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또 몸뚱이도 세속에 있고, 마음도 완전히 세속의 탐진치 삼독과 오욕락에 빠져서 일생을 그냥 고대로 살아가는 사람은 바로 몸뚱이도 마음도 세속에 있는 것입니다.

 

몸도 출가하고, 마음도 출가한, 정말 청정한 사문은 바로 그러헌 분인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 또는 순치황제라든지 역대 조사들은 몸도 출가하고, 마음도 출가한 그러한 모범을 우리들에게 보여주신 것입니다.

 

많은 거사(居士)라든지, 청신녀 가운데에 몸뚱이는 세속에 있으면서도 그렇게 신심이 돈독해서 정법을 믿고 수행을 쌓아서 도를 얻은 분도 인도나 중국, 한국, 일본에 많이, 널리 이름이 알려지지 안 해서 그렇지, 정말 훌륭한 그런 분들도 많이 계시리라고 나는 생각을 합니다.

 

 

 

---------------------

 

*(게송) ‘출가수도배~’ ; 『청허당집(清虛堂集)』 ‘명감(明鑑)·상주(尙珠)·언화(彥和) 등 여러 문도(門徒)에게 보이다[示明鑑尙珠彥和諸門輩]’ 게송 참고.

*수도(修道) ; 불도(佛道)를 수행(修行)함.

*불도(佛道) ; ①불과(佛果). 부처님이 성취하신 최상의 깨달음. 무상보리(無上菩提)를 말한다. ②불과(佛果)에 이르는 방법. 불과를 성취하여 성불하기 위한 인행(因行, 깨달음의 원인이 되는 행)을 말한다. ③부처님이 중생을 교화하는 가르침.

*수행(修行 닦을 수/행할 행) ; ①궁극적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실천하는 것. 행하는 것. ②오로지 한 생각에만 집중하여, 한결같이 그것을 잊지 않고 그것 외에 다른 생각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노력.

*선객(禪客 참선 선/손님·사람 객) ; 참선 수행을 하는 사람.

*'마음[心]에 도심을 발(發)하면' ; 발심(發心). ①위없는 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菩提心]을 일으킴[發]. ②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초발의(初發意), 신발의(新發意), 신발심(新發心), 초심(初心), 발의(發意) 등이라고도 한다. 갖추어서 발기보리심(發起菩提心),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

보리심은 모든 부처님이 부처님이 될 수 있었던 바탕이 되는 종자이고 청정한 법이 자라날 수 있는 좋은 밭이기 때문에 , 이 마음을 발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면 속히 위없는 보리를 증득한다.

*도심(道心) ; 불도(佛道)를 행하고 믿는 마음.

*속심(俗心) ; 세상의 명예나 이익을 구하고자 하는 속된 마음.

*색상(色相) ; 육안(肉眼)으로 볼 수 있는 모든 물질의 형상.

*즉해서(卽-- 곧·즉시 즉) ; 곧. 곧바로. 당장. 즉시(卽時 : 어떤 일이 행하여지는 바로 그때). 즉각(卽刻 : 일이 일어나는 그 순간 바로. 당장에 곧).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거각(擧却 들 거/어조사 각) ; 화두를 든다. ‘화두를 든다’ ‘화두를 거각한다’는 말은 자신의 본참화두를 들 때 알 수 없는 의심이 현전(現前)하면, 그 알 수 없는 의심을 성성하게 관조(觀照)하는 것이다.

[참고] 송담스님 세등선원(No.09)—병진년 동안거 결제중 법어(76.12.26)에서.

〇화두를 먼저 이마로 의심을 하지 말고, 이 화두를—호흡하는데 배꼽 밑[丹田]에 숨을 들어마시면은 배가 볼록해지고 숨을 내쉬면은 배가 홀쪽해지는데, 그 배가 빵빵해졌다 홀쪽해졌다 허는 거기에다가 화두를 들고 ‘이뭣고~?’ ‘알 수 없는 생각’ 관(觀)하는 그것이 화두를 드는 것이여.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간화선(看話禪) ; 화(話)는 화두(話頭)의 준말이다. 간화(看話)는 ‘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을 본다[看]’는 말로써,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이 화두를 관(觀)해서, 화두를 통해서 확철대오하는 간화선을 전강 조실스님과 송담스님께서는 ‘최상승법(最上乘法)’ ‘활구참선(活句參禪)’이라고 말씀하신다.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