ㅈ/자가철주2018. 10. 11. 16:26
*자가철주(自家鐵柱) ; 자기 스스로 정한 규칙을 쇠기둥(鐵柱)을 세워 놓은 것과 같이 움직임 없이 지켜나감을 이르는 말.
 

(4분 46초)

 

[법문] 송담스님(No.246)—84(갑자년) 추계산철결제 법문(84.08.27)(용246)
 
시간은 이렇게 말을  있는  동안에도 계속 쉬지 않고 흘러가고 있습니다.  생각  생각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고 1 1초가 이렇게 지내가고 있는 동안에 우리의 수명(壽命)은 죽음을 향해서 달려가고 있습니다.
 사실을 명심한다면, 우리는  생각 단속하는  이외의 다른 일에는  일분일초(一分一秒)도 시간을 허비할 수가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고인은 죽을 ()’자를 이마에다  붙이고 공부를 기도 하고, 송곳을  밑에다가 받쳐 놓고 공부를 기도 하고, 잠을  때에는 둥글둥글하게 목침을 깎아 가지고 그래 가지고 비고 자다가 삐끗하면 ! 머리가 방바닥으로 떨어지는 바람에 깜짝 놀래서 일어나서 정진을 하고.
 
 말을  보면 한마디가  마디 되고,  마디가  마디 되아서 그렇게 말하다 보면 생각을 놓치고 화두를 놓칠까 그래서 말을 아니 면서 정진을 하고,  밥을 많이 먹다 보면은  식곤증(食困症) 나서 졸음이 올까 봐 그래 밥을  끼씩만 먹고 기도 하고. 이렇게 모든 방법을   가면서 애를 쓰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여러 스님네께 밥을  끼만 먹어라’, ‘말을  말고 묵언(默言) 하라  송곳을 깎아서  밑에다 괴아라 이런 것을 내가 권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럴만한 의지력과 각오를 가지고 정진을  나간다면, 말을 일부러 묵언을  아니해도 저절로 하루에 한마디 거나 말거나, 이틀에 한마디 거나 말거나 하면, 일부러 묵언을  해도 저절로 묵언이 되아져야  묵언이 진짜 묵언이  것이고.
 
하루에  때를 먹더라도  알갱이도 씹은 바가 없다면  그릇 먹는다고 해서 무엇이 방해로울 것이 있는가. 다만 과식만  않도록  저작(咀嚼) 해서 소화만  시킨다면,  그릇 먹어도  알갱이도 씹지 않는 도리가  속에 있으니 무엇을 걱정할 것이 있느냐 그말이여.
 
9시에 자고 3시에 일어나면 6시간인데, 그동안에  시간쯤   자고 5시간만 자고 정진을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6시간을 자되,  때에  화두(話頭)가 꿈속에서도 화두가 들린다면 6시간을 잔다고 해서 무엇이  방해로울 것이 있습니까.
 
산철 동안 춥지도 덥지도 않고 그러니  기간을 자가철주(自家鐵柱) 세워서 다른 사람의 타율적인 그런 견제로 인해서 규칙을 지킬려고  것이 아니라,
일심으로 정진을  보니 저절로 모든 것이 법도에 맞고 규칙에 맞아서  달이 하루와 같이,  달이 하루와 같이 이렇게 정진을  가신다면 반드시  산철 동안에 공안(公案)을 타파(打破)해서 본래면목(本來面目)을 깨닫게 되실 것이 의심이 없으리라고 생각이 됩니다.(50분54초~55분40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일분일초(一分一秒) ; '1분과 1초'로 아주 짧은 시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식곤증(食困症·먹을·마실 식/곤할 곤/증세 증) ; 음식을 먹고 나서 몸이 나른해지고 졸음이 오는 증세.
*저작(咀嚼 씹을 저/씹을 작) ; 음식물을 입에 넣고 씹음.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타파(打破) ; 화두의 생명은 의심입니다.
그 화두(話頭)에 대한 의심(疑心)을 관조(觀照)해 나가는 것, 알 수 없는 그리고 꽉 맥힌 의심으로 그 화두를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모든 번뇌와 망상과 사량심이 거기에서 끊어지는 것이고, 계속 그 의심을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더 이상 그 의심이 간절할 수가 없고, 더 이상 의심이 커질 수 없고, 더 이상 깊을 수 없는 간절한 의심으로 내 가슴속이 가득 차고, 온 세계가 가득 차는 경지에 도달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 경지에 이르면 화두를 의식적으로 들지 않어도 저절로 들려져 있게 되는 것입니다. 밥을 먹을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똥을 눌 때에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차를 탈 때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고, 이렇게 해서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들려진 단계. 심지어는 잠을 잘 때에는 꿈속에서도 그 화두가 들려져 있게끔 되는 것입니다.
 
이런 상태로 6, 7일이 지나면 어떠한 찰나(刹那)에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큰 항아리에다가 물을 가뜩 담아놓고 그 항아리를 큰 돌로 내려치면은 그 항아리가 바싹 깨지면서 물이 터져 나오듯이, 그렇게 화두를 타파(打破)하고, ‘참나’를 깨닫게 되고, 불교의 진리를 깨닫게 되고, 우주의 진리를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참선법 A’ 에서]
*본래면목(本來面目 밑 본/올 래/낯 면/눈 목) ; ①자기의 본래(本來) 모습(面目). ②자신이 본디부터 지니고 있는, 천연 그대로의 심성(心性). 부처의 성품.
본지풍광(本地風光), 본지고향(本地故鄉), 본분전지(本分田地), 고가전지(故家田地), 천진면목(天眞面目), 법성(法性), 실상(實相), 보리(菩提), 부모에게서 낳기 전 면목(父母未生前面目), 부모에게서 낳기 전 소식(父母未生前消息) 등이 모두 같은 맥락에서 쓰이는 말이다.

 

Posted by 닥공닥정
ㅁ/마장2018. 10. 11. 13:57

*마장(魔障 마귀 마/장애 장) ; 어떤 일에 장애가 생기는 것. 불도(佛道) 및 선법(善法)의 수행에 장애가 생기는 것.

 

*불도(佛道) ; ①불과(佛果). 부처님이 성취하신 최상의 깨달음. 무상보리(無上菩提)를 말한다. ②불과(佛果)에 이르는 방법. 불과를 성취하여 성불하기 위한 인행(因行, 깨달음의 원인이 되는 행)을 말한다. ③부처님이 중생을 교화하는 가르침.

 

*선법(善法) ; 선법(착한 법)은 '선한 교법'의 줄임말로, 5계(五戒) · 10선(十善) · 3혜(三慧) · 4혜(四慧) · 4성제(四聖諦) · 3학(三學) · 5온설(五蘊說) · 12연기설(十二緣起說) · 8정도(八正道) · 37도품(三十七道品) · 6바라밀(六波羅蜜) 등 이치에 맞고 자신과 세상을 이익되게 하는 법(法). 즉 도리와 방편, 즉 가르침 또는 선한 행위와 수행법을 말한다.

 

(10분 53초)

 

[법문] 송담스님(No.246)—84년(갑자년) 추계산철결제 법문(84.08.27)(용246)

 

그래서 지혜와 자비를 원만구족(圓滿具足)하신 부처님과 역대조사(歷代祖師)는 어떠한 중생이라도 아무리 근기(根機)가 하열한 중생이라도 바른 스승의 지도를 받어서 열심히만 하면 누구나 깨달을 수 있는 방법을 개발을 해낸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이 화두(話頭)라 하는 것이여, 화두(話頭).

‘이뭣고~?’

 

말을 할 때에도 ‘이뭣고?’

속이 상할 때에도 ‘이뭣고?’

배가 고플 때에도 ‘이뭣고?’

밥을 먹으면서도 ‘이뭣고?’

 

‘이뭣고~?’ 알 수 없는 의심. 해 갈수록 꽉 막혔어. 앞도 없고 뒤도 없어.

 

‘이뭣고~?’ 이렇게만 해 가면—처음에는 입으로 ‘이뭣고?’해도 속으로는 금방 딴 생각이 일어나고, 앉았을 때 ‘이뭣고?’했는데 일어서다가 잊어버리고, 금방 ‘이뭣고?’하다가 무슨 소리가 나면은 그 소리 듣는 바람에 잊어버리고. 그렇게 잊어버린 때가 많다 그말이여.

 

보다가 잊어버리고, 듣다가 잊어버리고, 냄새 맡다가 잊어버리고, 먹다가 잊어버리고, 생각하다가 잊어버리고, 그렇게 잊어버리고, 잊어버리면 또 챙기고, 잊어버리면 또 챙기고.

잊어버린 것 걱정하지 말고, 딴 번뇌 망상 일어나는 것도 걱정하지 말고, 그저 부지런히 챙기기만 하면 되는 거여. ‘이뭣고~?’

 

경(經) 공부를 한다든지 다른 무슨 공부를 하면 무엇이 알아진 것도 있고, 하루 하면 하루 한 만큼 무엇이 얻어진 바가 있고, 이틀 하면 이틀 한 만큼 무엇이 알아지고 얻어진 바가 있는데, 이 공부는 해 갈수록 알 수가 없고 꽉 맥히고 답답하기만 하다 그말이여.

그러나 이 알 수가 없고 답답한 거, 이것이 정말 견성성불(見性成佛) 할 수 있는 아주 귀중한 대목이다 그말이여.

 

무엇이 환하니 보이고, 무엇이 알아지고 얻어지고 보여진 것이 있으면 그건 공부가 잘못되어 간 거여.

스승 없이 자기 나름대로 공부를 하면 백이면 백, 다 잘못되는 까닭이 바로 거기에 있는 것입니다.

 

일심으로, 무엇이고 일심(一心)으로 하면 안정이 되고, 안정이 되면 맑아지고, 맑아지면 거기에는 온갖 마장(魔障)이 거기에 붙게 되는 것입니다.

 

능엄경(楞嚴經)에 보면 색(色) · 수(受) · 상(想) · 행(行) · 식(識).

색음(色陰)이 스러져서 없어지면—색(色)이라 하는 것은 육체(肉體)를 말하는 것인데,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 그 육체(肉體)의 모든 기관이 안정이 되고, 안정이 되면 조용해지고, 조용하면 맑아지는 것인데, 그 색음이 맑아지면은 여러 가지 신기한 경계가 나타나는 수가 있습니다.

 

또 수(受) · 상(想) · 행(行) · 식(識), 수상행식(受想行識)은 정신 작용인데 그 정신 작용이 안정이 되면 맑아지고, 맑아지면은 거기에 여러 가지 종류의 신기하고도 묘한 경계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그러면 ‘왜 맑아지면은 그러한 마장(魔障)이 일어나냐’하면, 이 우주법계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신기한 능력을 갖춘 마귀(魔鬼)가 있습니다.

그런 마귀는 다 전생에 도를 닦다가 공부가 잘못되어 가지고, 공부는 지극정성으로 해서 거의 깨달음에 가까울 지경에 이르도록 그렇게 지극정성으로 도를 닦다가, '한 생각' 잘못한 탓으로 삿된 경계에 떨어져서 바른 깨달음을 얻지 못한 그러한 중생, 그런 것이 귀신의 몸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온갖 신통이, 오신통(五神通)이 다 나 가지고, 참 그러한 귀신이 많이 있는데, 누구라도 도를 닦은 사람이 있으면 그 귀신이 시기(猜忌)가 나 가지고 그것을 온갖 수단과 방법을 써 가지고 방해를 치는 것입니다.

 

자기 자신이 바른 깨달음을 얻지 못했기 때문에 누가 도만 열심히 닦을라고만 하면, 그것을 시기 · 질투가 나 가지고 그걸 방해를 치게 되는 것입니다.

방해를 치기 위해서 항시 주변을 맴돌고 있어. 육근문두(六根門頭)에 그것을 엿보고 있다가 조금이라도 틈만 있으면 그 틈을 타서 침범해 들어오는 것입니다.

 

그래서 옛날부터 ‘도고마성(道高魔盛)이다. 도가 높으면 높아질수록 마구니는 무장 더 성해진다’하는 말이 있는 것은 바로 그러한 까닭인 것입니다.

 

그래서 도 닦은 사람은 '한 생각' 단속하기를 무섭게 단속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진정계중자일념(眞淨界中纔一念)이, 진정계(眞淨界) 가운데에 겨우 이 '한 생각'이 염부조이팔천세(閻浮早已八千歲)다. 염부(閻浮)에 있어서는 벌써 팔천 세(八千歲)가 된다 그말이여.

 

정진을 해서 오음(五陰)이 맑아지면 맑아질수록 눈 한번 깜박하는 그 찰나간의 '한 생각'이 이런 무서운 마귀를 자기 마음속에 불러들이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입니다.

 

그래서 한 생각 삐끗한 그 '한 생각' 단속을, 마치 화약고를 지키는 파수병(把守兵)이 불조심 하듯이,

잠깐 실수로 담뱃불 하나 실수하면 그 어마어마한 화약이 터져서 그 많은 화약을 다 손실하고 거기에 있는 많은 사람의 생명을 앗아가고 동시에 자기의 목숨까지 잃게 되는 거와 마찬가지입니다.

 

화두를 들고 참선하는 사람은 그 '한 생각'을 무섭게 단속을 해야 해.

성이 날 때, 슬플 때, 억울할 때, 근심 걱정이 있을 때, 기쁠 때, 좋을 때, 모든 순경계(順境界), 모든 역경계(逆境界), 일체 팔풍(八風)계를 당해서 그 '한 생각' 미끄러지는 것을 무섭게 단속을 해야만 그런 마구니의 권속에 떨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숙세(宿世)에 이 정법(正法)에 인연이 있어서 우리가 이런 최상승법(最上乘法)을 만나서 듣고 이것을 실천을 하게 된 것까지는 매우 다행한 일이나, 그 의지력이 견고하지 못해 가지고 반신반의(半信半疑)를 해서 조금 해 보다가 말다가, 조금 이 마음을 가다듬고 조금 할라고 하면은 무슨 일이 생기면 그것 또 와르르 무너져 버리고.

 

이렇게 하는 둥 마는 둥, 하다가 말다가, 이 핑계 저 핑계 이렇게 해 가면 도(道)의 마음은 점점 생소해지고, 세속적인 그런 생각은 날이 갈수록 얽히고설켜서 그럭저럭 안 한 것도 아니요, 한 것도 아니요, 이렇게 해 가면, 56억 7천만 년 뒤에 미륵불(彌勒佛)이 하생(下生)할 때까지 공부를 해도 도를 이룰 기약은 막연할 수 밖에는 없을 것입니다.

 

오늘 산철 결제일을 맞이해서 다시 한번 우리가 다짐을 하기 위해서 이러한 법요식(法要式)을 갖게 된 것입니다.(40분1초~50분52초)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원만구족(圓滿具足 둥글·온전할·원만할 원/찰·가득할 만/갖출 구/충족할 족) ; 모자라거나 결함이 없이 완전히 모두 갖추어져 있음.

*원만(圓滿 둥글·온전할·원만할 원/찰·가득할 만) : ①완전한. 부족함이 없는. 결함이 없는. 모두 갖추어져 있음. ②증감이 없는 평등무애한 경지. 흠 없는 법의 특징 또는 구경의 깨달음 등을 형용하는 말.

*구족(具足 갖출 구/충족할 족) ; 구비만족(具備滿足)의 줄임말. ①부족함 없이, 빠짐없이 완전하게 갖춤. ②원만(圓滿)과 같음. 완전.

*역대조사(歷代祖師) ; 석가세존(釋迦世尊)으로부터 불법(佛法)을 받아 계승해 온 대대의 조사(祖師).

*근기(根機 뿌리 근/베틀 기) ;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들일 수 있는 중생의 소질이나 근성. 보통 근기의 차등을 상근기, 중근기, 하근기로 구분한다.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이뭣고(是甚麼 시심마) : ‘이뭣고? 화두’는 천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어떤 일이 일어난 그 자리)를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 ‘이것이 무엇인고?’ 이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 ‘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는 일곱 자(字)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이, 뭣, 고’ 석 자(字)이다. ‘이뭣고?(이뭐꼬)'는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그 뜻은 그 속에 다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을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해 왔다.

*견성성불(見性成佛)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性]을 꿰뚫어 보아[見] 깨달아 부처가 됨[成佛].

*일심(一心) ; ①대립이나 차별을 떠난 평등한 마음. ②한곳에 집중하여 산란하지 않는 마음. 통일된 마음. ③중생이 본래 갖추고 있는 청정한 마음. ④아뢰야식(阿賴耶識).

*능엄경(楞嚴經) ; 본이름은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릉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10권. 당(唐)의 반자밀제(般刺蜜帝) 번역.

마음은 어디에 있는가에 대한 세존과 아난(阿難)의 문답으로 시작하여 깨달음의 본성과 그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설하고 여래장(如來藏)이 무엇인가를 밝힘.

깨달음으로 들어가는 가장 쉬운 방법은 관음신앙이라 하고 능엄다라니(楞嚴陀羅尼)를 설한 다음, 보살의 수행 단계, 중생이 수행하는 과정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번뇌에 대해 그 원인과 종류를 밝힘.

*색음(色陰) ; 색온(色蘊)의 구역(舊譯). 오음(五陰)의 하나.

*색온(色蘊) ; 오온(五蘊)의 하나. '물질'이라는 집합. 색(色)은 스스로 생멸변화하고, 또 다른 것을 장애한다. 온(蘊)은 모여서 뭉친 것으로 화합하여 한덩어리가 된 것.

*마(魔) : [범] mara 음을 따라 마라(魔羅)라 하고, 줄여서 마(魔)라고만 한다。장애자(障礙者) • 살자(殺者) • 악자(惡者)라 번역。목숨을 빼앗고 착한 일을 방해하며 모든 것을 파괴하는 악마를 말한다. 그러나 마(魔)는 밖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에서 생기는 것이다.

[참고] “마(魔)란 생사를 즐기는 귀신의 이름이요, 팔만사천 마군이란 중생의 팔만사천 번뇌다.

마가 본래 씨가 없지만, 수행하는 이가 바른 생각을 잃은 데서 그 근원이 파생되는 것이다。중생은 그 환경에 순종하므로 탈이 없고, 도인은 그 환경에 역행하므로 마가 대들게 된다。그래서 '도가 높을수록 마가 성하다'고 하는 것이다.

선정 중에 혹은 상주를 보고 제 다리를 찍으며 혹은 돼지를 보고 제 코를 쥐기도 하는 것이, 모두 자기 마음에서 망상을 일으켜 외부의 마를 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마의 온갖 재주가 도리어 물을 베려는 것이나, 햇빛을 불어 버리려는 격이 되고 말 것이다。옛말에 '벽에 틈이 생기면 바람이 들어오고, 마음에 틈이 생기면 마가 들어온다'고 하시니라.” (선가귀감 十九, p64에서)

*오신통(六神通) ; 보통 사람으로서는 헤아릴 수 없는 것을 헤아림을 신(神)이라 하고, 걸림 없는 것을 통(通)이라 한다. 다섯 가지 불가사의하고 자유 자재한 능력.

*육근문두(六根門頭) ; 육근(六根 - 眼耳鼻舌身意)의 문 앞. 육근과의 경계.

*진정계중자일념(眞淨界中纔一念) 염부조이팔천세(閻浮早已八千歲) ; 중국 당나라 동안상찰(同安常察) 스님(872-961)이 마음의 현묘한 이치를 10가지 대목으로 말씀한 게송 [십현담(十玄談)]의 5번째 '연교(演敎)'의 끝 구절.

*진정계(眞淨界) ; 참되고 깨끗한 세계.

*염부(閻浮) ; 염부제(閻浮提). 남염부제(南閻浮提). 섬부주(贍部洲). 남섬부주(南贍部洲).

산스크리트어 jambu-dvīpa의 음사. 염부(閻浮), 섬부(贍部)는 jambu의 음역어이며, 제(提)와 주(洲)는 dvipa의 각각 음역어 및 의역어이다. jambu는 나무 이름.

불교의 우주관에 의하면 세계의 중심에 높이 솟은 거대한 수미산(須彌山)의 사방에 네 대륙(四洲)이 있는데, 염부라는 이름은 여기에 자란다는 점부(jambu)에 유래하며, 남방에 있기 때문에 남섬부주(南贍部洲)라고 한다. 우리 인간들이 사는 곳이라 하며, 여러 부처님이 나타나는 곳은 사주(四洲) 가운데 이곳뿐이라 함. 불전에서는 인간세계의 전체를 의미하는 말로서 사용되고 있다.

*오음(五陰) ; 오온(五蘊)의 구역(舊譯).

*오온(五蘊) : 온(蘊)은 무더기•모임•집합•더미를 뜻함. 인간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의 요소의 무더기 - 물질적 요소인 색온(色蘊)과 정신요소인 4온(수·상·행·식)을 합쳐 부르는 말.

①색온(色蘊) : 몸이라는 무더기. 몸의 감각 무더기.

②수온(受蘊) : 괴로움이나 즐거움등, 느낌의 무더기.

③상온(想蘊) : 대상에 이름을 부여하고, 다양한 개념을 지어내는 생각•관념의 무더기.

④행온(行蘊) : 의도(意圖)하고 지향하는 의지•충동•의욕의 무더기.

⑤식온(識蘊) : 식별하고 판단하는 인식의 무더기.

*파수병(把守兵) ; 주변을 경계하여 지키는 병사.

*순경계(順境界) ; ①자기의 마음에 들어맞어 마음이 따르는 경계. ②모든 일이 뜻대로 잘되어 가는 경우나 형편.

*역경계(逆境界) ; ①자기의 마음에 반대되어 마음이 언짢은 경계. ②일이 순조롭지 않아 매우 어렵게 된 처지나 환경. 역경(逆境), 위경(違境)이라고도 한다.

*팔풍(八風) : 팔경(八境). 팔풍경계(八風境界). 팔풍은 세상에서 사랑하거나 미워하는 바로서 능히 사람의 마음을 흔들어서 움직이게 하므로 팔풍(八風)이라 함<몽산법어 p155, 용화선원刊>

—이쇠(利衰 이로울 리/약할 쇠) : 내 뜻에 맞고(利) 내 뜻에 어기는 것(衰).

—예훼(譽毀 기릴 예/비방할 훼) : 나 안보는 데서 나를 찬미하는 것(譽), 나 안보는 데서 나를 비방하는 것(毀).

—칭기(稱譏 일컬을 칭/나무랄 기) : 면전에서 찬미하는 것(稱), 면전에서 비방하는 것(譏).

—고락(苦樂 괴로울 고/즐거울 락) : 몸과 마음을 괴롭히는 것(苦), 몸과 마음을 즐겁게 해주는 것(樂).

[참고] 팔풍, 팔세법(八世法, attha lokadhamma) : 세간(世間, 중생의 세계) 특유의 여덟가지 어려움. 이득과 손실(利衰), 좋은 평판과 나쁜 평판(譽毀), 칭찬과 비난(稱譏), 고통과 행복(苦樂) <칠각지 p57, 고요한소리刊> 팔풍경계를 요약하면 결국 역순경계(逆順境界).

*정법(正法) ; ①올바른 진리. ②올바른 진리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 ③부처님의 가르침이 올바르게 세상에 행해지는 기간.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간화선(看話禪) ; 화(話)는 화두(話頭)의 준말이다. 간화(看話)는 ‘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을 본다[看]’는 말로써,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이 화두를 관(觀)해서, 화두를 통해서 확철대오하는 간화선을 전강 조실스님과 송담스님께서는 ‘최상승법(最上乘法)’ ‘활구참선(活句參禪)’이라고 말씀하신다.

*반신반의(半信半疑) ; 한편으로는 믿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의심스러워함.

*도(道) ; ①깨달음. 산스크리트어 bodhi의 한역. 각(覺). 보리(菩提)라고 음사(音寫). ②깨달음에 이르는 수행, 또는 그 방법. ③무상(無上)의 불도(佛道). 궁극적인 진리. ④이치. 천지만물의 근원. 바른 규범.

*미륵불(彌勒佛) : [범] Maitreya 대승보살, 또는 매달려야(梅呾麗耶), 매달례야(昧怛隷野)。번역하여 자씨(慈氏)。 이름은 아일다(阿逸多) 무승(無勝) 막승(莫勝)이라 번역.

인도 바라나국의 바라문 집에 태어나 석가모니의 교화를 받고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아, 도솔천에 올라가 있으면서 지금 그 하늘에서 천인(天人)들을 교화하고, 석가모니 입멸후 56억 7천만 년을 지나 다시 이 사바세계에 출현—하생(下生)하여, 화림원(華林園) 안의 용화수(龍華樹) 아래에서 성불(成佛)하고 3회의 설법으로써 석가모니의 교화에서 빠진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고 한다. 이 법회를 용화삼회(龍華三會)라 한다.

도솔천에서의 생을 마치면 인간으로 태어나 성불하여 석가모니불의 자리[處]를 보충(補充)한다는 뜻으로 보처(補處)의 미륵이라 하며, 현겁(賢劫) 천 불의 제5불(佛).

*법요식(法要式 부처님의 가르침·불도佛道 법/요긴할·원할·얻을 요/법·제도·의식 식) ; ①법요(法要 : 법法의 요체要諦, 부처님 가르침의 핵심)를 닦아 익히는 법식(法式). ②불사(佛事 : 재齋, 법회 따위의, 불가佛家에서 행하는 모든 일)의 의식. 법회(法會 : 불법을 강설하거나 불보살과 스님들에게 공양을 올리는 행사 모임).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