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구참선(活句參禪) (No.508)—(게송)昇沈相續蟻旋磨~ | 이 활구참선법을 믿고, 여법하게 실천을 한다면 나도 확철대오 할 수 있다고 하는 철저한 신심.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막힌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9분 33초)

 

[법문] 송담스님(No.508)−93 6 첫째 일요법회(93.06.06)(용508)

 

승침상속의선마(昇沈相續蟻旋磨)하고  증애교전상익니(憎愛交纏象溺泥)로구나

나무~ 아미타불~

미긍현애친살수(未肯懸崖親撒手)하고  부지신고대하시(不知辛苦待何時)이리요

나무~ 아미타불~

 

승침상속의선마(昇沈相續蟻旋磨)하고, 올라갔다 내려갔다 끊임없이 개미가 마치 맷돌을 돌듯이, 착한 일을 하면 천상에 태어나고 죄를 지으면 삼악도(三惡途) 떨어지고. 천당에 올라갔다가 복이 다하면 떨어지고, 올라갔다 내려갔다 것이 마치 개미가 쳇바퀴 돌듯 한다 그말이여.

 

증애교전상익니(憎愛交纏象溺泥). 미워했다가 사랑했다가, 마음에 들면 이뻐하고 뜻과 어기면은 미워하고 그래가지고 애정과 원한이 얽히고설켜서 미워하지 아니하면 이뻐하고, 이뻐하지 아니하면 미워하고.

그것이 마치 그렇게 서로 얽혀 가지고 빠져나오지 못한 것이 늙은 코끼리가 깊은 수렁에 빠져 가지고, 발을 빼면은 다른 발이 빠지고, 발을 간신히 빼면은 다른 발이 빠지고 가지고, 도저히 진흙 수렁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거와 같다 그말이여.

 

인간 세상에는 착한 일을 하면 좋다하고, 나쁜 짓을 하면 모다 미워하고 그러지만,

쪼금 좋은 일해서 좋은 일한 과보(果報) 복을 받는 것이나, 나쁜 죄를 지어 가지고 과보로 축생이나 아귀나 지옥에 떨어진 것이나, 그것이 쪼금 미워했다가 이뻐했다 가지고 인간관계가 얽히는 것이나 그것이 마찬가지다 그말이여.

 

왼발 빠지고 오른발 간신히 빼고 들어있어 봤자 얼마 가서 다시 오른발이 빠지고, 왼발을 간신히 들어올리나 끝끝내 코끼리가 진흙 수렁에서 빠져 나오지 못한 것은 마찬가지고,

좋은 가지고 천상에 태어났다가 복이 다하면 다시 떨어져 가지고 () 지으면은 삼악도에 떨어졌다, 올라갔다 내려갔다 것이 무엇이 그렇게 다를 것이 있냐 그말이여.

 

미긍현애친살수(未肯懸崖親撒手), 선과 악에서 ! 벗어나고, 미워하고 이뻐한 그것에서 ! 벗어나 버려야지,

그것을 용기와 지혜로서 거기서 벗어나지 못하고 부지신고대하시(不知辛苦待何時). 쓰라리고 괴로운 것에서 언제 거기서 벗어날 것이냐 그말이여.

증애심(憎愛心) 선악 시비(是非)에서 용감하게 ! 벗어나 버려야 하거든. 벗어난다고 하는 것이 대단히 힘이 들어서 정말 투철한 용기가 아니고서는 시비와 선악, 증애에서 벗어날 길이 없어.

 

우선 아까 조실 스님께서 심우도(尋牛圖) 관한 법문과 활구참선(活句參禪) 대한 법문을 주셨는데, 활구참선을 믿고 그것을 열심히 함으로써만이 구덩이에서 벗어날 수가 있어.

 

갑자기, 위로는 부모가 계시고, 아래로는 아들과 딸이 있고, 옆으로는 모다 형제간도 있고 부부간도 있는데, 그것을 일조(一朝) 끊어버리고 산중에 들어가서 머리를 깎고 () 닦는다고 하는 것은 여간해서 그것은 흉내내기가 어렵고 그걸 따르기가 어렵고, 특별한 사람을 제외하고는 그걸 벗어나기가 어려운 것이고.

속에서 부모와 부부와 자녀 그리고 세상에 모든 살림살이 속에 있으면서 거기서 벗어나는 길이 그게 활구참선이여.

 

철저하게 활구 참선법을 믿고, 나도 법을 믿고 여법(如法)하게 실천을 한다면 나도 확철대오(廓徹大悟) 있다고 하는 깊은 철저한 신심이 있어야 하고, 자기가 믿을 있는 스승을 찾아서 화두(話頭) 가지고, 되고 되고 하는 것도 따지지 말고 그저 앉아서나 서서나, 걸어갈 때나 차를 때나, 일을 때나 자꾸 화두를 참구(參究) 하거든.

 

이뭣고?’ ‘이뭣고?’ ‘ 몸뚱이 끌고다니는 이놈이 뭣고?’

그러다가 나중에 걸음 들어가서지금 이뭣고 하는 이놈이 뭣고?’ 이렇게 다그쳐 들어가.

 

잘되느니 안되느니, 망상이 일어나서 못하느니, 잡념이 일어나서 못하느니, 졸음이 와서 못하느니, 일이 바빠서 못하느니, 시끄러워서 못하느니, 그런 핑계를 필요가 없어. 안될수록에 마음을 가다듬고이뭣고?’ ‘이뭣고?’ 해보라 그말이여.

자꾸 챙기고 챙기고 하다 보면 달을 챙겨, 달을 부셔대, 달을 . 그래도 안되어도 상관 말고 다섯 , 여섯 , 이렇게 하다 보면 나중에는 저절로 화두가 들어진다 그말이여.(처음~936)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승침상속의선마~’ ; 중봉명본 스님의 '天目中峯和尙廣錄卷第二十九'에서 '寄同參十首' 게송 참고.

*삼악도(三惡途) : 삼악취(三惡趣)라고도 하며 지옥, 아귀, 축생을 말한다。죄악을 범한 결과로 태어나서 고통을 받는 곳으로 지옥의 고통과, 아귀의 굶주림과, 축생의 우치에서 방황하게 된다는 것이다.

*과보(果報) ; 인과응보(因果應報, 전생에 지은 선악에 따라 현재의 행과 불행이 있고, 현세에서의 선악의 결과에 따라 내세에서 행과 불행이 있는 ).

*증애심(憎愛心) ; 미워하고 사랑하는 마음. 애증(愛憎).

*시비(是非) ; ①옳으니 그르니 하는 말다툼. ②이러니저러니 좋지 않게 트집을 잡아서 말함. ③옳고 그름.

*심우도(尋牛圖) ; 십우도(十牛圖). 목우도(牧牛圖). 우리의 마음자리를 ''에다가 비유해서, 수행자가 보리심(菩提心) () 가지고 견성(見性)해서 보림(保任) 완성을 다음에 중생을 교화하러 나가는 데까지 10단계로 구분하여 그림으로 그린 . 게송으로 읊은 것을 심우송(尋牛頌), 십우송(十牛頌)이라 한다.

*일조(一朝) ; 주로일조에 꼴로 쓰여, 하루 아침이라는 뜻으로, 갑작스럽도록 짧은 사이를 이르는 .

*여법(如法 같을·같게 ·따를·좇을 / 부처님의 가르침·불도佛道 ) ; 부처님의 가르침에 맞음.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 깨달음.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참구(參究 헤아릴 /궁구할 ) ; ①다못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 ②선지식의 지도 아래 참선하여 화두(공안) 꿰뚫어 밝히기 위해 집중함. 화두 의심을 깨뜨리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이뭣고(是甚 시심마, 시삼마) : ‘이뭣고? 화두 천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이뭣고?’하고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어떤 일이 일어난 자리)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이것이 무엇인고?’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 일곱 ()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 ()이다. ‘이뭣고?(이뭐꼬)'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뜻은 속에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해왔다.

[참고] 이뭣고? 이것이 무엇인고?

···뭣고·····?’ 이렇게 의심을 나가되, 이런 것인가 저런 것인가 하고 이론적으로 더듬어 들어가는 것이 아닙니다. 다못···뭣고······?’ 이렇게만 공부를 지어나가야 됩니다. 여기에 자기의 지식을 동원해서도 안되고, 경전에 있는 말씀을 끌어 들여서아하! 이런 것이로구나!” 이렇게 생각해 들어가서도 안됩니다.

화두(공안) 우주세계에 가득 있는 것이지마는 문헌에 오른, 과거에 고인(古人)들이 사용한 화두가 1700인데, 이뭣고?’ 화두 하나만을 열심히 나가면 문제 해결함으로 해서 1700공안이 일시(一時) 타파가 되는 것입니다.

 

화두가 많다고 해서 화두 조금 보고, 안되면 화두 보고, 이래서는 쓰는 것입니다. 화두 자체에 가서 좋고 나쁜 것이 있는 것이 아니고 오직 화두 철저히 나가면 일체 공안을 일시에 타파하는 것입니다.(7634~7822) [ ‘참선법 A’ 에서]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