ㅅ/소소영령2017. 6. 17. 18:17

*소소영령(昭昭靈靈) ; 한없이 밝고 신령함. 소소(昭昭) 영령(靈靈) 함께 밝은 . 밝은 모양. 진여(眞如), 법성(法性), 불심(佛心) 의미하는 .

 

(3분 38초)

 

[법문] 송담스님(No.663)—2002 동안거해제 법어(02.02.06)(용663)

 

한산정상월륜고(寒山頂上月輪孤)하야  조견청공일물무(照見晴空一物無)로구나

나무~아미타불~

가귀천연무가보(可貴天然無價寶)  매재오음익신구(埋在五陰溺身軀)로구나

나무~아미타불~

 

한산정상월륜고(寒山頂上月輪孤)  조견청공일물무(照見晴空一物無). 한산(寒山) 산봉우리에 외로운 달이 밝았는데, 맑은 하늘에 비추되  물건도 없구나.

 

가귀천연무가보(可貴天然無價寶), 가히 귀(貴)엽다 천연의 값없는 보배가,

매재오음익신구(埋在五陰溺身軀). 오음(五陰)으로 뭉쳐진  육체 속에 파묻혀 있구나.

 

밝은 달이 한산(寒山) 봉우리에 둥그랗게 떠있는데,  달이  허공을 비추되  물건도 없다 그거여.

우리 육체 속에 소소영령(昭昭靈靈) 주인공이 색수상행식(色受想行識),  육체 속에    없는 소소영령한 주인공이 묻혀 있다.   물건이  법계(法界)를 두루 비추고 있건마는  우리의 주인공을  수가 없다 이거거든. 한산(寒山) ()입니다.(처음~351)

 

 

 

 

[참고] 『임제록(臨濟錄)

〇道流  儞欲得作佛  莫隨萬物  心生種種法生  心滅種種法滅  一心不生  萬法無垢  世與出世  無佛無法  亦不現前  亦不曾失  設有者  皆是名言章句  接引小兒  施設藥病  表顯名同  且名句不自名句  還是儞目前  昭昭靈靈  鑒覺聞知照燭底  安一切名句

 

도를 배우는 이들이여. 그대들이 부처가 되고자 한다면 일체 만물을 따라가지 말라. 마음이 나면 온갖 법이 나고 마음이 멸하면 온갖 법이 멸하니,  마음 나지 않으면 만법에 허물이 없다. 세간과 출세간에 () 없고 () 없어서 현전하지도 않고 잃은 적도 없다.

설사 무엇이 있다 하더라도 모두 언어의 구절이어서, 어린아이를 달래기 위해 병에 따라 약을  것이며 무엇을 표현하는 이름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언어의 구절은  자체로 언어의 구절이 되는 것이 아니라, 다름 아닌 그대들 눈앞에서 밝디 밝고 신령하게[昭昭靈靈] 살피거나 느끼거나 듣거나 알거나 비추는 바로 그것이 모든 언어의 구절을 붙이는 것이다.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한산정상월륜고~’ ; 『한산자시(寒山子詩)』에서 한산(寒山)의 시.

*오음(五陰) ; 오온(五蘊). () 무더기모임집합더미를 뜻함. 인간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의 요소의 무더기, 물질적 요소인 색온(色蘊) 정신요소인 4(···) 합쳐 부르는.

①색온(色蘊) : 몸이라는 무더기. 몸의 감각 무더기. ②수온(受蘊) : 괴로움이나 즐거움등, 느낌의 무더기. ③상온(想蘊) : 대상에 이름을 부여하고, 다양한 개념을 지어내는 생각관념의 무더기. ④행온(行蘊 : 의도(意圖)하고 지향하는 의지충동의욕의 무더기. ⑤식온(識蘊) : 식별하고 판단하는 인식의 무더기.

*법계(法界) ; ①모든 현상, 전우주. ②있는 그대로의 참모습. ③진리의 세계.

*한산(寒山) ; 중국 당나라 때 사람. 성명은 알 수 없고, 천태(天台) 당흥현(唐興縣)의 서쪽 70리에 한암(寒巖)이라는 바위가 있는데, 대개 그 바위굴 속에 있었으므로 ‘한산’이라 하고, 때로는 국청사(國淸寺)에 가기도 했다.

몸은 바싹 마르고, 꼴은 거지와 같고 보기에 미친 사람 비슷한 짓을 하며, 국청사 절 부엌에서 일을 하고 있는 습득(拾得)에게 대중이 먹고 남은 밥을 얻어서 댓통에 넣어가지고 한산으로 돌아가곤 하였다. 미친 짓을 부리면서도 하는 말은 불도(佛道)의 이치에 맞으며 또 시를 잘하였다.

어느날 태주자사(台州刺史) 여구윤(閭丘胤)이 사람을 보내 한암(寒巖)에 찾아가서 옷과 약 등을 주었더니, 한산은 큰 소리로 “도적놈아! 이 도적놈아!”하면서 바위굴로 물러났고 “너희들에게 말한다, 각각 노력해라!”하면서 바위굴로 들어간 뒤에는 그 소식을 알 수 없었다 한다. 세상에서 한산, 습득, 풍간(豊干)을 3성(聖)이라 부르며, 또 한산을 문수보살, 습득을 보현보살 화현이라 한다. 『한산시』 3권이 있다.

—[참고] 여구윤(閭丘胤)의 ‘한산자시집서(寒山子詩集序)’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