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역경계 순경계2016. 2. 12. 19:04

역경계(逆境界), 순경계(順境界) (No.389)—(게송)雲邊千疊嶂~ | 사바세계는 견성성불(見性成佛)하기 가장 좋은 여건이 갖추어진 세계 | 轉禍爲福.

 

*역경계(逆境界) ; ①자기의 마음에 반대되어 마음이 언짢은 경계. ②일이 순조롭지 않아 매우 어렵게 처지나 환경. 역경(逆境), 위경(違境)이라고도 한다.

*순경계(順境界) ; ①자기의 마음에 들어맞어 마음이 따르는 경계. ②모든 일이 뜻대로 잘되어 가는 경우나 형편.

 

(6분 5초)

 

[법문] 송담스님(No.389)—89(기사년) 부처님오신날 법어(89.05.12)(용389)

 

운변천첩장(雲邊千疊)이요  난외일성천(欄外一聲川)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약불연순우(若不連旬雨)하면  나지제후천(那知霽後天)이리요

나무~아미타불~

 

운변천첩장(雲邊千疊)이요  난외일성천(欄外一聲川)이다.

구름 가에 천첩이나 쌓인 산이 있고, 울담 밖에 소리 흘러가는 시냇물 소리가 있더라.

 

약불연순우(若不連旬雨)하면, 만약 열흘 동안이나 계속해서 내리는 비가 없었다면,

나지제후천(那知霽後天)이냐. 어찌 뒤에 새파란 하늘 있음을 수가 있었겠는가.

앞으로 장마 계절이 옵니다마는, 장마에 구름이 끼고 비가 내리기를 열흘 스무날 계속한 뒤에 햇빛이 쨍쨍 하고 나야, 비로소 햇빛 고마운 줄도 알고 파란 하늘도 비로소 새롭게 느껴진다 이거거든.

 

사바세계(娑婆世界) 생로병사희로애락흥망성쇠가 이렇게 뒤범벅이 되어있는 세계인 것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사바세계에서 발심(發心)하기가 좋고, 분심(憤心)내기가 좋고, 그래서 확철대오(廓徹大悟)해서 견성성불(見性成佛) 있는 가장 좋은 여건이 갖추어진 세계다 이것입니다.

 

여러분 가운데에 병고에 시달리는 , 사업에 여의치 못해서 고통 속에 빠지신 , 아들을 낳아서 고통에 빠진 며느님들, 또는 아들딸이 공부를 못해서 대학에 들어갈까 걱정이신 , 남편과 아내가 서로 의합(義合) 좋지 못해서 고통 받는 , 그런 고통을 어떻게 해서 이겨갈 수가 있겠습니까?

 

이러한 고통은 우리로 하여금 발심할 있는 좋은 계기요, 발판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열심히 법회에 나오셔서 듣는 법문(法門) 듣는 법문이라도 열심히 법문을 듣다 보면, 어느 땐가는 ! 지혜의 눈이 열릴 때가 오는 것입니다

 

우리 마음에 거슬리는 일을 당하면은 성을 내고, 우리 마음에 합당(合當) 그러한 일을 당하면 우리는 기뻐합니다.

천하 사람이 전부 역경계(逆境界) 아니면 순경계(順境界) 속에 걸려서, 노예가 되어가지고 울다 웃다 하면서 아까운 생명을 헛되이 보내면서 삼악도(三惡道) 향해서 굴러가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냉정히 생각해 보십시오. 마음에 맞는 순경계가 머지않아서 뒤집어져 가지고 역경계로 변하는 것입니다. 어떤 역경계를 만나서 있다 하더라도 고비를 참고 견디면서 노력을 하다보면 전화위복(轉禍爲福) 되고, 쥐구멍에도 볕들 날이 오는 것입니다.

 

그래서 역경계순경계에 놀아나지 말고, 어떠한 경계(境界) 닥치든지 그것은 '영원한 것이 아닌 ' 깊이 인식하고 항상 어느 어느 곳에서도이뭣고?’

역경계순경계에 끄달려서 울다 웃다한 사람은 항상 경계에 속아가는 것입니다.(442~508)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게송) 운변천첩장~ ; [편양당집(鞭羊堂集)] 卷一偶吟一絶’, 편양언기(鞭羊彦機) 게송 참고.

*()겹치다. 포갬. *()산봉우리. *()난간. *()열흘. 열흘 동안. *() (반어)어찌 있겠는가. *() 개다. 그치다.

*사바세계(娑婆世界) ; 고뇌를 참고 견디지 않으면 안되는 괴로움이 많은 세계. 현실의 세계. 석가모니 부처님이 나타나 교화하는 세계. 인토(忍土)•감인토(堪忍土)•인계(忍界)라고 한역.

*발심(發心) ; 불도(佛道=菩提=眞理)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 (원어)發起菩提心발기보리심, 發菩提心발보리심.

*분심(憤心) : 과거에 모든 부처님과 도인들은 진즉 확철대오를 해서 중생 제도를 하고 계시는데, 나는 여태까지 일대사를 해결 못하고 생사윤회를 하고 있는가. 내가 이래 가지고 어찌 방일하게 지낼 있겠는가. 속에서부터 넘쳐 흐르는 대분심이 있어야. 분심이 있어야 용기가 나는 것이다.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견성성불(見性成佛)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 보아 깨달아 부처가 .

*법문(法門 부처의 가르침 / ) : 부처님의 가르침은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 세계를 벗어나, 열반(涅槃) 들게 하는 문이므로 이렇게 이름.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르는 . 진리에 이르는 .

*합당하다(合當--) ; (…/에게) 어떤 기준, 조건, 용도, 도리 따위에 알맞다.

*삼악도(三惡道) ; 악인(惡人) 죽어서 간다는 가지 괴로운 세계. 지옥도(地獄道), 축생도(畜生道), 아귀도(餓鬼道) 가리킨다. 지옥도는 중생이 죄를 지어 죽은 뒤에 태어날 지옥세계이며, 축생도는 중생이 죄를 지어 죽은 뒤에 짐승의 몸이 되어 괴로움을 받는다는 길이고, 아귀도는 먹으려고 하는 음식은 불로 변하여 굶주리고 매를 맞는 아귀들이 모여 사는 세계이다.

*전화위복(轉禍爲福) ; ‘재앙[]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된다 뜻으로, 좋지 않은 일이 계기가 되어 오히려 좋은 일이 생김을 이르는 .

*경계(境界) ; ①인과(因果) 이치(理致) 따라서, 자신이 부딪히게 되는 생활상의 모든 일들. 생로병사희로애락빈부귀천시비이해삼독오욕부모형제춘하추동동서남북 등이 모두 경계에 속한다.

②나와 관계되는 일체의 대상. 나를 ()라고 일체의 (). ③시비(是非)•선악(善惡) 분간되는 한계경계(境界)에는 역경(逆境) 순경(順境), 내경(內境) 외경(外境) 있다.

*이뭣고(是甚 시심마,시삼마) : ‘이뭣고? 화두 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이뭣고?’하고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이것이 무엇인고?’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 일곱 ()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 ()이다.

이뭣고?(이뭐꼬)'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뜻은 속에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해왔다.

[참고] 이뭣고? 이것이 무엇인고?

···뭣고·····?” 이렇게 의심을 나가되, 이런 것인가 저런 것인가 하고 이론적으로 더듬어 들어가는 것이 아닙니다. 다못···뭣고······?” 이렇게만 공부를 지어나가야 됩니다. 여기에 자기의 지식을 동원해서도 안되고, 경전에 있는 말씀을 끌어 들여서아하! 이런 것이로구나!” 이렇게 생각해 들어가서도 안됩니다.

화두(공안) 우주세계에 가득 있는 것이지마는 문헌에 오른, 과거에 고인(古人)들이 사용한 화두가 1700인데, 이뭣고?’ 화두 하나만을 열심히 나가면 문제 해결함으로 해서 1700공안이 일시(一時) 타파가 되는 것입니다.

화두가 많다고 해서 화두 조금 보고, 안되면 화두 보고, 이래서는 쓰는 것입니다. 화두 자체에 가서 좋고 나쁜 것이 있는 것이 아니고 오직 화두 철저히 나가면 일체 공안을 일시에 타파하는 것입니다.(7634~7822) [ ‘참선법 A’ 에서]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