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차문래(入此門來) 막존지해(莫存知解) (전강선사 No.015)— 몸뚱이를 법(法)을 위해서 공양을 올려야겠구나! 오직 참선(參禪)을 해야겠구나!


*입차문래(入此門來) 막존지해(莫存知解) ; 이  안에 들어오매 알음알이[知解] 두지 말지어다.

참선은 연구하는 것이 아니다. 생각으로써 이리저리 따져서 아는 것은 깨친 것이 아니다. 참선하는  가장 꺼리는 것이 알음알이이다. 그러므로 『이  안에 들어오려면 알음알이를 내지 말라(入此門內莫存知解)』라고 크게 써서  문에 붙이는 것이  까닭이다.

 

[참고] 『선가귀감』 (용화선원刊) p220.

〇神光(신광)이  不昧(불매)하야  萬古徽猷(만고휘유)로다  入此門來(입차문래)에  莫存知解(막존지해)어다.

 

거룩한  어둡지 않아 만고에 밝고나. 이  안에 들어오매 알음알이를 두지 말지어다.

 

[참고]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권9 천태평전보안선사(天台平田普岸禪師)의 말씀.

〇天台平田普岸禪師洪州人也  於百丈門下得旨  後聞天台勝槪聖賢間出  思欲高蹈方外遠追遐躅  乃結茅薙草宴寂林下  日居月諸爲四衆所知  創建精藍號平田禪院焉  有時謂衆曰  神光不昧萬古徽猷  入此門來莫存知解

 

천태산 평전보안 선사는 홍주 사람이다. 백장의 문하에서 종지를 얻은 뒤에 천태산의 수승한 경치에서 성현이 가끔 난다는 말을 들었다. 그래서 한번 가보고자 하여 멀리 찾아가서 띠집을 짓고는 숲 밑에서 조용히 참선을 했는데, 세월이 흐르면서 사부대중에게 알려지게 되어 큰 절을 짓고 평전선원이라 하였다. 어느 때 대중에게 말했다. “신령한 광명이 어둡지 않아서 만고에 빛나니, 이 문에 들어와서는 알음알이를 두지 말라.”(「전등록 1」 동국역경원, 김월운 옮김. p575-576)

 

(3분 8초)

 

[법문] 전강선사(No.015)—만공 큰스님 수행기(경술70.12.11)(전015)

 

여지없이 발심(發心)을 척! 해서, 아무것도 도대체  세상에는  것이 없구나!

 몸뚱이 이놈 하나  가지고  나와서  일이 무엇이냐?  몸뚱이를 어따가 지공(支供)을 해야겄나? 이렇게 허나 못허나  몸뚱이 하나 얻어 왔으니  몸뚱이 있는 동안까지  몸뚱이를 옴스름이 그대로 어따가 바쳐야겠느냐?

 

오직! 오직 참선(參禪)을 해야겠구나! 이 참선 불사(佛事)에다가 바쳐야겠구나! 여다가 위법공양(爲法供養)을, 법(法)을 위해서 공양을 올려야겠구나!

 

틈도 없이 사이도 없이 일향간(一餉間)도, 일향간이라는 건   먹을 사이’를 일향간이라 .

일향간도 딴 데다가, 헛된 데다가서  마음을  몸뚱이를 바칠 수가 없다. 오직  찾는  참선법에다가 바쳐야겠구나!’ 해 가지고 발심을 해 가지고는 닦아 나가야 하지,

조금이라도 내가 살았다. 권리가 있다.  세상이 편안하다. 내가 이만큼  좋은  받아 왔구나 어쩌고 고런  소용없어.

 

평상 과거에 원,  몸뚱이 받아가지고 나와서 얼마만큼 배웠는지는   없지마는 평생 소학저(所學底)를, 평생 배운 바를 그것을 그것 내던져 버려. 그것을 버려 버려. 거기도 희사(喜捨) 버려기껍게 버려 버려.

 소학저(所學底) 소문저(所聞底), 배워서 아는  들어서 아는 . 소견저(所見底) 봐서 아는 . 고깟  가지고 뭣이여, 그것이 뭣인디?

 

입차문래(入此門來)인댄 막존지해(莫存知解)니라 척! 이 도문(道門)에 들어와서는 지해(知解)를 두지 말어라.  배워서아는 것을 두지 말어라 그말이여.

  것이여? 그런  가지고 들어와서 아소심(我所心)이  있어서 내가 안다

 

알면 뭣혀.  어따  것이여? 여가 어디 무슨  아는 것을 배우는 것인가? 아는 것을 무슨 ,  어따 쓰는 것인가?

아무 소용없어입차문래(入此門來)인댄 막존지해(莫存知解)다 문에 들어올 때에는 지해(知解)를 두지 말어라’(1137~1446)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

 

*발심(發心) ; ①위없는 불도(佛道=菩提=眞理)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菩提心] 일으킴[]. ②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 초발의(初發意), 신발의(新發意), 신발심(新發心), 초심(初心), 발의(發意) 등이라고도 한다. 갖추어서 발기보리심(發起菩提心),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

*지공(支供) ; ①음식 따위를 대접하여 받듦. ②필요한 물품 따위를 줌.

*참선(參禪) ; ①선() 수행을 하는 . ②내가 나를 깨달아서,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을 꿰뚫어봐  생사 속에서 영원한 진리와 하나가 되어서 생사에 자유자재한 그러헌 경지에 들어가는 수행. 자신의 본성을 간파하기 위해 하는 수행.

*불사(佛事) ; ①불법(佛法) 알리는 . 법회, 불공(佛供), () 봉행, 경전의 간행과 유통, 사찰의 중창과 전각 중수, 불상·탱화·불구(佛具가사(袈裟) 조성 등의, 불가(佛家)에서 행하는 모든 일을 가리킨다. ②부처님께서 중생을 교화(敎化)하시는 .

*() ; (산스크리트) dharma, (팔리) dhamma 한역(漢譯). ①진리. 진실의 이법(理法). ②선(). 올바른 . 공덕. ③부처님의 가르침. ④이법(理法)으로서의 연기(緣起) 가리킴. ⑤본성. ⑥의() 대상. 의식에 드러난 현상. 인식 작용. 의식 작용. 인식 내용. 의식 내용. 마음의 모든 생각. 생각.

*공양(供養) ; ①불()•()•() 삼보(三寶) 스승, 부모, 영가에 음식, , , ,  등을 바침. ②스님들의 식사를 공양이라 하는데, 이것은 스님들은 시주(施主) 공양물로 생활하기에 공양을 올리는 [施主] 시은(施恩) 상기하여 잊지 않게 하고자 함이다. ③신구의(身口意)  가지 방법으로 하는 공양으로 삼업공양(三業供養)이라 한다. 자세[] 낮추어서 삼가고 공경하는 예를 갖추는 공경, []으로 훌륭함을 기리는 찬탄, 오로지 마음[] 쏟는 존중이다.

*희사(喜捨 기쁠 희/버릴·베풀 사) ; ①보상을 구하지 않고, 기쁘게 재보(財寶)를 베푸는 것. 정사(淨捨 : 깨끗하게 내놓는 것), 정시(淨施 : 깨끗하게 베푸는 것)라고도 함. ②기껍게 자기의 의견, 생각을 버리는 일. 탐진치(貪瞋癡) 삼독심(三毒心)을 버리는 일.

*도문(道門) ; ①도에 이르는 . 부처님의 가르침. ②불문(佛門). 부처님의 법문(法門). 불교(佛敎)라는 . 부처님의 가르침에 들어서는 . 깨달음으로 들어서는 .

*지해(知解) ; 상량(商量). 알음알이.

*알음알이(知解) : 참선은 연구하는 것이 아니다。생각으로써 이리저리 따져서 아는 것은 깨친 것이 아니다。참선하는데 가장 꺼리는 것이  알음알이이다。그러므로 『이  안에 들어오려면 알음알이를 내지 말라(入此門內莫存知解)』라고 크게 써서  문에 붙이는 것이  까닭이다.

*아소심(我所心) ; 나의 것이라는 마음. 나의 소유라는 마음.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