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인아상2016. 5. 10. 14:01

인아상(人我相) (No.194)—인욕선인(忍辱仙人)과 가리왕(歌利王) | 성을 안 내고자 할라면은 첫째 인아상(人我相)을 끊어야 한다.

 

*인상(人相) ; 사람은 고귀하므로 지옥 중생이나 축생들과 다르다고 집착(執着)하는 견해.

*아상(我相) ; 산스크리트어 ātma-saṃjñā ①오온(, 색수상행식色受想行識)으로 형성된 () 실체라고 잘못 생각하는 . ②나라는 관념·생각.  자아(自我)라는 관념·생각남과 대립하는 나라는 관념·생각.  타자와 구분짓는 자의식 또는 그것을 형성하는 온갖 관념의 집합.

 

(1)(21분 8초)

(2)(12분 6초)

 

[법문] 송담스님(No.194)—1983 동안거해제 백일기도회향(83.02.27)(용194)

 

(1)------------------

 

부처님께서도 과거에 인행(因行) 때에, 인욕선인(忍辱仙人)으로 수행을 때에 산중에서 정진을 하고 계시는데가리왕(歌利王)이라 하는 왕이 신하들과 어여쁜 궁녀들을 거느리고 사냥을 하러 나왔다 그말이여. 사냥을 하러 나와서 노래도 부르고 춤도 추고 놀다가, 가리왕이 피곤해서 잠이 들었어.

 

잠이 드니까 상감을 모시고 나온 궁녀들이 무료해서 근처로 산책을 하다가 어느 나무 밑에를 보니까 선인(仙人) 좌선을 하고 있다 그말이여. 그래서 가까이 가서 보니까 얼굴이 너무 청수(淸秀)하고 거룩하게 생겼다 그말이여. 얼굴도 빼어나게 잘생긴 데다가 수행(修行) 하니까 그렇게 청수해서 대번에 첫눈에 존경심이 .

그래서 이야기를 가서 붙였다 그말이여. 붙이니까 선인(仙人) 여러 가지로 좋은 법문을 해줘서 법문을 들으니까 모다 환희심이 나고, 존경심이 나고, 그래서 이야기를 듣다가 시간 가는 줄을 모르고 있었는데.

 

가리왕이 한참 실컷 자고 눈을 떠보니까 궁녀들이 어디로 곳이 없다 그말이여. 그래서 궁녀들이 어디로 갔는가 찾다가, 마치 인욕선인을 둘러싸고 앉아서 무언 말을 물어보고 듣고 모다 그랬산다 그말이여.

그래 왕이 속에서 ! 아주 진심(瞋心) 났어. 그래 가지고 쫒아가서 인욕선인(忍辱仙人) 칼로 그저 몸뚱이를 난도질을 쳤어. 그래도 인욕선인은 하나 깜짝 하고 쪼끔도 진심(瞋心) 내지 아니한 고대로 날카로운 칼을 받았다 그말이여.

 

만약에 가리왕한테 몸을 갖다가 그렇게 칼로 찍고 자르고 한데, 생각이라도 진심(瞋心) 냈다면 어찌 내가 성불(成佛) 했겠느냐? 어찌 내가 부처님께 장차 성불하리라고 하는 수기(授記) 받았겠느냐?’ 이렇게 부처님이 말씀을 하셨습니다.

 

진심(瞋心)이라고 하는 것은 어디서 나느냐?

 

성내는 마음금년 동안에는 우리 모두가 성을 내지 말고, 성내는 마음을 돌이켜서 정진을 열심히 하자. 정진을 열심히 함으로써 성이나 작은 성이나 성을 내는 해로 하자그런 말씀을 했습니다마는,

대관절 성내는 마음을 억지로 참는 것도 대단히 중요한 일이지만 성내는 마음이 어디서 나는가?’ 근원을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것이여.

 

성을 내고자 할라면은 첫째 인아상(人我相) 끊어야 하는 것이여.

내다, 남이다, 내가 옳고 사람이 그르다, 내가 잘났다, 나는 유식하다, 나는 귀인이다, 사람은 무식하고 천한 사람이다, 사람은 성격이 못되었고 내가 옳다, 나는 참선을 여러 해를 해서 나는 구참이다, 사람은 인자사 가지고 아무것도 모른다

이러한 인아상(人我相) 있으므로 해서 그런 성을 내니까, 성내는 마음을 없애려면 인아상을 끊어야 하는 것이다. 인아상을 끊는다고 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 것입니다.

 

인아상(人我相)! ‘내다, 남이다하는 인아상이 있는 사람은 항시 다른 사람의 위에 있기를 좋아하거든. 어간(御間) 앉고 싶고, 윗자리에 앉고 싶고, 무엇이든지 자기를 대우를 받고 싶어 하고, 남의 밑에 있기를 싫어해. 자리도 하판이나 아랫자리에 앉기를 싫어한다 그말이여. 밥도 먼저 받기를 좋아하고, 차담(茶啖) 먼저 받기를 좋아하고.

 

그래서 인아상(人我相) 없는, 인아(人我) 없는 것을 요달한 사람은 누가 자기를 윗자리에 앉히고 대접을 해준다 하더라도 좋아하는 마음이 없어. 다른 사람이 자기를 알아주지 아니하고, 윗자리에 앉히지를 않고 대우를 해주고 아랫자리로 앉으라고 그러고, 천히 여긴다고 해서 조끔도 성내는 마음이 없어.

그래 가지고 일체 중생 앞에 항시 하심(下心) . 항시 모든 사람을 존경하고 자기는 겸손하고 그래 가지고 다른 사람 밑에 앉거나 하대를 받는다 해도 그것을 달게 여긴다 그말이여.

 

수행(修行) 많이 할수록에 겸손하고, 수행을 많이 할수록에 남을 존경하고, 모든 사람 앞에 하심을 하고, 모든 다른 사람의 뜻을 존중하고, 자기를 남이 알아주지 않고 업신여긴다 하더라도 조끔도 섭섭하거나 진심이 일어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그냥 그것을 달게 여긴다 그말이여.

 

이렇게 되어야 여러 참선을 하고, 여러 선방에서 공부한 보람이 있고, 그것이 바로 후배들에게, 이제 새로 선방에 나온 사람들에게 선배로서 보여줄 있는 거룩하고 훌륭한 마음가짐이요, 행동이라고 수가 있을 것입니다.

 

 

주로 보살선방에서 어느 철에나 문제가 되는 것은 문제가 아니고 자리에 관한 문제.

 

자리 자리, 여기가 자리다물론 처음에 앉을 차례차례 자리가 지정이 됩니다마는, 지정이 되었다가도 경우에 따라서는 쪼끔 밀쳐 앉을 수도 있고 특별한 경우에는 자리를 이리저리 바꿀 수도 있고 그런 게지,

한번 자리가 지정이 되면은 치도 양보를 아니하고, 아주 거기다 금을 그어 놓고는 거기는 범접(犯接) 못하게 하고, 쪼끔만 저리 밀쳤다 하면은 진심을 내고 싸움을 할려고 그러고,

이러한 데서야 어찌 최상승법(最上乘法) 믿고 참선을 하는그것도 철이 아니라 20, 30년을 수행을 구참(久參) 보살이라 수가 있겠느냐 그말이여.

 

조그마한 일을 통해서 사람의 마음가짐을 우리는 수가 있는 것이다 그말이여.

그분이 정직하고 얌전하고, 절에 오시나 마을로 가나 모든 점에 있어서 훌륭한 분이요, 신심이 있는 분이라 할지라도 조그마한 자리 하나를 가지고 말썽을 일으키고 양보를 못하고 그렇다면, 밖에 다른 훌륭한 한다고 하는 것을 어찌 보장을 수가 있느냐.

 

파리 마리 죽이는 것이 죄가 많으냐, 사람을 하나 죽이는 것이 죄가 많으냐?’

그릇의 물이 크냐, 바닷물이 크냐?’ 이러한 문제가 있습니다.

 

사람을 죽이는 일이 죄가 크냐, 파리 마리를 죽이는 죄가 크냐?

상식적으로 파리 그까짓 거야 죽인다고 해서 무슨 죄가 되며, 그까짓 것은 똥에가 앉았다 밥에 앉았다 그러니, 그것은 약을 풍겨서 죽여 없애야지 그까짓 하나 죽인다고 무슨 죄가 되겠느냐. 그러니 사람을 죽이는 일이야 말로 참으로 죄가 된다상식적으로 물어보면 누구라도 그렇게 대답을 것입니다.

 

그러나도문(道門)에서는 사람 죽이는 일보다도 파리 하나 죽이는 죄가 크다이렇게 말을 수가 있습니다.

그러냐 하면 사람은 죽이라고 해도 죽일 까닭이 없으니 사람 죽이는 일이 죄가 많다고 것도 없어. 그러나 파리는 죽여도 아무 양심의 가책을 받지 않고, 살생했다고 하는 죄책감도 없이 마구 때려죽이기 때문에 파리 죽이는 죄가 참으로 크다고 하는 것을 분명히 인식을 하고 느껴야 것이다 그말이여.

 

파리 목숨 하나를 사람 목숨만큼 애끼고 소중히 여기고 살생을 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물어 것도 없이 닭이나 소나 돼지는 죽일 것이요. 어찌 파리 목숨 하나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이 사람을 죽일 리가 있겠느냐 그말이여. 그래서사람 목숨 죽이는 것보다도 파리 목숨 죽이는 죄가 크다이렇게 말할 수가 있습니다.

 

사람 목숨이나 파리 목숨은 근본에 들어가서는 똑같은 것이여. 사람의 생명은, 사람의 본성(本性) 크고 훌륭하고, 파리가 가지고 있는 본성은 보잘 것이 없느냐 하면 그게 아니에요.

전생(前生) 지은 () 따라서 몸뚱이는 비록 사람으로 받아나고 파리로 받아나서 차이가 있지만, 본성(本性)자리는 사람이나 파리나 소나 돼지나 똑같은 것이다 그말이여. 부처님과 중생과도 똑같듯이 사람과 파리와도 또한 똑같은 것이다 그말이여.

 

바닷물은 많고 그릇의 물은 적다고 누구든지 보지만바닷물보다도 그릇의 물이 훨씬 많다이것입니다.

옛날에 오백 명의 상인들이 바다에 들어가서 보물을 건지는데, 그래 가지고 보물을 건져 가지고 그걸 장사를 하는데, 오백 명이 바다에 들어가기 전에 어느 훌륭한 분을 초청을 해다가 그분을 어른으로 모시고, 모든 것을 문의를 하고 안내를 하고, 어른의 지도를 받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바다의 () 나와서 그이한테 묻기를 그릇의 물이 많으냐, 바닷물이 많으냐?" 그렇게 물었습니다. 그러니 현인(賢人) 그릇의 물이 많다대답을 했습니다.

어째서 바닷물보단 그릇의 물이 많다고 하는고?”

 

그릇의 물을 부처님께 공양을 하거나, 스님네께 공양을 하거나, 또는 할아버지 할머니나 부모님께 목이 말랐을 떠다 바치거나, 또는 목마른 행인에게 주거나, 거지나 가난한 사람에게 그릇의 물을 공덕은 영원한 것이고,

바닷물은 많은 바닷물이라 할지라도 수천만겁, 억겁이 지내가면 바닷물이 말라버리고 육지가 되는 때가 있어. 많은 바닷물은 말라서 육지가 되는 때가 있지만, 그릇의 물을 삼보(三寶) 부모나 목마른 가난한 사람에게 공덕은 영원하기 때문에 그릇의 물이 많다고 수가 있습니다그렇게 대답을 했습니다.

 

그래 해신(海神) 사람의 말이 너무나 진리에 부합이 되고, 정말 훌륭하기 때문에 해신이 도와서 바다에서 많은 보물을 건져 가지고, 오백 명의 장사꾼들이 부자가 되었다고 하는 말씀이 전해 내려옵니다.

 

수행하는 사람이 5계를 지키고 10계를 지키며, 수행을 철저히 하고 보시를 해서 보시 공덕을 쌓아 가지고 복덕을 닦고, 이러한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고 소홀히 해서는 일입니다마는,

선방에서 자리 하나를 가지고 양보를 때에 별것도 아니죠, 아무 일도 아니여. 내가 밑에 자리로 앉아도 그만, 윗자리에 앉아도 그만, 자리를 이리저리 바꿔도경우에 따라서 입승 스님이 이리저리 바꾸라고 해서 바꾼다하더라도 아무 진심(瞋心) 없이 바꿀 수가 있고, 잠자리도 여기에 지정이 되면 여기에 자다가 경우에 따라서 쪼끔 저리 밀치기도 하고 이리 변경이 수도 있는 것이지,

 

그러한 조그마한 하나를 겸손한 마음으로 응하지를 못하고이것은 자리다, 이것은 치도 내가 양보할 ....’ 이래 가지고 그것을 가지고 소리를 치고 싸움을 하고, 그러한 마음을 가져서야 어찌 대도(大道) 성취하며, 어찌 무량 중생을 제도(濟度) 있는 불보살을 기약할 수가 있겠느냐 말씀이여.

 

저수지에 둑이 무너진 것도 조그마한 모래알과 같은 그러한 구먹에서부터 물이 새기 시작해 가지고 차츰차츰 구녁이 커져 가지고 결국은 , 스무 되는 저수지 둑이 무너지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지옥에 떨어지는 것도 죄를 지어야 지옥에 떨어진 걸로 보통 그렇게 생각하지만, 생각 잘못 먹어 가지고 조그마한 하찮은 생각으로 인해서 지옥에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1112~3220)

 

 

 

(2)------------------

 

어째서 조그마한 자리 문제를 가지고 얘기를 하냐 하면 별것도 아닌 하찮은 일로 해서 성불(成佛) 못하게 뿐만 아니라 마침내는 삼악도(三惡道)에까지 떨어질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것을 내가 강조를 하는 것입니다.

 

인아상(人我相)! ‘, ‘나는 나이가 많고 나는 구참이다그러한 옹졸하고 창피하고 못난 생각이 속에 도사리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행동이 나오는 것입니다.

인아상(人我相) ! 떨어져 버린 사람이라면 다른 사람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고 자기를 무시를 한다 하더라도 진심(瞋心) 나기 커녕은 오히려 법락(法樂)으로 삼을 수가 있다 그말이여.

 

자기를 알아주지 않고 무시해서이리 가라, 저리 가라, 잘못했다, 그러냐 다른 사람한테 그러한 무시를 당한다 하더라도 마음에 조끔도 동요가 없고 진심(瞋心) 일어나. 진심이 일어날 뿐만이 아니라 오히려 () 기쁨이 있어. 마음 속도 편안하고 얼굴도 화평하면서 사람의 말을 따라준다 그말이여.

, 그렇게 하지요.’ 얼마나 훌륭하냐 그말이여. 조그만한 일로 해서 사람의 인격 전부가 드러나는 것이다.

 

하찮은 가지고 볼쏙 진심(瞋心) 가지고 잘난 척하고, 싸움을 할려고 그러고, 감정을 표현하고, 그게 10, 20 참선하는 사람의 일이냐 그말이여.

하는 생각, ‘내가 잘났다 하는 생각, 아만(我慢)∙아치(我癡)∙아애(我愛)∙아견(我見), 내노라 나는 공부를 잘한다, 나는 구참이다, 나는 잘났다 하는 자기만을 위하는 생각, 잘났다는 생각, 남을 업신여기는 생각, 이러한 생각들이 바로 우리 중생의 생각 속에 차있는 것이여. 생각을 돌이키는 것이 수행의 목적이다 그말이여.

 

아인(我人) 있으므로 인해서, 인아상(人我相) 있으므로 해서 업이 발동이 되고, 죄를 짓게 되고, 죄업이 결국은 보리(菩提), 무상대도(無上大道) 성취하는 길을 가로막는 것이다 그말이여. 다시 바꾸어서 말하면  인아상(人我相) 때문에 깨달음에 이르지를 못한 것이다 그말이여.

 

어째서 이렇게 참선을 해도 답답하고, 공부가 조끔도 나아가지 아니하니 어째서 그럽니까?’

되네, 안되네 생각 말고 어쨌든지 열심히만 하시라 이렇게 말을 하고 있습니다마는 엄격하게 말하면 속에 인아상(人我相) 차있기 때문에 공부가 되는 것이다 그말이여.

 

대놓고인아상(人我相) 때문에 안된다 내가 박절(迫切)해서 차마 말을 안했습니다마는, 말은 개인의 말이 아니라 부처님의 말씀이기 때문에, 부처님의 말씀을 내가 여러분께 말씀을 드립니다. 인아상(人我相) 가로막고 있기 때문에 무상대도(無上大道) 들어가기를 못하는 것이다 말씀이여.

 

그래서 보리(菩提), 무상정각(無上正覺) 이루고자 할진대는 첫째 죄업을 제거해야 하고, 죄업을 끊고자 하면 인아상(人我相) 끊어야 한다 말씀입니다.

아무리 금강경을 독송하고, 아무리 반야심경을 독송하고, 아무리 고왕경을 독송하고, 아무리 방생을 하고, 아무리 계행을 철저히 지킨다하더라도 인아상이 속에 가지고 있어서는 죽을 때까지 그러한 좋다고 하는 일은 다해도 깨달음에는 들어가지를 못하는 것입니다.

 

물론 금강경을 독송하고, 반야심경을 독송하고, 방생을 하고, 계행을 지킨다 하면 그렇게 만큼의 공덕이 없는 것은 절대로 아니여. 반드시 공덕은 추호(秋毫) 어김이 없이 공덕이 있지만, 깨달음에 나아갈려면 인아상(人我相)부터 무너뜨려 버려야 하는 것이다 그말이여.

 

인아상(人我相)! 그것은 크게 발동할 수도 있고, 아까 말한 바와 같은 조그마한 문제로 인해서 인아상이 표현이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일로 인아상(人我相) 발동을 하거나, 작은 일로 발동을 하거나 마찬가지입니다.

 

가스통이나 휘발유 공장에 불이 붙었거나 화약에 불이 붙어서 불이 나나, 조그마한 성냥불 하나로 불이 나나 마찬가지입니다.

조그만한 성냥불이 불이 붙으면은 수십 , 몇십 억의 손해도 가져오고 사람도 수십 명의 인명(人命) 죽이게 되는 것이지, 작은 불이라 해서 무시할 수가 없는 것이여. 오히려 불보다도 작은 불을 조심할 알아야 불을 면할 수가 있는 것이여요.

 

참으로 삼악도에 떨어지지 않을려면 살생을 하고, 도둑질을 하고, 사음을 하고 그러한 죄보다도 조그마한 일을 삼가하고 미연에 방지를 알아야, 사람이야말로 영원히 삼악도에 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말이여.

 

 

인아상(人我相) 어떻게 끊어야 하느냐? 하나도 어려울 것이 없어요.

 

어떠한 일을 닥쳐서누가 나를 무시하거나, 자리를 남이 저리 밀쳐버리고 앉았거나, 소지품을 누가 함부로 손댔거나, 대단히 기분이 나쁘죠, 누구든지.

기분이 나쁘지만 여기는 기분 나쁜 생각을 밖으로 표현을 해서 싸움을 할려고 것이 아니라, 기분 나쁜 생각을 ! 돌이켜 가지고 화두(話頭) 들도록 한다면진심(瞋心) 밖으로 표현되기 전에 화두를 들어버리면 제절로 진심은 곳이 없고, 일로 인해서 나는 공부가 걸음 나아가게 된다 말씀이여.

 

최상승법(最上乘法) 불교에 있어서 최고의 수행 방법이요, 가장 빨리 깨달음에 이르는 묘한 법이지만, 그게 생각 속에서 육도(六途) 끊어버리고, 생각 속에서 걸음도 옮기지 아니하고 여래의 땅에 뛰어 올라가는 길이다 그말이여.

그래서 중생은 죽어서 지옥에 것을 두려워하고, 그리고서 현실에 있어서의 생각 속에 지옥에 떨어지는 것을 모르고 있습니다마는, 최상승법(最上乘法) 있어서는 죽어서 지옥에 걱정은 겨를이 없는 것입니다.

 

우선 당장 일념(一念) 속에 지옥이 두려운 줄을 뜨겁게 알기 때문에, 생각을 돌이킴으로써 일념 속의 지옥에 빠지지 아니한 사람이 어찌 죽어서 지옥에 들어갈 것을 걱정할 것이 있느냐 그말이여.

중생은 생각 속에 지옥을 등한(等閒) 하고, 그것이 원인이 되어 가지고 평생 동안 , 동안도 극락정토(極樂淨土) 법열(法悅) 느끼지를 못한 수없는 죄를 짓다가, 한량 없는 죄를 지어 가지고 마침내 무량겁 지옥고(地獄苦) 받게 되는 것입니다.(3227~4432)

 

 

>>> 위의 법문 전체를 들으시려면 여기에서 들으십시오


------------------(1)

 

*인행(因行) ; ①수행. (부처가 되기 위한) () 되는 (). 깨달음을 여는 근본이 된다.

②수행에 방해가 되는 외부의 요인에 흔들리지 아니하고 오롯이 수행정진하는 . 보살이 인행(因行) 닦아서 깨달음의 과보(果報) 얻는 것을 수인감과(修因感果)라고 한다.

*인욕(忍辱) : [] Ksanti  욕되는 것을 견디어 참는 것이다。여섯 가지 바라밀(六波羅蜜) 가운데 하나。무슨 곤란이나 역경을 당하더라도, 남을 원망하거나 성내거나 고통과 곤란을 피하려고 하지 않고 즐겁게 받아야 한다.

*선인(仙人) ; 도를 닦는 사람.

*가리왕(歌利王) ; 산스크리트어 kāli 산스크리트어 kaliṅga 음사(音寫). 가릉가왕(迦陵伽王), 가리왕(迦利王·迦梨王), 갈리왕(羯利王), 갈릉가왕(羯陵伽王)이라고도 한다. 교일(憍逸), 투쟁(鬪諍), 악생(惡生), 악세(惡世) 등으로 한역한다.

부처님이 전생에 인욕선인(忍辱仙人)으로 보살행을 수행할 가리왕이 교만의 질투심으로 인해 인욕선인의 신체를 절단했으나 인욕선인은 끝내 화를 내지 않았다.

*청수(淸秀)하다 : 얼굴이나 모습 따위가 깨끗하고 빼어나다.

*인자사 ; ‘이제야 사투리.

*어간(御間) : 절의 법당이나 큰방의 한복판.

*하판(下판) ; 절의 큰방의 아랫목. 이쪽 벽에는 주로 삼함(三緘 ·· 身口意을 삼가라는 )라고 써붙인다.

*차담(茶啖 /먹을 ) ; 다담(茶啖, 손님을 대접하기 위하여 내놓은 다과茶菓 따위).

*하심(下心) ; 자기 자신을 낮추고 남을 높이는 마음. 자기의 마음을 스스로 겸손하게 갖는 .

*범접(犯接) : 함부로 가까이 범하여 접촉함.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막힌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구참(久參 오랠 /참구할·참여할 ) ; 오랫동안에 걸쳐서 수행한 . 오랫동안 () 닦은 . 또는 그런 사람. 불법(佛法) 귀의한지 오래 되는 . 초학(初學) 상대어.

*도문(道門) ; 실천해야 (). 진실의 가르침. 반야진실(般若眞實) 가르침. 제법실상(諸法實相) 가르침. 정도문(正道門) 약어(略語).

*본성(本性) ; 상주불변한 절대의 진실성. 본래의 모습. 본체. 불성(佛性)

*현인(賢人) : 어질고 총명하여 성인에 다음가는 사람.

*삼보(三寶) ; 부처님(佛寶) 부처님의 가르침(法寶) 가르침에 따라 수행하는 집단(僧寶) 3가지를 보배에 비유한 . 이것은 불교를 구성하는 3가지의 중요한 요소임. 삼보(三寶) 귀의하는 것은 불교도로서의 기본적인 조건임.

*제도(濟度 건널 /건널 ) ; 중생을 미혹의 바다(생사고해 生死苦海)로부터 구하여[], 생사없는 피안(彼岸,깨달음의 언덕) 이르게 하는[] . () 구제(救濟). () 도탈(度脫).

[참고] 구제(救濟 건질 /건널 ) : 어려움이나 위험에 빠진 사람을 돕거나 구하여 . 도탈(度脫 건널 /벗을 ) : 속세의 속박이나 번뇌 등에서 벗어나 근심이 없는 편안한 경지에 도달함.

*구먹, 구녁 ; ‘구멍 사투리.

 

 

------------------(2)

 

*성불(成佛 이룰 /부처 ) ①세상의 모든 번뇌를 끊고 해탈하여 불과(佛果) 얻음. 부처가 되는 일을 이르는 말이다. ②석존이 붓다가야에서 깨달음을 . ③올바른 깨달음을 얻은 . 혹은 분명하게 완전히 깨달은 것이라는 .

*삼악도(三惡道) ; 악인(惡人) 죽어서 간다는 가지 괴로운 세계. 지옥도(地獄道), 축생도(畜生道), 아귀도(餓鬼道) 가리킨다. 지옥도는 중생이 죄를 지어 죽은 뒤에 태어날 지옥세계이며, 축생도는 중생이 죄를 지어 죽은 뒤에 짐승의 몸이 되어 괴로움을 받는다는 길이고, 아귀도는 먹으려고 하는 음식은 불로 변하여 굶주리고 매를 맞는 아귀들이 모여 사는 세계이다.

*법락(法樂) ; 불법(佛法)으로 말미암아 얻는 즐거움. 법열(法悅), 법희(法喜)라고도 한다. 불법을 들음으로써, 알아감으로써, 실천함으로써 생겨나는 즐거움. 진리[] 깨달음으로써 얻는 즐거움[].

*볼쏙 : ①갑자기 볼록하게 나오거나 내미는 모양을 나타내는 . ②갑자기 어떤 말을 함부로 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

*아만(我慢 /거만할·게으를 ) ; ①오온(五蘊 색수상행식色受想行識) 일시적 화합에 지나지 않는 () 실체라고 생각하는 그릇된 견해에서 일어나는 교만. 자아가 실재한다는 교만. ②우열의 관점에서 남과 나를 차별하여 자신을 높이고 남을 업신여기는 자아관.

안으로 자아를 대상으로 삼아[攀緣] 집착하는 7 말나식(末那識) 가지 번뇌[我癡我見我愛我慢] 하나.

*아치(我癡)() 대한 무지(無知). 무아(無我) 이치를 알지 못하여 일으키는 번뇌. 가지 근본번뇌(四根本煩惱, 四惑) 나머지 가지 번뇌를 일으키는 근본이다. 안으로 자아를 대상으로 삼아[攀緣] 집착하는 말나식(末那識) 가지 번뇌[我癡我見我愛我慢] 하나.

*아애(我愛)() 대한 깊은 애착심아탐(我貪). 안으로 자아를 대상으로 삼아[攀緣] 집착하는 7 말나식(末那識) 가지 번뇌[我癡我見我愛我慢] 하나.

*아견(我見) ; ①나라는 견해. 자아(自我)라는 견해. ②오온(五蘊 색수상행식色受想行識) 실체로서의 자아가 있다고 여겨서 집착하여 분별하는 잘못된 견해. 신견(身見)이라고도 한다.

안으로 자아를 대상으로 삼아[攀緣] 집착하는 말나식(末那識) 가지 번뇌[我癡我見我愛我慢] 하나.

*보리(菩提) ; 불교 최고의 이상(理想) 불타 정각(佛陀正覺) 지혜. 올바른 깨달음으로 모든 것의 참된 모습을 깨닫는, 부처의 지혜를 뜻한다. 산스크리트 ‘Bodhi’ 한자 음역어이다.

*무상대도(無上大道) ; 최고의 깨달음.

*박절(迫切)하다 ; 인정이 없고 매몰스럽다.

*추호(秋毫 가을 /가는 ) ; ‘추호도’ ‘추호의 꼴로 쓰여, 가을에 짐승의 털이 매우 가늘어지는 데에서 가을 털끝만큼매우 조금 비유적으로 이르는 .

*화두(話頭 말씀 /어조사 ) ; 공안(公案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화두는이란 뜻인데, () 거저 들어가는 어조사다. ‘곡식을 보고 땅을 알고, 말을 듣고 사람을 안다 옛말이 있다. () 판단하고 이치를 가르치는 법말·참말을 화두라고 한다.

또는 공안이라고 하는 것은관청의 공문서 뜻인데, 천하의 정사를 바르게 하려면, 반드시 법이 있어야 하고 법을 밝히려면 공문이 필요하다. 부처님이나 조사들의 기연(機緣), 다시 말하면 진리를 똑바로 가르친 말이나 몸짓이나 또는 어떠한 방법을 막론하고 그것은 모두 이치세계의 바른 법령(法令) 것이다.

그러므로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육도(六途, 六道) ; 중생이 선악(善惡) (, 의지에 기초한 행위) 의하여 생사 윤회하는 여섯 가지의 세계. 지옥도(地獄道), 아귀도(餓鬼道), 축생도(畜生道), 아수라도(阿修羅道), 인간도(人間道), 천상도(天上道) 있다.

*여래의 ; 여래지(如來地). 불지(佛地). 부처의 지위(地位경지(境地). '부처의 상태를 이루었다' 뜻의 성불(成佛)과도 같은 .

*등한(等閒) ; 무관심하거나 소홀하게.

*법열(法悅 부처님의 가르침 /기쁠 ) ; ①부처님의 가르침[] 듣거나 배우고 따르는 기쁨[]. ②진리[] 깨달음으로써 얻는 기쁨[]. 법희(法喜), 법락(法樂) 등과 같은 뜻이다.

*극락정토(極樂淨土) ; 산스크리트어 sukhāvatī  아미타불이 계시는 청정한 국토로, 세계에서 서쪽(西方)으로 십만억 불토(佛土) 떨어진 곳에 있는데, 일체의 괴로움이 없고 자유롭고 지극한 즐거움만 있는 세계. 수가마제(須呵摩提, 須訶摩提), 수마제(須摩提) 등으로 음사하고 정토(淨土), 안락(安樂), 안양(安養), 서방정토(西方淨土), 낙방(樂邦) 등으로도 한역한다.

 

Posted by 닥공닥정